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그곳에 가고싶다/광주.전라권

여수 영취산 흥국사 홍교(虹橋,보물 제563호)에서

by 안천 조각환 2021. 11. 21.

 

여수 흥국사 홍교(虹橋)는 다리 높이가 5.5m, 길이 40m, 너비 3.45m,

홍예(虹霓) 지름이 11.3m나 되는 부채꼴 모양의 화강석 86개를 맞추어

틀어올린 홍예(무지개 모형)로 완전한 반원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규모가 가장 큰 홍예석교이며, 보물 제563호로 지정되어 있다.

 

흥국사 홍교

 

흥국사 홍교는 1639년 계특대사(戒特大師)가 축조한 것으로,

단아하고 시원스러운 홍예의 양옆으로는 학이 날개를 펼친 듯

둥글둥글한 잡석으로 쌓아올린 벽이 길게 뻗쳐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가 너럭바위로 된 계곡의 암반 위에 세워져 있다. 

 

이 홍교를 지나면 바로 흥국사 입구이다

 

홍교 위 풍경

 

흥국사 입구

 

보물 제563호의 홍교를 살펴보고 호국사찰인 흥국사로 발걸음을 옮긴다.

 

흥국사 천왕문 입구

 

흥국사(興國寺)는 여수 영취산(靈鷲山)에 있는 사찰로

1196년(고려 명종 26) 고려후기 승려 보조국사 지눌이 창건하였으며, 

나라가 흥하면 이 절도 흥할 것이라는 흥국의 염원을 담아,흥국사라 하였다.

호국을 우선으로 하고 호국을 위해 300여명 이상의 승군이 주둔하였으며

승군은 수차례에 걸쳐 왜적을 물리치기도 했었는데, 조선말에 해산되었다.

 

대웅전 (보물 제396호)

 

흥국사에 현존하는 당우로는 보물 제396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1645년에 건립한 팔상전(八相殿)과 불조전(佛祖殿), 순조 때 건립한 원통전(圓通殿),

그 밖에 응진전· 무사전(無私殿)· 첨성각(瞻星閣)· 적묵당(寂默堂)· 심검당(尋劒堂)· 노전(爐殿)·

백련사(白蓮舍)· 법왕문(法王門)· 봉황루(鳳凰樓)· 천왕문(天王門)· 영성문(迎聖門) 등

15동의 건물이 있는데, 여러번의 중수와 해체 복원등을 거쳐 오늘에 이른다.

.

대웅전 문고리(엄청 크다)

 

대웅전 내부와 후불탱화

 

대웅전의 후불탱화는 1693년(숙종 19)에 천신(天信)과 의천(義天)이

제작한 것으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6보살· 사천왕상· 6대제자·

6분신불(六分身佛)과 기타 성문(聲聞)이 배치된 그림이다.

1974년 7월 9일 보물 제578호로 지정되었다.

 

불조전(佛祖殿)

 

이 불조전에는 고승의 영정 9점이 봉안되어 있다.

 

팔상전(八相殿)

 

팔상전에는 석가의 일대기를 묘사한 팔상탱화가 봉안되어 있는데

이 팔상탱화는 석가의 일대기를 8폭으로 나누어 제작한 것이라 한다.

 

봉황루(鳳凰樓)

 

봉황루에는 범종과 흰 코끼리 위에 놓인 특이한 법고(法鼓)와

이 사찰의 연혁 및 신도활동 등을 알 수 있는 현판들이 있다.

 

이 밖에도 중요 문화재로는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된 괘불(掛佛),

사적비와 경전 93권, 경판 236매, 법수대사탑(法守大師塔)· 경면당탑(敬面堂塔)·

호봉당탑(虎峯堂塔)을 비롯한 부도 13기 등이 있다.

흥국사 절 일원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8호로 지정되어 있다

 

붉게 물든 영취산 단풍

 

순조 때 건립한 원통전(圓通殿)

 

영취산 계곡

 

백팔돌탑공원

 

 

사물루(四物樓)

 

사물루란 범종. 법고. 운판. 목어 등 사물이 걸려있는 누각을 뜻한다

 

13기의 부도(승탑)

 

흥국사의 단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