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향교는 1398년(조선 태조7) 중구 교동에 창건하였다가
임진왜란때 소실된 후 1599년에 달성공원으로 이전 재건하였으며,
1605년 다시 원래 위치인 교동으로 이건하였다가,
1932년 현재의 자리인 중구 남산동으로 이건한 후 현재에 이른다.
"신축년 춘계석전대제 봉행"
2021년 3월 20일(토) 10:00(신축년 2월 상정일,上丁日) 대구향교" 현수막
외삼문(外三門)을 들어서면 정원에 자리잡은 공자상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이 공자상(孔子像)은 대구의 자매도시인 중국 청도(칭따오)시에서
백옥으로 제작하여 1997년 10월 달구벌 축제 때에 우리시에 기증하였다.
명륜당(明倫堂)은 유학을 가르치던 향교의 강학당이다.
명륜(明倫)’이란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으로, "맹자" 등문공편(滕文公篇)에
“학교를 세워 교육을 행함은 모두 인륜을 밝히는 것이다.”라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명륜당을 중심으로 동쪽(좌측)이 동재, 서쪽(우측)은 서재이다.
동재와 서재는 유생들이 기숙을 하며 공부하던 곳으로
동재는 양반자제가, 서재는 평민자제가 주로 이용하였다.
낙육재는 1721년(경종 1)에 설립된 관립도서관의 산실로
인재양성과 문풍진흥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유능한 선비들을 선발하여 기숙시켜가며 독서및 학문연구에 이바지 하였다.
양사재는 향리에서 봄,가을로 선발한 유생들을 기숙시키며 강학하였으며,
향시(鄕試,시험)를 치를때는 시험장소로 사용된 곳으로, 1766년에 설립하여
교동에 창건하였는데, 그 후 멸실 되었다가, 1991년 이곳에 복원하였다.
현재는 여성유도회와 여성예학연구원의 교육도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내삼문(內三門)은 말그대로 바깥채에서 안채로 드나드는 삼문을 말하는데
향교에서는 대성전을 출입하는 문으로, 가운데 문은 신이 드나드는 문이며
나머지는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향(香) 등을 들고 다니는 향로다.
동소문(東小門)은 대성전을 드나드는 작은 문(협문)으로
명륜당이나 낙육재등으로 연결되며, 평소에 출입하는 문이다.
대성전과 동무,서무는 공자를 비롯한 명현(名賢)들의 위패를 봉안한 장소이다
대성전(大成殿)에는 공자(孔子)를 중심으로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등 오성(五聖)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으며, 동무(동종),
서무(서종)에는 신라 2현, 중국 2현, 고려 2현, 조선 14현을 봉안하고 있으며,
춘추(음력 2월, 8월 상정일,上丁日)로 석전대제를 봉행한다.
2021년 봄 석전대제는 3월 20일(정묘,丁卯) 10시 이다.
대성전(大成殿)은 1601년(선조 34)에 지어진 건물로, 대구시 문화재자료 제1호이다.
오성(五聖)
공자(孔子, BC551~BC479)
안자(顔子, ~BC500), 증자(曾子,BC505~BC436),
자사지(子思子,BC483~BC402), 맹자(孟子,BC371~BC289)
중국 송조 2현(宋朝 二賢)
휘국공(徽國公) 주희(朱熹,1130~1200), 예국공(豫國公) 정호(程顥,1032~1058)
우리나라 18현(十八賢, 신라 2현, 고려 2현, 조선 14현)
1.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650?~740?) 양당(兩堂). 신라 고승, 원효(元曉)의 아들
2.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857~?) 고운(孤雲), 신라 때 당나라에서 수학
3.문성공 안향(文成公 安珦,1243~1306) 매헌(晦軒), 고려 충렬왕 때 수문관태학사
4.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1337~1392) 포은(圃隱),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
5.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1454~1504) 한훤당(寒暄堂), 형조좌랑, 중종 때 우의정에 추증
6.문헌공 정여창(文獻公 鄭汝昌,1450~1504) 문헌(文獻), 현감, 중종 때 우의정에 추증
7.문정공 조광조(文正公 趙光祖,1482~1519) 정암(靜菴) 대사헌, 영의정에 추증
8.문원공 이언적( 文元公 李彦迪,1491~1553) 회재(晦齋), 좌찬성, 영의정에 추증
9.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1501~1570) 퇴계(退溪), 대제학, 영의정에 추증
10.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1510~1560) -하서(河西), 홍문관교리, 영의정에 추증
11.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1536~1584) 율곡(栗谷), 이조판서, 영의정에 추증
12.문간공 성혼( 文簡公 成渾,1535~1598) 우계(牛溪), 좌참찬, 우의정에 추증
13.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1548~1631) 사계(沙溪), 형조참판, 영의정에 추증
14.문경공 조헌(文敬公 趙憲,1544~1592) 중봉(重峯), 첨정, 영의정에 추증
15.문경공 김집(文敬公 金集,1574~1656) 신독재(愼獨齋), 판중추부사, 영의정에 추증
16.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1607~1689) 우암(尤菴), 좌의정, 영의정에 추증
17.문정공 송준길(文正公 宋浚吉,1606~1672) 동춘당(同春堂), 이조판서, 영의정에 추증
18.문순공 박세채(文純公 朴世采,1631~1695) 현석(玄石), 좌의정
공기(孔紀) 2572년 신축 2월 초8일 석전대제, 초헌관(대구행정부시장 채홍호)등과 헌성록
이존덕위심(以尊德爲心), 이읍양위속(以揖讓爲俗)
덕을 높여서 마음으로 삼고, 사양하는 공손함을 풍속으로 삼아라
'문화유산산책 > 누.정.서원.향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지정 보물을 찾아서~(12)안동 도산서원내 도산서당과 농운정사 (0) | 2021.04.02 |
---|---|
2020지정 보물을 찾아서~(11)강릉향교 대성전과 명륜당, 전랑 (0) | 2021.03.27 |
생육신을 봉안한 함안 서산서원(西山書院) (0) | 2021.02.19 |
2020지정 보물을 찾아서~(10)상주향교 대성전과 동무.서무 (0) | 2021.02.06 |
2020지정 보물~(9)수원향교 대성전 (0) | 2021.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