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가고싶다/대구.경북권694 대구 동구 산불진화 헬기 추락 조그만 부주의로 인한 산불들이 연이어 큰 피해를 내고있다.지난 2025년 3월 22일 발생한 사상 최악의 의성 산불악몽이아직 채 사라지지도 않았는데, 4월 6일에는 대구 북구 서변동야산에 산불이 발생하자, 이를 진화하던 동구청 소속 민간업체임차헬기가 추락하여 조종사 정씨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봉무공원에서 산불진화 대기 중이던 해당 헬기(2025.3.24촬영) 이 헬기는1981년 미국의 벨 헬리콥터사가 제작한 BELL 206L 기종으로제작한 지 44년이 됐으며 물 550L를 담을 수 있는 소형 헬기다.한편 이 헬기는 산불 현장 근처의 저수지에서 물을 담은 뒤 선회하다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당시 현장에는 초속 10m가 넘는 강한 바람이 불었으며, 산불은 담뱃불이 튀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 2025. 4. 7. 의성 산불 불길따라 영덕까지 2025년 3월 22일 의성군 안평면과 안계면에서 발생한 산불은 3월 28일 주불이 진화될 때까지 7일간 의성지역은 물론 안동,청송, 영양, 영덕, 군위, 울진지역까지 번져 45,157ha를 불태우며사망 28명에, 32명이 부상 당하는 끔직한 사상 최악의 산불이 되었다. 의성 점곡면 가는길 산불 피해지역 산불이 강한 바람을 타고 동해안 영덕까지 옮겨간 현장을 따라가 본다.먼저 산불발화 인근지역이며 귀한 문화유산이 있는 의성 점곡면사촌마을 사촌서림(천연기념물)과 만취정을 거쳐 고운사를 둘러보고 고속도로를 타고 안동 길안, 청송, 영양, 영덕으로 향한다. 의성 점곡면 사촌서림(沙村西林, 천연기념물 제405호) 인근 산에까지 불이 번졌으나 다행이 이곳은 무사하다.사촌서림은 고려말에 안동 김씨인 김자첨이 사촌으.. 2025. 4. 7. 새카맣게 타버린 아! 의성 고운사 한순간의 실수로 인한 산불이 천년고찰 고운사를 새카맣게 태워버렸다.등운산 기슭에 위치한 고운사는 661년(신라 문무왕 1) 의상대사가 창건했으며,신라의 대학자인 최치원이 여지대사,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와 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高雲寺)라 개칭했다고 한다. 새카맣게 불타버린 잿더미속에 혼자 남은 범종 등운산 고운사를 찾아 2025년 3월 26일 그날의 처참했던 현장들을 둘러본다. 가운루,연수전 등 천년고찰의 손길이 남아있던 그자리 아! 안타까울 뿐이다 고운사입구 주차장 불에탄 고운사를 아는듯 모르는듯 목련은 피고있는데...온산이 불에 탄 흔적뿐인 고운사 구석구석을 한바퀴 돌아본다 살아남은 등운산 고운사 산문 산문 안쪽에서 고운노인요양원 아무리 보아도 불에탄 소나무만.. 2025. 4. 6. 김천 연화지와 입석지의 봄 때는 바야흐로 청명, 한식의 계절이라! 고향을 찾는다.언제나처럼 연화지와 입석지의 벗꽃은 환한 얼굴로 방긋 반겨준다. 김천 연화지 벗꽃 한바퀴 돌아본다 봉황대 봉서관(鳳棲觀) 아름다운 연화지(鳶嘩池) 임계(林溪) 유호인(兪好仁, 1445~1494) 금릉 아름다운 땅, 맑은 물결이 일렁이네.물속에 비단 비늘이 가득하고 / 바람에 수양버들이 나부낀다.푸른것은 삼만개의 연잎이요 / 붉은것은 열길의 연꽃이네.좋은 경치를 감상함은 내 분수가 아니니먼길 홀로 수레타고 이곳을 지나가네. 금릉가진지(金陵佳塵地) / 일소저청파(一沼貯淸波)득소금린물(得所錦鱗物) / 기풍양류사(琦風楊柳斜)벽지삼만개(碧知三萬盖) / 홍견십장화(紅見十丈花)승개비오분(勝槩非吾分) / 정륜독차과(征輪獨此過).. 2025. 4. 4. 불로고분군 애기자운과 봉무공원 한바퀴 불로고분군과 봉무공원은 경부고속도로를 사이에 두고 있다.불로고분군에서 곱게 피어나는 보라색 애기자운을 만나보고 봉무공원의 단산지 맨발산책로 3.5km를 한바퀴 걸어본다. 애기자운(또는 동부털새) 애기자운은 높이가 5~10cm 정도로 아주 작은 여러해살이 풀이다.우리나라의 대구,경산,칠곡지역과 중국,몽골에서만 자라는 희귀식물이다.꽃은 3~4월(중국, 몽골은 7~8월)에 보라색 또는 드물게 흰색으로 핀다. 흰꽃은 4월초가 되어야 볼 수 있을듯 큰개불알꽃 잎몸은 길이와 너비가 각각 10~20mm 정도로 둥글다. 이른봄에 피는 꽃은 하늘색으로 짙은 색의 줄이 있다약용의 적용증상 및 효능은 방광염, 외상, 요통, 중풍에 쓰인다. 불로고분군에서 애기자운(동부털새)을 만나보고 봉무공원으로 봉무공원 ~ 단산지일원 .. 2025. 3. 24. 진달래, 벗꽃, 개나리가 한꺼번에! 쌀쌀하기만 하던 날씨가 갑자기 초여름 기온으로 변했다.꽃들이 정신을 못차리고 바빠져서 진달래와 벗꽃과 개나리가 앞다투어 분홍 하양, 노랑을 한꺼번에 물들이고 있다. 대구 신천둔치의 진달래 가장 먼저 꽃망울을 터뜨린 벗꽃 개나리가 어정어정 하다가 선두를 놓쳤다. 이렇게 도심의 신천둔치에는 봄을 차지하기에 바쁘다 2025. 3. 23. 대구 최초의 대봉배수지와 가창 정수장 대구 대봉배수지는 파동의 가창정수장과 함께 1914년 7월 1일공사를 시작, 1918년 3월 31일에 준공하여 대구지역에 최초로 수돗물을 공급한 수도 시설물로 100년이 훌쩍넘은 지금까지도 맑은 물을 공급하고 있는 귀중한 국가등록문화유산(2006.6.19)이다. 대구 대봉배수지(大邱 大鳳配水池) 대봉배수지는 이후 1925년 수돗물 수요의 증가로수원지 시설확장과 대봉배수지 2호를 건설하였다.이곳은 가청정수장에서 여과를 통과한 깨끗한 물을 저장하였다가고도차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자연유하식으로 공급하는 시설이다. 대봉배수지 1호 배수지는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해두며, 적절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산기슭, 언덕 등 높은 곳에 설치하였는데, 전국에는 대구 대봉배수지를 비롯하여.. 2025. 3. 15. 명사 이십리 고래볼 백사장과 칠보산 끝없이 펼쳐지는 명사 이십리 고래볼 백사장이 철~석 철~석하얀 물보라를 덮어 쓰며는, 여기에 질세라 저 멀리 칠보산 위에도어제 내린 눈으로 알프스처럼 하얀눈을 덮어쓰고 동해를 내려다 본다. 칠보산과 대진,고래볼 백사장 칠보산에서 오른쪽 동해바다로 천천히 눈을 돌려본다 뭉개구름과 눈속의 칠보산, 그리고 백사장과 동해바다가 시원하게 들어온다. 처얼석 처얼석 밀려오는 3월초의 동해바다 2025. 3. 6. 순국의 터, 대구형무소 역사관 일제강점기 한강 이남 최대 규모의 감옥으로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이곳에 갇혔으며, 특히 216명(서훈 212명)의 독립운동가가 순국한 아픈 역사의 현장이요, 순국의 터인 옛 대구형무소 자리인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2층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이 개관되었다. 순국의 터, 대구형무소 역사관 이곳에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흔적을 생생하게 전시하므로써이들의 희생과 헌신을 재조명하고 후손들에게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는 역사교육 및 추모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하여지난 2025년 2월 27일 개관하였다. 대구형무소 역사관 입구(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2층) 1층 입구 벽면 황혼(黃昏) 이육사(李陸史,1904~1944) 내.. 2025. 3. 3. 대구 관덕정(觀德亭) 순교기념관 대구 관덕정(觀德亭)은 대구읍성의 남문이었던 영남제일문 밖 서남쪽 200보 지점, 즉 지금의 중구 계산동 2가 245번지로반월당 동아백화점 쇼핑점 건물 뒤쪽에 있었다고 한다. 대구 관덕정(觀德亭) 대구 관덕정은 1749년(영조25)에 세워져서 무과 시험장으로 쓰였으며,대구적십자병원이 있던 부지와 동아쇼핑 앞까지 관덕정 앞마당이었다.임진왜란 이후 대구에 경상감영이 설치되면서 대구를 포함하여경상도 일대의 중죄인들은 모두 대구로 압송되어 이곳에서 처형되었다. 대구 관덕정 전면 이곳은 경상감영으로 이송된 죄인들을 처형하던 3대 처형지의 하나였으며, 가톨릭 신자들도 관덕정 앞마당의 "관덕정 말랭이"라 불리던 곳에서 처형되었다. 대구 관덕정 순교기념관 한국 가톡릭에서는 이러한 사연으로 이후 관덕정을 성지로 기념하고.. 2025. 3. 1. 대구 3.1 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대구지방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시위운동은 1919년 3월 8일이다.2월 24일 경상도지역 연락책임자인 이갑성(李甲成,민족대표 33명)의방문을 받은 남성교회 목사 이만집(李萬集)을 필두로 3월 8일을 거사일로 정하여, 준비도중 발각된 계성학교 교사 백남채의 체포에도 불구하고 거사일에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구보행진을 진행했다. 제106주년 3.1절 기념 3.1만세운동 재현행사(청라언덕 행사장) 1919년 3월 2일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 이용상(李容祥)이 서울에서 가져온 독립선언서 200여 매를 전달받아 계성학교 교사 백남채(白南埰), 이상백(李相佰) 등과 함께 동지규합에 들어갔으며3월 8일 일어난 대구지역 만세운동이 경상북도지역 3·1운동의 효시였다. 3.1만세운동 재현 식전행사 거사일인 3월 8.. 2025. 3. 1. 포항 환호공원의 스페이스워크(SpaceWalk) 포항 영일대해수욕장 끝 해안마을 뒷동산에 위치한 환호공원의 스페이스 워크(Space Walk)는 이미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유명세를 타고있는 포항의 명소가 되었다. 포항 환호공원 스페이스 워크(Space Walk,공간 걷기) 스페이스 워크는 포스코건설(포항제철)이 사회환원 차원에서 기획, 제작, 설치하여 포항시민에게 기증한 작품으로총길이가 333m이며 717개의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스워크 입구 주 재료는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이며, 독일의 세계적인 부부작가 하이케 무터와 울리의 겐츠가 디자인하고, 더톤이 디자인감리, 포스코에이앤씨가 건설현장의 총감독(CM,Construction Management)을 맡고, 나인디렉터스에서 국내 설계를 담당하여 건립하였다. 스페이스 워크의 모양은 롤러코.. 2025. 2. 25. 내연산 청하골에서 봄이 오는 소리를 비경의 12폭포를 자랑하는 포항 내연산 청하골에서 얼음장 속으로 흘러내리는 봄이 오는소리를 들어본다. 내연산 청하골의 봄이 오는소리(청하골 계곡 동영상) 연산폭포 동영상 청하골 입구 얼어붙은 청하골 기암솔숲 사이를 지나 12폭포 안내도 12폭포 중 오늘은 1,상생폭포, 2,보현폭포, 3,삼보폭포, 4,잠룡폭포, 5,무풍폭포, 6,관음폭포, 7,연산폭포까지 오르고, 다음 실폭포를 거쳐 소금강전망대에 올라 내연산의 진경을 즐겨보련다. 1.상생폭포 상생폭포 위에서 2.보현폭포 보현폭포 주변 비경 삼보폭포 가는 입구 3.삼보폭포 삼보폭포 위에서 4.잠룡폭포 5,무풍폭포 6,관음폭포 관음폭포 주변 기암절벽과 연산구름다리 연산구름다리로 연산구름다리 7,연산폭포 아슬아슬한 협곡사이의 연산폭포 절벽사이의 고드.. 2025. 2. 25. 주왕산의 겨울폭포를 찾아 청송 주왕산은 암봉과 수려한 계곡으로 이루어져 겨울이 좋다.기암들을 가리웠던 잎들이 모두 떨어지고 속살을 들어내기 때문이다.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청송의 겨울 주왕산 속으로 들어가포말까지 하얗게 얼어붙은 폭포들을 하나하나 만나본다. 청송 주왕산기암 7천만 년 전에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굳은 용결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특색있는 경관을 자랑하는 해발 722m의 우리나라 3대 암산 중 하나이다.그 용암계곡을 따라 신이 빚어낸 1)용추폭포(3단), 2)용연폭포(2단),3)절구폭포(2단), 4)주왕굴폭포(2단) 등 하얀 겨울폭포를 찾아 나선다. 계곡 초입의 주왕전 고기(周王殿 故基)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 1538~1593) 풀숲을 헤치며 (옛)주왕 궁궐(터)을 찾노라니지는 해 산마루에 낮게 걸려있네계단은 무너.. 2025. 2. 20. 눈덮인 신숭겸장군 유적지 대구 지묘동 신숭겸장군 유적지에도 눈이 소복히 내렸다.이곳은 고려 태조 왕건이 백제 견훤과 치열하게 싸운 동수동전투 현장으로, 신숭겸장군은 왕건을 피신시킨후 자신이 왕의 옷을 대신입고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한 바로 그곳이다. 홍살문 장군이 전사한 그자리에 표충단을 세우고 매년 춘추로 제향을 지내게했으며, 목이없는 시신은 수습하여 춘천 북한강 왼쪽 기슭에 장례하였다. 신숭겸 장군상 충렬문(표충재 정문) 태조 왕건 나무 신숭겸장군 연혁도 순절비각 고려 장절신공 순절지지(高麗 裝節申公 殉節之地) 표충단 표충단과 순절비각 순절단 경내 2025. 2. 12. 이전 1 2 3 4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