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뿌리와 예의범절/贊成公派(派譜)3

창녕,남지 선영 참배(2024년) 창녕조씨의 득성지지가 있는 화왕산 아래 창녕 선영에서찬성공파의 파조이신 찬성공(경수,敬修)의 조부(원계,元桂)와부친(우희,遇禧), 그리고 둘째 형인 익수(益修) 선조 묘소를 참배했다. 휘(諱) 원계(元桂)선조 부부묘소(상,하)   매계선생의 5대조 되시며, 환(煥)자 항렬의 20대조 되신다.   올해의 시제(時祭)는 10월 셋째 일요일에 김천 덕원재에서 20대조(원계,元桂)이하 손자이시며 김천입향조(심, 深)선조까지합설하여 봉행하였으며, 이 날은 참의공 운현 종회장을 비롯한 김천문중에서 총 8명이 참석하여 선영 참배를 하였다. 이 선영은 고려말에 축성하여 현존하고 관리하는 가장 오래된 묘소이다 참배 장면 휘( 諱) 우희(遇禧)선조 묘소(창녕 남지읍 성사리)    휘( 諱) 우희(遇禧) 선조는 휘(諱) 원.. 2024. 11. 24.
창녕조씨 문장공파 갑진년 시제(時祭) 창녕조씨 문장공파 갑진년(甲辰年) 시제(時祭,時祀)가 2024년 11월 12일 오전 11시, 김천 마암재에서 인천,서울,거제,대구,김천등 경향각지에서 많은 후손들이 모인 가운데 성대히 봉행되었다. 마암재 인의문(仁義門) 특히 올해는 경북대학교 부설 영남문화연구원에서 추진하는종가문화보존을 위한 사업에 매계종가가 선정되었는데 그중 한 분야인 제례문화를 기록으로 보존하기 위해 연구원들과영상촬영팀이 함께 지켜보는 가운데 뜻깊게 진행되었다. 마암재(馬巖齋) 오늘 시제(時祭)는 울진공 이하 6대(환자 항렬기준 16대~11대조)의선조 17위를 합설하여  묘소가 아닌 재실에서 청사재로 봉행하였다. 진설 장면 시제(시사) 시작 시제(時祭) 장면 제관들  갑진년(2024)  창녕조씨 문장공파 시제 제관 분정기 제례문화 보.. 2024. 11. 12.
창녕조씨 찬성공파와 성씨, 족보 이야기 ◎◎공파란 같은시조 아래의 한 종파만을 일컫는 말이다. 공파에 앞서 성씨(姓氏)를 알아야 하는데, 성씨란 출생의 혈통을 나타내거나 한 혈통을 잇는 겨레붙이를 가리키는 가족용어 또는 칭호라고 말한다. 세계에서 성씨의 역사가 가장 오랜 민족은 중국인데 그와 이웃한 우리 민족은 삼국시대부터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아 이를 모방한 한자성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그러나 역사의 고비마다 새로운 성이 생겨나기도 하고, 기존의 성이 분열하여분관· 분파작용을 하였는가 하면 소멸되기도 하는 등 많은 변천을 거듭해 왔다. 창녕조씨 족보(병오보,丙午譜) 처음은 삼국시대의 왕실·귀족순으로 수용되어 왔지만대체적으로 한국적 성씨체계가 본격적으로 정착되는 시기는 고려 초기로 본다.이러한 성씨체계가 정착된 후에도, 자손들이 점점 번창하여지.. 2021.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