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고전 이야기/명심보감10

명심보감과 추적선생 명심보감은 고려충렬왕때 노당 추적(秋適)선생(1246-1317)이 1305년 고전에서 선현들의 금언(金言),·명구(名句)를 편집해서 만든 책이다. 명심보감의 원저자를 범입본(范立本)이고 추적이 원본을 발췌해서 초략본을 썻다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있는 데, 범입본(范立本)은 추적(秋適)보다 후대의 사람이기 때문에 범입본(范立本)의 명심보감은 추적(秋適)의 명심보감을 입수해 증편 했다고 보는게 맞다 한다. 신도비앞에서 설명하고 있는 추연섭씨 이 명심보감은 베트남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는 물론이고, 네덜란드어나 독일어로 번역되어 서구에까지 유입되었다 그 집필의 본거지는 대구 달성 화원에 있는 인흥서원이며. 이곳에는 추적선생의 신도비가 있고, 명심보감의 목판일부가 보존되고 있는곳이다. 지금 그곳에는 추적선생의.. 2009. 10. 17.
명심보감(1) 계선편.천명편.순명편.효행편 明心寶鑑 명심보감은 고려 시대의 문신(文臣) 추적(秋適) 선생이 동몽(童蒙)들을 위하여 고전에서 귀감이 될 만한 문구들을 발췌하여 편집하였으며, 유가(儒家)에만 국한하지 않고 유불선의 복합된 사상까지 망라되어 있어 동양인의 정신 세계를 느낄 수 있는 훌륭한 고전임. 繼善篇 계선편은 명심보감의 첫번째 편이다. 계선(繼善..선을 잇는다?)이란 말은 아마도 사람은 착한 본성을 타고난다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을 전제로 한 듯하다. 즉 사람은 날 때부터 선한 본성이 있으며 이러한 본성을 교육을 통해서 악에 물들이지 않고 계속 지켜가자는 뜻에서 지은 편명(篇名)처럼 느껴진다. 대학(大學)의 첫머리에서도 “대학의 도는 밝게 타고난 덕(善)을 더 밝히는데 있다”(大學之道,在明明德)라고 하였으니, 선한 본성을 이어간다.. 2009. 4. 15.
명심보감(2) 정기편.안분편.존심편 추적선생 신도비 - 인흥서원 5.正己篇 정기편은 수신(修身)에 도움이 되는 글귀들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유가(儒家)에서 강조하는 절제를 통한 인격수양과 더불어 난세(亂世)를 사는 도가(道家) 특유의 처세훈까지 곁들어 있다. 절제할 줄 모르는 현대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 2009. 4. 15.
명심보감(3) 계성편.근학편.훈자편 명삼보감 목판원판 8.戒性篇 계성편은 편명(篇名) 그대로 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景行錄云, 人性如水, 水一傾則不可復, 性一縱則不可反, 制水者必以堤防, 制性者必以禮法。 경행록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 번 기울면 가히 돌이킬 수 .. 2009. 4. 15.
명심보감(4) 성심편(상.하).입교편 추적선생의 행적을 설명하는 후손 추연섭옹 11.省心篇(上) 성심편은 명심보감 중에서 가장 긴 편(篇)을 이룬다. 마음을 성찰하는 내용과 방식에 관해서도 다양한 글들이 실려 있다. 景行錄云, 寶貨, 用之有盡。忠孝, 享之無窮。 경행록에 이르기를, 보화(寶貨)는 쓰면 다함이 있으.. 2009. 4. 15.
명심보감(5) 치정편.치가편.안의편 14.治政篇 치정편 에서는 정사(政事)를 다스리는 관리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문구들이 실려 있다. 그중에서 세 번째 글귀의 淸(청렴), 愼(근신), 勤(근면)은 적어도 공복(公僕)으로서, 공무원들이 지녀야 할 윤리가 아니겠는가? 明道先生曰, 一命之士, 苟存心於愛物, 於人必有所濟。 .. 2009. 4. 15.
명심보감(6) 준례편.언어편.교우편 17.遵禮篇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예절 子曰, 居家有禮故長幼辨, 閨門有禮故三族和, 朝廷有禮故官爵序, 田獵有禮故戎事閑, 軍旅有禮故武功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집안에 거처함에 예가 있는 까닭에 어른과 아이는 분별이 있고, 안방에 예가 있는 까닭에 삼족이 화목하고, 조정.. 2009. 4. 15.
명심보감(7) 부행편.증보편 20.婦行篇 참다운 여성의 역할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 一曰婦德, 二曰婦容, 三曰婦言, 四曰婦工也。 익지서에 이르기를, 여자에게는 네 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을 말하고, 셋째는 부언을 말하며, 넷째는 부공을 말한다. ○원문이 길어서.. 2009. 4. 15.
명심보감(8) 팔반가팔수,효행편속 22.八反歌八首 ○팔반가(八反歌) 여덟 수(首)는 어버이를 봉양하고 아이를 기름에 있어서, 그 부모와 자식의 사이에서 갖는 여덟 가지의 상반된 마음을 비교하여 읊은 노래이다. 아이를 대하는 마음과 늙으신 어버이를 대하는 마음을 실례를 들어가며 그 상반된 태도를 날카롭게 .. 2009. 4. 15.
명심보감(9) 염의편.권학편 24.廉義篇 ○염의편 에서도 역시 실례를 들어, 옛사람들의 염치(廉恥)와 의리(義理)를 보여준다. 현대에는 염치와 의리를 지키다간 오히려 자신만 손해를 본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러한 손해쯤은 결국 언젠가는 만회될 날이 분명히 올 것이다. 항상 떳떳한 자신이 되.. 2009.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