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뿌리와 예의범절229

선영품에 안긴 묵재공 휘(諱) 익(瀷) 파주군 진동면 임진강 건너 휴전선 민간통제구역 안에 있던  묵재공 휘(諱) 익(瀷) 선조 유해가 2025년 4월 마암산 선영묘역으로이장(移葬)되어 선대 영령들과 함께 영면에 들게 되었다. 묵재공 휘(諱) 익(瀷) 묘소(이장 후) 묵재공 세계(世系) 약보 始祖 ①曺繼龍 ― ② 應神 ― ③ 壽享 ― ④ 敦 ― ⑤ 欽 ― ⑥ 謙中祖 ⑥謙(高麗太祖駙馬) ― ⑦ 瑞 ― ⑧ 延祐 ― ⑨ 漢知 ―⑩ 之賢 ―⑪ 思詮 ― ⑫ 正鱗 ― ⑬ 仲龍 ― ⑭ 義文 ― ⑮ 自奇 ― ⑯ 允恭 ―⑰ 碩 ― ⑱ 誼 ― ⑲ 挻文 ― ⑳ 瑀 ― (21) 松茂 更起(갱기) ①世 松茂 ― ② 俊 ― ③ 人取 ― ④ 元桂― ⑤ 遇禧 ―6세7세8세9세10세11세12세13세14세15세좌찬성경수(敬修)참의공심(深)선무랑승중(承重)         울진.. 2025. 4. 4.
김천 봉계마을 율수재(聿修齋) 매계 구거(梅溪 舊居)인 율수재(聿修齋)는 김천 봉계마을을 지나서쪽으로 500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조그마한 기와집이다.앞뜰에 아담한 연못이 있고 뒤는 낮은 산으로 둘러 싸여고즈넉한 옛 선현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매계구거 율수재 (梅溪舊居 聿修齋) 매계구거인 율수재는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선생이 태어나서 공부하고 어린시절을 보냈던 곳을 기념하기 위하여1686년에 지은 건물로, 가는 기둥으로 작은 건물을 짓고정면에 매계구거(梅溪舊居)란 액자를 걸어 놓았다.  율수재( 聿修齋) 편액 율수재( 聿修齋)의 율수( 聿修)란 "시경"  대아(大雅) 문왕(文王)시에 "너의 할아버지가를 생각하지 않겠는가 그 덕(德)을 닦을지어다. 길이 천명(天命)에 합함이 스스로 많은복(福)을 구하는 길.. 2025. 3. 25.
2월의 율수재와 우물 우수도 지나고 봄이 저만치 와 있음직한데, 올해의 겨울은아직도 미련이 남아있는지 2월말이 다 되어가도 영하의 날씨다.어디선가 얼음장 밑으로 봄이 오는소리가 들리는 율수재를 찾아본다. 봉계 율수재(律修齋) 그 옛날 선조들의 책읽는 소리와 담소하는 소리가 들리는듯 ... 율수재 우물 2025. 2. 22.
창녕,남지 선영 참배(2024년) 창녕조씨의 득성지지가 있는 화왕산 아래 창녕 선영에서찬성공파의 파조이신 찬성공(경수,敬修)의 조부(원계,元桂)와부친(우희,遇禧), 그리고 둘째 형인 익수(益修) 선조 묘소를 참배했다. 휘(諱) 원계(元桂)선조 부부묘소(상,하)   매계선생의 5대조 되시며, 환(煥)자 항렬의 20대조 되신다.   올해의 시제(時祭)는 10월 셋째 일요일에 김천 덕원재에서 20대조(원계,元桂)이하 손자이시며 김천입향조(심, 深)선조까지합설하여 봉행하였으며, 이 날은 참의공 운현 종회장을 비롯한 김천문중에서 총 8명이 참석하여 선영 참배를 하였다. 이 선영은 고려말에 축성하여 현존하고 관리하는 가장 오래된 묘소이다 참배 장면 휘( 諱) 우희(遇禧)선조 묘소(창녕 남지읍 성사리)    휘( 諱) 우희(遇禧) 선조는 휘(諱) 원.. 2024. 11. 24.
3대가 영상(領相)에 추증된 조탁(曺倬) 가문 경헌 조몽정(敬軒 曺夢禎,1535~1593)과 그의 아들 이양당 조탁(二養堂 曺倬,1552~1621)은 영의정에 추증되고, 손자 율촌 조명욱(栗村 曺明勗,1572~1637)은 좌의정에 추증되어 삼대(三代)에 걸쳐 영상(領相)에 추증(追贈)되는 영광을 안은 가문이다.  경헌 조몽정(敬軒 曺夢禎)의 묘  성남시 서현동에 있는 조몽정 묘역은 성남시 향토문화재 제5호이다.조몽정(1535~1593)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응길(應吉). 호는 경헌(敬軒). 무과를 거쳐 부사를 지낸 조등(曺璒)의 증손이고, 문과에 합격하여관찰사를 지낸 조한필(曺漢弼)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문과에 합격하여호조좌랑을 역임한 조언박(曺彦博)이며, 어머니는 윤유(尹瑠)의 딸이다. 조몽정의 묘와 신도비 이곳은 조선 중기 사대부 묘역이면.. 2024. 11. 21.
창녕조씨 문장공파 갑진년 시제(時祭) 창녕조씨 문장공파 갑진년(甲辰年) 시제(時祭,時祀)가 2024년 11월 12일 오전 11시, 김천 마암재에서 인천,서울,거제,대구,김천등 경향각지에서 많은 후손들이 모인 가운데 성대히 봉행되었다. 마암재 인의문(仁義門) 특히 올해는 경북대학교 부설 영남문화연구원에서 추진하는종가문화보존을 위한 사업에 매계종가가 선정되었는데 그중 한 분야인 제례문화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해 연구원들과영상촬영팀이 함께 지켜보는 가운데 뜻깊게 진행되었다. 마암재(馬巖齋) 오늘 시제(時祭)는 울진공 이하 6대(환자 항렬기준 16대~11대조)의선조 17위를 합설하여  묘소가 아닌 재실에서 청사재로 봉행하였다. 진설 장면 시제(시사) 시작 시제(時祭) 장면 제관들  갑진년(2024)  창녕조씨 문장공파 시제 제관 분정기 제례문화 보.. 2024. 11. 12.
2024년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묘제 2024년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묘제가 11월 9일(음력 10월 상 정일(上 丁日), 경주 안강 종덕재에서 전라북도 종회 유사로 봉행되었다.시조 태사공 묘제 이모저모를 담아본다.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묘제 참석을 환영합니다. 시조 태사공 묘소 가는길 묘제 봉행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묘제 제관 분정기 국궁 제수 진설 장면  2024 창녕조씨 시조 태사공 묘제 동영상 대종회 임원 기념촬영 올해의 유사 전라북도 종회  서울 종회 대구 종회 산신제 제물 종덕재 영사문앞의 점심 음복 차례 줄서기 종덕재 광장 풍경 종덕재 전경 헌성금 접수 종덕 광장 앞 도로입구 안내 현수막 도로입구의 창녕조씨 시조 묘소입구 표석 2024. 11. 10.
의령 상정리 창녕조씨 고가 의령 상정리 조씨 고가(宜寧 上井里 曺氏 古家)는 조선 후기에서근대기에 건축된 경남 의령군 화정면에 있는 창녕 조씨 고가이다. 1993년 경상남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어있다. 의령 상정리 창녕조씨 고가 대문채 이 건물은 대문채, 사랑채, 마굿간채, 중문채, 안채, 고방채,가묘, 별채, 광채 등 9채로 구성된 남부 지방의 전형적인 사대부가이다. 경상남도 민속문화유산 표지판 창녕조씨(昌寧曺氏) 현감공파(縣監公派) 1세 조충가(曺忠可)가함안에 거주하였으며, 2세 조달하(曺達夏, 1469~1494)가 의령 가례면수성리로 이거하였고, 4세 조계헌(曺季憲, 1537년생, 후릉참봉)은둘째 아들로 남쪽 7㎞ 거리의 화정면 상정리로 이주하였다. 사랑채와 마굿간채 그의 큰아들 조사남(曺士男, 1560~1.. 2024. 11. 4.
봉계마을 조응방 정려각과 율수재,나화랑생가 김천 봉산면 봉계마을의 봉산면사무소(행정복지센터) 맞은편 골목에는 창녕조씨 17세손 조응방(曺應邦)의 효자 정려각이 있다.조응방은 부친의 병을 고치기 위해 단지주혈(斷指注血)하는 등지극 정성으로 봉양하고, 부친상을 당하자 3년간 시묘살이를 하여1875년(고종 12) 지역유림의 청원으로 정려가 내려졌다. 조응방 효자 정려각(曺應邦 孝子 旌閭閣)  효자 창녕조공 휘 응방, 배 효부 창녕성씨 지각(孝子 昌寧曺公 諱 應邦, 配 孝婦 昌寧成氏 之閣) 효자 정려비(구,신) 효자 창녕 조응방 지각(孝子 昌寧 曺應邦 之閣)  (위)효자 정려각 개축 기공기,  아래(효자효부 정려 중수기) 효자 정려각을 둘러보고 율수재로 최근에 아스콘으로 말끔하게 포장된 율수재 진입로(도덕문 앞) 율수재(매계구거) 율수재앞 연못의 홍교(.. 2024. 10. 21.
창녕조씨 김천입향조 참의공묘소 개축 창녕조씨 김천 입향조이신 참의공 조심(曺深) 묘소를 개축중이다.참의공의 유택은 김천 봉산면 예지리 방목산자락으로 봉황이물위에 떠있는 봉황부유형(鳳凰浮遊形)의 명당으로 불리는 곳이다. 덕원재(德源齋) ~ 보수 예정으로 어수선하여, 시사도 관리동에서 봉행 참의공이 개경에 살다가 1389년 처가곳(서산정씨 친정)인김천으로 낙향하게 된것은 위화도 회군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려말기인 1388년 요동정벌을 위해 출정한 우군도통사 이성계와좌군도통사 조민수 등은 9일만에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을폐위시키고 창왕을 옹립하며, 그 공으로 조민수는 좌시중에 오른다.  참의공 묘소 ~ 개축공사가 진행중인 상태 그러나 정권을 장악한 이성계 일파의 전제개혁 등, 정책 마찰로 조민수(曺敏修) 장군이 1389년 조정의 탄핵을 받아 .. 2024. 10. 20.
김천 황악산 기슭 학하재(鶴下齋) 학하재(鶴下齋)는 대항면 본리 황악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창녕조씨 찬성공 9대손(매계 6대손)인 삼석재(三惜齊) 세봉(世鳳)문중 재실(재사)로 1946년(병술,丙戌) 4월에 창건한 건축물이다. 학하재(鶴下齋) 학하재 창건기에 의하면 (전략) ~ 맑은 물쌀과 하얀 돌에서는 거문고, 비파, 퉁소 소리가 끊이지 않고 양달과  음달에는 여러 촌락이 즐비하니 이따금 지나는 이가 한 고장의 승지(勝地)로 지칭한다.   우리 7대조모인 숙부인 안동김씨의 영택이 본산 중봉에원맥(元脉)해 있고 그 아래는 5대조부(國明)인 성균진사 행 가선대부의 의리(衣履,옷과 신)가 모셔지고 또 다른 분들의 분묘가 국내(局內)에산재하니 이는 우리 문중의 세장지(世葬地)라 이를 만 하다.  (중략)공사에 그 책임을 전담하여 시종일관 .. 2024. 10. 3.
매계 조위선생의 중추월과 능성 봉서루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선생이 중추절에 달을 바라보며 옛 친구가 생각나서 숙강 권건( 叔强 權健,1458~1501)에게 보낸 "억진아(憶秦娥)"와 1495년(연산군1) 8월 전라감사로 부임한 후 이듬해 늦가을에 관할지역 순시를 하는 도중 능성(현 능주)객관에서 하루를 머물며 봉서루에 올라 읊조린 한시를 올려본다. 2024년 9월 17일 음력 8월 보름달 팔월 보름달에 /  중추월(中秋月)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 저녁 구름이 다 날려가니 맑고 훤히 비치도다. /  모운비진청휘철(暮雲飛盡淸輝徹)맑고 훤히 비치는 강의 남쪽과 북쪽이며,  / 청휘철강남한북(淸輝徹江南漢北)초가집 처마와 높은 대궐에 /  모첨위궐(茅簷魏.. 2024. 9. 18.
조수문(曺秀文)의 죽림재 배롱나무꽃 온통 배롱나무꽃으로 수놓은 아름다운 죽림재를 찾아본다.지난 봄 홍매가 곱게피었던 죽림재를 둘러본 뒤 한여름에 붉게 물들인배롱나무꽃이 그리워, 담양 잣쟁이 마을 창녕조씨(昌寧曹氏) 집성촌에 있는죽림(竹林) 조수문(曺秀文,1426∼?)이 건립한 정사(精舍)를 다시 찾았다. 죽림재의 배롱나무꽃 이곳 죽림재는 조수문이 어려서부터 강호 김숙자(金淑滋,1389~1456)의 문하에서 점필재 김종직(佔畢齋 金宗直,1431~1492)과 함께 학문을수학한 뒤 죽림정사를 건립하여 후진교육을 하며 여생을 보냈던 곳이다. 문화재 돌봄이들이 점검차 들린 차량들 문화재 돌봄이들은 정기적으로 이곳의 취사당(聚斯堂 : 죽림사 강당),세일재(歲一齋 : 조유도 묘각.曺由道 墓閣, 1899년 건립),충효각(忠孝閣 : 조부의 효자 정려각,曺.. 2024. 8. 1.
조우인(曺友仁)이 배향된 봉산서원과 임어재 이재(頤齋) 조우인(曺友仁,1561~1625)선생이 배향된 상주 봉산서원과그가 은거하다가 여생을 마쳤으며, 사당이 있는 상주 매호리를 찾아본다. 봉산서원이 자리한 상주 화서면 금산리 서원앞 봉산지 이재 조우인선생의 약력을 간단히 살펴보면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익(汝益), 호는 매호(梅湖)· 이재(頤齋)이며 예천에서 출생.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의 증손자이다.조우인은 1588년(선조 21)에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됐고,1605년에 문과에 급제한 후, 1616년(광해군 8)에는 함경도경성판관을 지냈다. 봉산서원 정문인 진덕문 1621년에는 제술관(製述官)으로 있으면서 광해군의 잘못을 풍자했다가그 글로 말미암아 3년간 옥에 갇혀있던 중 인조의 등극으로 풀려나이곳 상주(尙州)의 매호(梅湖)에서 은거하.. 2024. 7. 27.
별제공과 영월공 묘소 선영곁으로 서울 고척동에 모셔져 있던 별제공과 영월공 묘소를2024년 봄 대항면 복전리 마암 선영 아래로 이장하였다.고척동 묘소는 바로 앞에 고척고등학교가 세워지고 이곳이 공원지역으로 지정되면서 토지 보상금 수령문제가 대두되어 종중내부에서 오랜기간 소송의 분쟁에 휘말려 문장공 문중을 거의 초토화 되다시피 휩쓸고간 가슴아픈 사연이 있는 바로 그곳이다. 고척동 별제공(別提公) 조사우(曺士虞) 묘(이장 전) 별제공(別提公)의 휘(諱)는 사우(士虞). 자(字)는 중개(仲凱)이며, 증조는 김천 입향조 휘(諱) 심(深)이고, 할아버지는 울진현령 계문(繼門)이다.아버지(考)는 매계 위(偉)이고 어머니(妣)는 평산신씨(平山申氏)이다.환(煥)자 항렬(行列) 기준 14대조 이시다. 부러진 문인석(고척동) 별제공 사우(士虞)는 매계선.. 2024.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