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쉬어 가는곳/이야기 마당

조선 선비들의 매화사랑

by 안천 조각환 2021. 2. 13.

조선시대 선비들의 매화 사랑은 유별나다.

매화는 대략 입춘을 전후하여 피는데,

이때는 아직 추운계절인지라 눈속에서도 꽃을 피우곤 한다.

선비들은 "일생을 추워도 향을 팔지 않는 매화를 보며

아무리 힘들고 어려워도 쉽게 타협하거나 굽히지 않겠노라" 고

스스로 다짐하며 마음을 가다듬었으리라.

 

통도사 자장매

야언 신흠(野言 申欽)의 시

 

桐千年老恒藏曲(동천년노항장곡)
오동나무는 천년이 지나도 항상 그 곡조를 간직하고

梅一生寒不賣香(매일생한불매향)
매화는 일생을 춥게 살아도 그 향기를 팔지 않는다

月到千虧餘本質(월도천휴여본질)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 있고

柳經百別又新枝(유경백별우신지)
버드나무는 백 번을 꺽여도 새 가지가 올라 온다

 

-야언(野言) 신흠(申欽, 1566~1628)은

조선시대에 예조참판, 자헌대부,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경숙(敬叔), 호는 현헌(玄軒)· 상촌(象村)· 현옹(玄翁)·

방옹(放翁)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으로 흔히 상촌(象村)선생이라 일컫는다.

 

도산서원내 도산서당 퇴계매


퇴계 이황은 심지어 매화를 매형(梅兄)이라 부르며

대화를 나누고, 유언조차 ‘저 매화나무에 물을 주라’ 고 하였다.

퇴계가 한성(서울)의 집에 있는 분재 매화에게 말한다.

 

頓荷梅仙伴我凉(돈하매선반아량)   고맙게도 그대 매화 나의 외로움 함께하니

 

客窓蕭灑夢魂香(객창소쇄몽혼향)   나그네 쓸쓸해도 꿈만은 향기롭다네

 

東歸恨未携君去(동귀한미휴군거)   귀향길 그대와 함께 못 가 한스럽지만

 

京洛塵中好艶藏(경락진중호염장)   서울 세속에서도 고운 자태 간직하게나

 

이에 분재 매화가 답한다.

 

聞說陶仙我輩香(문설도선아배향)   듣건대 선생도 우리처럼 외롭다 하니

 

待公歸去發天香(대공귀거발천향)   그대가 돌아온 후 향기를 피우리라

 

願公相對相思處(원공상대상사처)   바라건대 그대 언제 어디서나

 

玉雪淸眞共善藏(옥설청진공선장)   옥과 눈처럼 맑고 참됨을 잘 간직하소서

 

 

節友社(절우사) - 이황

 

松菊陶園與竹三(송국도원여죽삼)

소나무와 국화는 도연명의 뜰에 대나무와 함께 셋인데

 

梅兄胡柰不同參(매형호내부동참)

매화 형은 어이 함께 들지 못했던가

 

我今倂作風霜契(아금병작풍상계)

내 이제 넷과 함께 바람과 서리의 서약 함께 맺었으니

 

苦節淸芬儘飽諳(고절청분진포암)

곧은 절개 맑은 향기 가장 잘 알았다오

 

퇴계 이황(退溪 李滉,1501~1570)은 조선시대 문신, 학자로

단양군수, 풍기군수, 성균관대사성, 대제학, 지경연을 역임했으며,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퇴도(退陶)·

도수(陶叟)이며, 시호는 문순공(文純公)이다.

 

雪梅(설매)  - 조식(曺植)

歲晩見渠難獨立(세만견거난독립)

늙으막한 나이에 그사람 홀로 서기도 어려운데

雪侵殘夜到天明(설침잔야도천명)

눈 내린 남은 밤을 하얗게 세웠구나,

儒家久是孤寒甚(유가구시고한심)

선비 집 가난이야 오래된 일이지만

更爾歸來更得淸(갱이귀래갱득청)

네 다시 와 주어서 다시 맑음 얻었네라.

 

남명 조식(南冥 曺植, 1501~1572))은

조선 중기 이황과 함께 영남유학의 지도자였던 조선의 학자로

주부를 시작으로 종부시 주부, 사도시 주부 등 여러 벼슬에 임명됐지만

모두 사퇴하고 오로지 처사로 자처해 학문에만 전념했다.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건중(楗仲), 호는 남명(南冥).

시호는 문정공(文貞公)이다.

 

산청 산천재 남명매

매화나무는

매화· 매화나무· 일지춘(一枝春)· 군자향(君子香)이라고도 한다.

예로부터 난초· 국화· 대나무와 더불어 4군자의 하나로 유명하다.

매실나무는 흰 꽃이 피는 것을 기본형으로 삼고 있으나

분홍 꽃이 피는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흰매화(흰매실)라 부르며

분홍 꽃이 피는 것은 분홍매화(분홍매실),

꽃잎이 5개보다 많은 것은 많첩흰매화(많첩흰매실)· 많첩분홍매화(많첩분홍매실)

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외에도 꽃잎이 다소 옥색을 보이는것은 청매,

붉은색은 홍매, 아주 더 검붉은것은 흑매라 부르기도 한다.

광양 청매실농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