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무태 서계서원과 연경동 구강당
대구 무태(서변동)에 있는 서계서원(西溪書院)은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인 오천(烏川) 이문화(李文和,1358~1414)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하여1781년(정조 5)에 지어진 건물로 동화천계곡 서쪽에 있다고 붙여진 이름이다.서원 편액은 조선 말기의 명필 윤용구 선생의 글씨라 전해진다. 서계서원(西溪書院) 서계서원 경내에는 이문화 선생과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일으킨 이주 선생을 추가로 배향한 3칸 규모의 사우인 숭덕사와 신문이 있으며,강학당인 화수정, 환성정(금수랑, 희리당), 협문, 서고, 주사, 대문 등이 있는데,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92년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환성정(喚惺亭) 환성정은 임진왜란 때 대구지방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한 이주의 정각으로, 이주(李輈,1..
2025. 7. 18.
영양 연당마을 서석지와 태화당종택
서석지(瑞石池)는 영양 입안면에 있는 연못으로 1613년(광해군 5)에석문(石門) 정영방(鄭榮邦)이 자연 조건을 최대한 이용하여 조성한 민가 정원으로, 담양의 소쇄원, 보길도의 원림(세연정)과 함께 조선시대 3대 민가 전통 정원 중 하나이며,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1979년)되어있다. 영양 서석지 입구 서석지는 자양산(紫陽山) 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연못을 중심으로 북쪽에는 서재인 주일재(主一齋), 서쪽에는 큰 정자인 경정(敬亭)이 있다.주일재 앞에는 매화, 국화, 소나무, 대나무를 심어 사우단(四友壇)이라 하였으며, 연못과 수령 4백여년의 은행나무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서석지 입구 연당마을 표지판 석문(石門) 정영방(鄭榮邦, 1577∼1650)은 지금의 예천 용궁현 포내리에서 태어났는데,..
2025. 7. 9.
유방선,이보흠을 배향한 영천 송곡서원
영천 청통면 애련리에 있는 송곡서원은 1702년(숙종 28)에 건립하였으며,원래 경현원(사당)을 지어 위패를 봉안했다가 뒤에 송곡서원으로 승격하였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5년 복원하여유방선과 이보흠을 배향하였으며, 경내 건물로는 3칸의 사우, 신문,동서 협문, 강당, 서재, 대문과 사당 옆에는 태재 유선생 신도비도가 있다. 송곡서원 전경 유방선(柳方善,1388~1443)의 본관은 서산. 자는 자계(子繼),호는 태재(泰齋)이며, 1405년(태종 5) 국가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서공부했으며, 1409년(태종 10) 아버지가 민무구의 옥사에 관련, 연좌되어유배된 후 1427년까지 19년 동안 귀양살이를 했다. 숭인문(崇仁門) 유배생활 중 후진 양성에 힘써 서거정,이보흠..
2025. 6. 29.
나재 채수선생의 쾌재정과 함창 유적지
나재(懶齋) 채수(蔡壽,1449~1515)선생은 성종조의 문신, 학자로본관은 인천, 자는 기지(耆之) 또는 난재, 나재(懶齋), 청허자(淸虛子)이다.충북 음성 용당리(현 원남면 삼용리)에서 태어나 1468년(세조 14) 생원시와 진사시,1469년(예종 1) 증광 문과에 갑과 제1인으로 장원급제하여 곧 사헌부감찰로 임명되었다. 채수의 쾌재정 안내판 1476년 6월, 성종임금의 명으로 조위(曺偉), 채수(蔡壽), 권건(權健),허침(許琛), 유호인(兪好仁), 양희지(楊熙止)등 6명이 선발되어장의사(藏義寺)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쾌재정 입구의 채문식 석비 나재선조 장수지소 16세손 국회의장 채문식(懶齋先祖 藏修之所 十六世孫 國會議長 蔡汶植) 이후 채수는 성종조에 교리 지평, 이조정랑, 충청도 ..
2025.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