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 상정리 창녕조씨 고가
의령 상정리 조씨 고가(宜寧 上井里 曺氏 古家)는 조선 후기에서근대기에 건축된 경남 의령군 화정면에 있는 창녕 조씨 고가이다. 1993년 경상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어있다. 의령 상정리 창녕조씨 고가 대문채 이 건물은 대문채, 사랑채, 마굿간채, 중문채, 안채, 고방채,가묘, 별채, 광채 등 9채로 구성된 남부 지방의 전형적인 사대부가이다. 경상남도 민속문화유산 표지판 창녕조씨(昌寧曺氏) 현감공파(縣監公派) 1세 조충가(曺忠可)가함안에 거주하였으며, 2세 조달하(曺達夏, 1469~1494)가 의령 가례면수성리로 이거하였고, 4세 조계헌(曺季憲, 1537년생, 후릉참봉)은둘째 아들로 남쪽 7㎞ 거리의 화정면 상정리로 이주하였다. 사랑채와 마굿간채 그의 큰아들 조사남(曺士男, 1560~1..
2024. 11. 4.
죽림 조수문의 담양 죽림재 홍매
담양 죽림재(竹林齋)는 무등산에서 발원해 소쇄원, 환벽당, 식영정, 수남학구당, 관수정, 동강조대, 창평향교 등 수많은 문화유산들을 품고 영산강으로 흐르며, 조선의 선비 문사들에게 아름다운 풍광을 선사했던 유서 깊은 증암천 옆 향백산 아래 고서면 분향리 잣정마을에 있다. 담양 죽림재 홍매 이곳 분향리 잣쟁이 마을은 창녕조씨(昌寧曹氏) 집성촌으로 원래 죽림재는 죽림(竹林) 조수문(曺秀文,1426∼?)이 건립한 정사(精舍)로서 대대로 창녕조씨 문중의 강학장소로 이용되었으며, 처음 건물은 임진왜란시 귀중한 문서와 함께 소실되었고, 1623년(인조1)에 죽림의 6대손인 삼청당(三淸堂) 조부(曺簿)에 의해서 중건되었다. 죽림재 전경 그후 죽림과 그의 아들인 운곡(雲谷) 조호(曺浩)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170..
2024.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