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뿌리와 예의범절/예의범절과 상식11

성균관에서 공개한 추석(설날) 차례상 표준안 2022년 9월 5일 성균관에서는 추석과 설 명절의 차례상 표준안을 마련 발표했다. 제사상 상차림 음식의 종류로는 술, 송편, 나물, 구이, 김치, 과일 등 총 6가지이고 각각의 집안에 따라 생선, 육류, 떡이 들어간다. 차례상 또는 제사상에 전이 들어가 있지 않은것은 사계전서(沙溪全書)에서 "조상들이 기름에 볶은 음식을 쓰지 않는 것" 이라는 내용이 있다는 것이 성균관의 입장이다. 성균관에서 공개한 2022년 추석(설날) 차례상 표준안 *사계전서(沙溪全書)란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1548~1631)선생의 시문집(사계선생유고집)을 일컫는데, 총 51권 24책으로된 목판본이다. 사계전서의 초간은 1685년(숙종 11) 왕명에 의해 그의 문인인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1607~16.. 2022. 9. 18.
예의범절과 상식~(1)절의 예절 □절의 예절 ○인사는 마음과 행동과 말씨가 일치되어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하고 경의를 표하는데에 뜻이 있으므로 예절의 첫걸음이자 결실이다. 우리 조상들은 절을 통해 자신을 겸손하게 낮추고 상대방에게 공경을 나타내는 예절을 갖추었다. □절의 의미와 종류 1.절의 의미 ○절이란 원래 자신을 낮추고 상대방에게 공경하는 뜻을 나타내는 동작으로써 행동예절의 기본이었다. 절은 웃어른이 아랫사람에게 답배하기도 한다. 이는 비록 아랫사람이라도 그를 존중하는 대접의 표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절의 예절에는 절을 하는 예절과 절을 받는 예절이 있는 것이다. 절은 나라와 풍습, 그리고 문화형태에 따라 다르나 공경하는 마음을 행동으로 나타낸다는 점에서는 모두 같다. 따라서 동작 이전에 공경하는 마음을 가겨야 절이 되는 것이다.. 2013. 2. 6.
예의범절과 상식~(3)묘지 석물의 종류와 묘소관리 1.묘지 석물의 종류 *신라시대 신라시조 박혁거세 거서간 왕릉(AD 4년경) 1)고석(鼓石. 또는 북석, 장구석) 상석을 받치는 돌(북, 장구 모양)로 두 개, 세 개, 네 개를 받치는 경우가 있다. 돌의 생긴 모양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다 2)곡장(曲墻. 또는 곡담) 봉분 뒤에 곡선 모양으로 만든 담장(동·서·북 3면의 반달형이다) 3)난간석 봉분 주위에 울타리 모양으로 조성(주로 왕릉에 있다)하는 돌. 난간석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망주석 모양의 제일 높은 기둥인 석주, 가로로 놓인 대나무 모양의 돌인 횡석주(죽석), 중간에 받쳐주는 작은 기둥인 동자석주로 되어 있다. 신라 무열왕릉(661년경) 4)단(또는 단소 단비) 묘소를 실전(失傳. 잃어버렸다는 말) 하였거나 아예 묘소가 없는 사람의 체.. 2012. 11. 27.
예의범절과 상식~(7)묘제(묘사,진설,축문,홀기,홀기용어등) 1. 문중묘사(門中 墓祀)   문중묘사(中始祖, 入鄕祖, 派祖) 이외(以外)의 개인묘사(個人墓祀)에는   단헌(單獻)인고로 첫잔을 올리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은 다음 독축 재배(讀祝 再拜)하고,   향이 없는 고로 고개 숙였다가  바로 사신 재배(辭神 再拜)하고 끝내는 경우(境遇)도 있다.  ①진설(陳設) :진설도(陳設圖)를 참고(參考)하여 제수(祭需)를 진설(陳設)할 것이다. ②참신(參神) :초헌자이하(初獻者以下) 참제원(參祭員)이 일제히 묘(墓)앞에 참배(參拜)하고 나서 초헌자(初獻者)가 묘(墓) 앞에 꿇어 앉고 집사(執事)는 단위시(單位時) 좌우(左右)에 각각 일인(一人)씩 들어 선다. ③강신(降降) :분향(焚香) 강신(降神)·헌작(獻爵)·개반·정저(整箸) 등 행사에 서집사(西執事)는 고위(考位)를.. 2010. 1. 9.
예의범절과 상식~(5)지방과 축문 1.지방(紙榜)과 위패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분(신위)을 한지 종이에 적은 글이다. ▶요즘은 지방대신 고인의 사진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위패(신주)란 재실이나 서원에서 나무(주로 밤나무)에 신위를 적어 모셔둔 것이다 ▶지방이나 위패를 모신 자리를 신위라고 하며, 신위를 북쪽으로 간주하여 진설을 하게 된다. ○용지와 구격 ▶폭 6 cm, 길이 22 cm 정도인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세로로 적는다. ▶양위(兩位)를 함께 쓸 때는 가운데를 나누어 남녀유별(有別)을 나타낸다. ▶삼위 지방일 경우에는 왼쪽에서 남자, 본 비, 재취비로 적는다. ○주제자 ▶아내의 경우 남편이 되며, 남편의 경우 아내가 된다. ▶윗대 어른들인 경우 손자가 장성해도 아버지가 된다. ○내용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뜻하고, .. 2009. 12. 10.
예의범절과 상식~(6)제례순서 제사란 집에 웃어른을 모셨을 때나 제사의 순서도 비슷합니다. 집안을 청소하고 아이들의 옷을 깨끗하게 입히고(경건함) 음식을 기호와 계절에 맞추어 준비하고(제수 마련) 좌석을 마련한 후에(신위봉안)손님을 모십니다(분향강신, 참신예) 가족의 소개를 하고 인사말씀을 올리고(축문) 술을 권해 올리며(초헌, 아헌, 종헌, 첨작) 식사를 대접한 후에(계반삽시, 합문, 계문) 차를 올리게 됩니다.(헌다) 손님이 가실 때 에는 배웅을 하고 상을 치운다.(분축, 철상) 그러나 인간의 4대 의식(관, 혼, 상, 제)에 속하는 제사에는 엄격한 절차가 있습니다. 형식인 절차는 본질인 제사를 일사분란하게 진행하여 경건하게 합니다. 가문이나 지방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1-1.제례순서(명절) 1.신위봉안 -제삿날은 몸은 .. 2009. 12. 10.
예의범절과 상식~(4)제사의 뜻과 진설(상차리기) 1.제사의 뜻 부모의 자녀 사랑보다 큰 것이 없고 우리는 선조님의 대대로 이어진 사랑속에 자랐고 앞으로도 자녀들을 통하여 끝없이 전할 것입니다. 우리가 전해 받은 무한한 사랑에 대한 감사와 추모의 의식이 제사의례(祭禮)입니다. 돌아가신 날에 후손들이 모여 고인을 추모하고 감사를 표하는 날이기에 시대가 아무리 변하고 절차와 음식은 변하더라도 존경과 정성만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멀리 있는 일가친척이 만남의 자리로 정을 두텁게 하는 일도 제사의 기능 중 하나입니다. 묘사란 4대가 넘으면 묘소에서 제사를 모시기에 묘사라고 합니다. 지금은 재실에서 모시는 경우도 많은데 재실에서 모시는 제사는 청사제 라고 합니다. 종교 등의 이유로 제사를 기피하는 경우도 있으나 어느 종교든 부모는 잘 모시라고 합니다. 부모님을.. 2009. 12. 10.
상례 상례(喪禮) 0.수시(收屍) *병자가 운명하면 지체없이 다음과 같이 수시한다. * 깨끗한 벽지나 솜으로 코와 귀를 막는다. * 눈을 감기고 입을 다물게한 뒤 머리를 높게하여 괴고 손발을 바로 놓는다. * 나무관 위에 시체를 눕히고 홑이불을 덮은뒤에 시상(屍床)으로 옮겨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리고 그 앞에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촛불을 밝힌 뒤 향을 피운다. 발상(發喪) 수시가 끝나면 가족은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신하며 애도하되,맨발이나 머리푸는 것은 아니하고 호곡을 삼가한다. 다시말해서 발상은 초상(初喪)을 발표하는 것인데 근래에 와서는 장례의 제반절차와 필요한 물품을 상비하고 있는 장의사가 있어서 검은 줄을 친 장막을 벽에 쳐 놓는다든가 근조(謹弔)라고 쓴 등을 달아 놓는다던가 또는 忌中이라 쓴 내모진.. 2009. 9. 30.
백일,돌맞이 절차 백일.돌맞이 절차 백일맞이 절차 구 분 내 용 삼 신 풀 이 아이가 태어나 100일이 되면 어머니나 할머니가 아침에 쌀밥, 미역국, 백설기 등을 차려 삼신 할머니께 그 동안의 보살핌에 감사하면서 아이의 명과 복을 빈다. 그 밥과 국을 산모에게 먹인다. 배냇머리 깍음 아이의 배냇머리를 곱.. 2009. 8. 10.
혼례절차 전통혼레 장면(하회마을 에서) 혼 례 절 차 사주를 보내는 데는 먼저 주인이 신랑의 생년 월일을써서 편지와 함께 보내는 것으로 혼인을 청하는 의식으로 사주를 보내는 법은 간지를 다섯번 접어 그 가운데 쓰며 편지를 보에싸서 같이 보내는 법이다. 백지에 길 이 10cm폭13cm 정도로하며 육.. 2009. 7. 9.
예의범절과 상식~(2)친족간의 호칭 1.친족간의 호칭(1) 친족 (親族) 가르킬때 부를때 자기를 가르킬 때 본인이 말할때 남이 말할 때 조부 生 조부 祖父 할아버지 소손 小孫 불초손 不肖孫 손자 할아비 할애비 조부장 祖父丈 死 선조고 先 祖考 효손 孝孫 선왕대인 先王大人 조모 生 조모 祖母 할머니 소손 小孫 불초손 不肖孫 손자 할미 선왕대인 先王大人 死 선조비 선祖비 효손 孝孫 선왕대부인 先王大夫人 부 生 가친 家親 엄친 嚴親 아버지 소자 小子 불효자 不孝子 아들 아비 애비 춘부장 春府丈 춘장 春丈 死 선친 先親 선고 先考 고자 孤子 효자 孝子 선대인 先大人 선장 先丈 모 生 자친 慈親 모친 母親 어머니 소자 小子 불효자 不孝子 아들 어미 애미 자당 慈堂 死 선비 先비 애자 哀子 효자 孝子 선대부인 先代夫人 백부 生 백부 伯父 큰아버지 맏.. 2009.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