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문화유산산책492

고령 도진마을 고령박씨 세거지 휘늘어진 가지에 화려한 삼색능수도화가 곱게 피어있는도진마을 무릉도원속으로 깊숙히 들어가 도화향기에 흠뻑 취해보련다. 무릉도진 장유마을 표석능수도화 피는 아름다운 마을!! 무릉도진 마을입구의 "고령박씨 세거비" ~ 소윤공파 집성촌 고령박씨의 원시조는 신라 시조왕 박혁거세(朴赫居世)이다.비조는 25대손인 신라 54대 경명왕 박승영(景明王,朴昇英)이며,경명왕은 아홉왕자를 두었는데, 그 중 여덟왕자에게 각 고을을 분봉하였다. 첫째는 밀성대군 박언침(밀양,반남,진원박씨), 둘째는 고양대군 박언성(고령박씨), 셋째는 속함대군 박언신(朴彦信, 速咸~속함은 함양의 옛 지명, 삼척박씨), 넷째는 죽성대군 박언립(죽산,음성,고성박씨), 다섯째는 사벌대군 박언장(상주,충주박씨), 여섯째는 완산대군 박언화(전주,무안박씨),.. 2025. 4. 24.
영동 화수루(花樹樓)와 영모재 영동 화수루(永同 花樹樓)는 조선중기인 1546년(명종 1)에 옥계서당으로 세웠던 것을 1804년(순조 4)에 고성 남씨 수일파 문중에서 후손들에게학문을 전수할 목적으로 현재의 위치에 옮겨짓고 이름도 화수루로 바꾸었다. 영동 화수루(永同 花樹樓) 영동 화수루는 상촌면 하도대리 마을안 평지에 세워져 있고전면에 일각대문을 세워 두었으며, 정면 2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의 간결한 누각식 건물로 추녀의 올림이 경쾌하다. 화수루 편액과 우물마루(강당) 전면열 2칸은 우물마루를 깔아 누마루로 만들어 개방해 두었고,후면열 2칸은 온돌방을 두었으며, 4면의 기둥 밖으로2자 정도 마루를 내달고 난간을 세워두었다. 기둥은 누하주(樓下柱)와 누상주(樓上柱) 모두 원주를 세우고기둥머리에서는 창방을 걸고 그 위에 사.. 2025. 4. 21.
효자 박응훈의 호랑이 이야기와 흥학당 영동군 황간에서 물한리계곡쪽으로 가는 매곡면 길가 언덕에는오촌 박응훈(梧村 朴應勳,1539∼1590)의 효자문과 바로 옆에는통덕랑(通德郞) 박수현(朴守玄)의 처 열부 선산 김씨 열녀문이 있다. 효자문과 열녀문이 동시에 있는 쌍려문(雙閭門) 오촌 박응훈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박이룡 장군의 동생으로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한 사람이었는데, 부모상을 당하여 장지를구할 때 호랑이가 나타나 묘소를 정해 주었으므로 이를 호점산소(虎占山所)라 하며, 묘소는 황간면 소계리 안산에 있다. 효자 오촌 박선생 응훈 지려(孝子 梧村 朴先生 應勳 之閭) 박응훈은 묘소 옆에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를 살았는데 밤마다 호랑이가 나타나 공을 지켜 주었다고 하며, 이 일이 조정에 알려져선조 34년(1601년) 정려가 내려졌고, 현.. 2025. 4. 21.
황간향교와 가학루(駕鶴樓) 황간향교(黃澗鄕校)는 1394년(태조 3)에 황간현감 하첨(河詹)이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황학루(黃鶴樓)를 세우고, 황간현(縣)의 뒷산에 창건하였다. 황간향교 전경 그 후 1666년(현종 7)에 토성(土城) 안으로 이건하였고,1752년과 1755년, 1901년에 각각 중수하였으며, 1872년(고종 9)에는 명륜당을 중수하였다.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5칸의 명륜당, 고직사(庫直舍) 등이 있다. 홍살문 대성전에는 5성(五聖)과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의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고있다. 외삼문 봄과 가을에.. 2025. 4. 19.
금호강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전세계적으로도 개체수가 많지 않으며우리나라에서는 흔하지 않은 텃새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분류되어있고 천연기념물 제324-2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천연기념물 수리부엉이 금호강 절벽은 깍아지른듯이 높아 천적이 넘보지 못할 장소인데다주변에는 먹이가 풍부하여 해마다 찾아와 둥지를 틀고 새끼를 부화시킨다. 이제 새끼들이 날개짓을 하며 곧 이소(둥지를 떠남) 준비를 하는듯하다 날을 준비 중 수리부엉이의 날개짓 머잖아 이소할듯 금호강 수리부엉이 서식지 2025. 4. 18.
천연기념물 담양 관방제림(官防堤林) 담양 관방제림(官防堤林)은 홍수피해를 막기 위해 제방을 만들고 나무를 심은 인공숲으로  관방제(官防堤)는 담양읍 남산리 동정마을부터 천변리 우시장까지이며 그 길이는 약 2㎞에 이른다.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지정(1991.11.27) 되어있다. 담양 관방제림 표석 1648년(인조 26) 담양부사 성이성(成以性)이 제방을 축조하고나무를 심기 시작하였으며, 1794년(정조 18) 부사 황종림(黃鍾林)이다시 제방을 중수하면서 그 위에 숲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관방제림 제방길 나무의 수령은 300년 내외이고 흉고는 1∼3m 정도이다.현재 자라고 있는 나무의 종류는 푸조나무 111그루, 느티나무43그루, 팽나무 18그루, 벚나무 9그루, 개서어나무 1그루,곰의말채나무 1그루, 음나무 1그루 등 184그루 등이다. .. 2025. 4. 2.
광산김씨 시조 김흥광의 평장사(平章祠) 광산 김씨(光山 金氏)는 광산(광주의 별호로 현 담양과 광주지역)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신라 제45대 신무왕(?~839)의  왕자(셋째아들)인 김흥광(金興光, 810~820년경 탄생)을 시조로 한다.참고로 김씨 분관록과 동국만성보, 조선씨족통보 등에는 신라 49대 헌강왕(김정,金晸)의 셋째아들로 되어있기도 하다. 광산김씨 평장사 전경 광산김씨는 신라의 왕자인 김흥광(金興光)이 무진주 추성군 서일동(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에 자리 잡으면서 시작되었으며, 김흥광의 아들 김식(金軾)이 각간에 오르고, 손자 김길(金吉)이 고려에 귀의하여 무공을 세워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삼중대광(三重大匡)에오르자 조부인 김흥광은 광산부원군(光山附院君)에 봉해졌다. 평장사 입구의 광산김씨 발상지(왼쪽)와 광.. 2025. 3. 31.
창녕 부용정(芙蓉亭) 창녕 부용정(芙蓉亭)은 창녕군 성산면 달창저수지 상류에 자리하고 있으며, 1580년(선조 13) 창녕 현감이었던 한강(寒岡) 정구(鄭逑)선생이 지방유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창녕 부용정(芙蓉亭) 정구선생은 성리학뿐만 아니라 의학, 역사, 천문, 풍수 등다양한 분야에 박학하였으며, 관직에 연연하지 않고학문에 전념하면서 후학을 양성하는 일에 힘썼다. 부용정 정면 중앙에는 부용정(芙蓉亭), 오른쪽에는 광풍헌(光風軒) 왼쪽에는 풍욕루(風浴樓)와 재월료(霽月寮) 편액이 걸려있다. 한강 정구선생은 훗날 제자인 부용당(芙蓉堂) 성안의(成安義)에게이 정자를 물려주었으며, 1727년(영조 3)에 불에 타 없어졌다가 53년 후인 1780년(정조 4)에 다시 지었으나, 1950년 한국전쟁으로다시 소실되어 195.. 2025. 3. 28.
순천김씨 시조 김총의 동원재와 묘소 순천 김씨(順天 金氏)는 전남 순천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토종 성씨이다.시조 김총(金摠)은 후삼국시대에 태어나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을 도와 관직이 인가별감(引駕別監)에 이르렀으며, 많은 공을 세워 평양군(平陽君)에 봉해져 후손들이 순천을 본관으로 삼았으며, 평양(平陽)은 순천의 별호이다. 순천김씨 시조 재실 동원재(同源齋) 전경 시조 김총(金摠)은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대보공 김알지(金閼智)의 후손이라 기록되어 있고, "신라김씨선원록서(新羅金氏璿源錄序)" 등에서는"태봉국 태자 청광보살(靑光菩薩)의 아들로 궁예(弓裔)의 장손(長孫)",즉 태봉왕 궁예의 왕손 이라고 되어 있으나 인정에 대한 찬반 양론이 있으며,참고로 궁예는 신라 제48대 경문왕의 아들이라는 설이 지지를 받고있다. 동원재 정문인 숭상문(.. 2025. 3. 21.
대구 유학의 출발점 파동 무동재 대구 파동에 위치한 무동재(武洞齋=계동정사)는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 1532~ 1585) 선생이 강학한 계동 정사의 옛터로이곳은 대구지역에 퇴계학을 처음으로 전파한 곳이기도 하다. 무동재 전경 계동(溪東) 전경창(全慶昌, 1532~ 1585) 선생의 본관은 옥산(玉山), 자는 계하(季賀), 호는 계동(溪東)이다.1555년(명종 1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573년(선조 6)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관직은 검열, 정언에 이르렀다. *옥산 전씨(玉山 全氏)는 경산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며경산 전씨(慶山 全氏)는 옥산 전씨(玉山 全氏)에서 분적한 성씨이다. 역락문(亦樂門) 성리학의 태두인 이황(李滉)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한때 가야산에서 학문 연마에 전념하기도 하였다.대구 연경서원(硏.. 2025. 3. 7.
파동 중화양씨 시조(양포) 제단과 오천서원 파동 무릉계곡(서당골)에 있는 오천서원(梧川書院)을 찾았다. 이 서원은 조선 전기 사헌부 대사헌을 역임한 대봉(大峰) 양희지(楊熙止)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1786년(정조 10)에 건립하였다. 파동 오천서원 전경 양희지(楊凞止,1439~1504)의 본관은 중화(中和). 자는 가행(可行), 호는 대봉(大峰)이며, 1462년(세조 8) 24세에 생원, 진사시에 합격, 1474년(성종 5)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성종으로부터 희지(稀枝)라는 이름과 정부(楨父)라는 자(字)를 받았다. 오천서원 가는길의 서당골 1498년 좌부승지, 1499년 대사헌으로 있다가 충청도관찰사로 나간 뒤 무오사화로 명현들이 화를 당하자 바로 사직하였으며, 1500년에 다시 부총관을 거쳐 대사간이 되었으며, 이때 상소하여 무오.. 2025. 3. 7.
청송심씨 시조 심홍부 묘소와 보광사 청송심씨(靑松沈氏)는 청송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始祖)로 삼으며, 그의 증손 심덕부(沈德符)가 우왕(禑王)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러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가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진봉되어 후손들이 청송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청송심씨 시조묘소 입구 그뒤 심덕부(沈德符)는 태조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창업에 공을 세우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으며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와 영삼사사(領三司事)를 거쳐 1399년(정종 1)에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렀다. 그의 아우 원부(元符)는 고려말에 여러 관직을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의 국운이 다하자 새 왕조(王.. 2025. 2. 20.
평산신씨 시조 신숭겸장군 묘역과 유적지 평산신씨(平山申氏=平州 申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고려의 1등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장군이다.신숭겸(?~927)장군의 초명은 능산(能山)이며 전남 곡성현에서 태어났다.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장군상 신숭겸은 태봉(국)의 장군으로 있다가 홍유, 배현경, 복지겸 등과 함께궁예를 축출하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다.신숭겸은 활쏘기가 뛰어나 왕건과 함께 황해도 평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왕건이 날아가는 기러기떼를 가르키며 "저 기러기떼 중 앞에서 세번째기러기 왼쪽 날개를 맞춰보라"고 명하자 그대로 쏴서 떨어뜨렸다고 한다. 신숭겸장군 묘역 왕건은 기러기를 화살로 맞추는 모습과  비슷한 한자인 신(申)자를 성(性)으로, 숭겸(崇謙)을 이름으로 하사(사성,賜姓) 하였으.. 2025. 2. 14.
영주 순흥향교 순흥향교(順興鄕校)는 영주 순흥면에 있는 향교로창건시기는 미상이며 처음에 순흥부(順興府) 북쪽 금성(金城)에 창건되었다가 1718년(숙종 44) 동쪽 위야동으로, 1750년(영조 26) 남쪽 석교리(石橋里)로, 1770년(영조 46)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순흥향교 문루인 영귀루(詠歸樓) 현존하는 건물로는 7칸의 대성전, 6칸의 명륜당,각 5칸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4칸의 동재(東齋), 7칸의 문루(門樓),삼문(三門), 협문(夾門), 주사(厨舍) 등이 있다. 명륜당과 동.서재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의 위패가 동무 · 서무에는송조6현(宋朝六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명륜당 명륜당 강당 내부 대성전 삼문 대성전과 동무.서무 대성전 삼문과 협문 명.. 2025. 1. 12.
순흥안씨 시조 단소와 회헌 안향선생 순흥안씨(順興安氏)는 영주 순흥면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이다.시조는 고려(高麗) 때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 保勝別將)을 역임한안자미(安子美)이고, 중시조는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을 지내고우리나라 성리학의 시조인 회헌 안향(安珦)선생이다.파조는 안영유(安永儒), 안영린(安永麟), 안영화(安永和)이다. 순흥안씨 시조 재실 추원재(追遠齋) 순흥면은 영주 소백산 기슭의 현재 소수서원이 있는 일원으로,지명은 조선 초기 설치된 순흥도호부(順興都護府)에서 유래되었다.시조(始祖)인 안자미(安子美)는 고려 신종(神宗 재위: 1197~1204) 때사람으로 사후에는 신호위 상호군(神虎衛上護軍)에 추봉되었는데, 순흥현(順興縣) 토착 가문으로 관향(貫鄕)을 순흥(順興)으로 삼게 되었다. 순흥안씨 시조 세사단(歲祀檀) 단소(檀所).. 2025.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