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쉬어 가는곳/이야기 마당

2025 을사(乙巳)년 푸른 뱀의 해

by 안천 조각환 2024. 12. 22.

2025년 을사(乙巳)년은 푸른 뱀(靑蛇)의 해이다.

음양오행설에서 갑을(甲乙)은 청색, 병정(丙丁)은 적색,

무기(戊己)는 황색, 경신(庚辛)은 백색, 임계(壬癸)는 흑색 이므로

  을(乙)은 청색이요, 사(巳)는 뱀을 뜻 하므로 푸른 뱀의 해라고 한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뱀 표주박

 

푸른색은 번영과 성장을, 뱀은 지혜와 통찰을 뜻한다고 하며,

특히 뱀은 지혜롭고 신중한 성격으로 새로운 변화에 잘 적응하는 

동물이라고 하니, 2025년은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유연한

변화속에서 성장을 이루는 새로운 한해가 될것으로 기대해본다.

 

뱀 상(蛇像) ~ 김유신 장군묘의  신상석 12지신상 중에서

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란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로 하늘의 요소를 의미하며 총 10개의 간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십이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땅의 요소로 이루어져

12 동물이 각각의 지지를 대표한다.

 

구미 천생산 천생사 12지신상

 

이렇게 십간과 십이지는 천간(하늘의 요소)과 지지(지상의 요소)를

의미하며, 천간과 지지가 조합되어 60간지(갑자)가 형성된다.

이는 곧 60년 주기의 시간 순환을 나타내며 주로 연, 월, 일, 시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 삶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기장 용궁사의 십이지신상

 

육십갑자(六十甲子)와 오행설에 따른 오방색(五方色)

() (西) () () ()
청(靑) 적(赤) 황(黃) () 흑(黑)
() () (丙) () () () () () () ()
갑자
甲子
을축
乙丑
병자
丙子
정축
丁丑
무자
戊子
기축
己丑
경자
庚子
신축
辛丑
임자
壬子
계축
癸丑
갑인
甲寅
을묘
乙卯
병인
丙寅
정묘
丁卯
무인
戊寅
기묘
己卯
경인
庚寅
신묘
辛卯
임인
壬寅
계묘
癸卯
갑진
甲辰
을사
乙巳
병진
丙辰
정사
丁巳
무진
戊辰
기사
己巳
경진
庚辰
신사
辛巳
임진
壬辰
계사
癸巳
갑오
甲午
을미
乙未
병오
丙午
정미
丁未
무오
戊午
기미
己未
경오
庚午
신미
辛未
임오
壬午
계미
癸未
갑신
甲申
을유
乙酉
병신
丙申
정유
丁酉
무신
戊申
기유
己酉
경신
庚申
신유
辛酉
임신
壬申
계유
癸酉
갑술
甲戌
을해
乙亥
병술
丙戌
정해
丁亥
戊戌
무술
己亥
기해
경술
庚戌
신해
辛亥
임술
壬戌
계해
癸亥

 

* 오행설은 목, 화, 토, 금, 수 등 5요소의 변화로 만물의

생성소멸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동방은 태양이 솟는 곳으로 나무가 많아 푸르기 때문에 청색을 의미하고

을 의미하며 양기가 강하다.

서방은 쇠가 많다고 백색으로 표현하였고, 가을을 의미하며 음기가 강하다.

남방은 해가 강렬해 적색이고 양기가 왕성한 여름을 의미한다.

북방은 깊은 골이 있어 흑색이고 겨울을 의미한다.

중앙은 땅의 중심으로 황색을 의미한다.

 

신라 흥덕왕릉 12지신상 둘레석

 

십이간지와 뜻

 

1.자(子) : 쥐 ~ 지혜와 번영,  2.축(丑) : 소 ~ 근면과 인내

3.인(寅) : 호랑이 ~ 용기와 자부심, 4.묘(卯) : 토끼 ~ 평화와 온화함

5.진(辰) : 용 ~ 힘과 권위, 6.사(巳) : 뱀 ~ 지혜와 통찰

7.오(午) : 말 ~ 자유와 열정, 8.미(未) : 양 ~ 온순함과 친절함

9.신(申) : 원숭이 ~ 지혜와 유희, 10.유(酉) : 닭 ~ 성실함과 자부심

11.술(戌) : 개 ~ 충성심과 정의감, 12.해(亥) : 돼지 ~ 풍요와 성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