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그곳에 가고싶다/대구.경북권

영덕 괴시리마을의 목은 이색 기념관

by 안천 조각환 2023. 5. 5.

목은 이색(李穡,1328~1396)선생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이며, 아버지는 찬성사 이곡(李穀)으로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이다.

고려후기 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학자이다.

포은 정몽주,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서

고려의 멸망과 함께 은둔하였으며, 시호(諡號)는 문정(文靖)이다.

 

목은 이색 생가(우)와 목은기념관(좌)

 

목은 이색의 아버지 가정 이곡(稼亭 李穀, 1298~1351)은 급제하기전에 

유람(遊覽)으로 영해에 왔다가 사족(士族)인 김택(金澤)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며,

목은 이색은 외가인 이곳 영덕군 영해의 괴시리에서 태어나

외할아버지인 김택에게서 한학을 배우며 자라나 소년기를 보냈다.

 그 뒤 목은 이색은 부친 이곡을 따라 원나라 연경에서 유학하였는데

그 때 있었던 동네이름이 괴시마을이었으며, 그 후 고려에서 벼슬살이를 마치고

태어난 동네에 와보니 유학시절 마을과 흡사하여 괴시리라 이름하였다고 한다.

 

이색 생가

 

영덕군에서는 목은(牧隱) 이색(李穡)선생의 유적을 기리기 위하여

옛 문헌에 묘사된 대로 생가터를 복원 시키고 목은 기념관을 건립하였다.

목은 이색 기념관에는 이색의 영정, 문집판, 목은집 (牧隱集) 등

목은 이색 관련 유물들이 전시 되어 있다.

 

목은 이색 기념관

 

목은 이색 석조 좌상

 

기념관 입구 방명록

 

이색선생 초상과 연보, 가계도

 

목은 이색선생의 사상등 관련영상

 

전시물

 

이색선생관련 사진자료

 

문집판

 

관련도서

 

생가(복원)옆 목은 이색 생가지

 

가정 목은 양선생 유허비(稼亭 牧隱 兩先生 遺墟碑)

 

고려말의 가정 이곡선생과 아들인 목은 이색선생의 유적을 추모하는 석비로

1796년에 세워졌으나, 비바람에 돌이 깎이고 부러진 옛 석비이며

1971년에 새로운 석비와 비각을 세웠다.

 

목은 기념관 전경

 

기념관 앞뜰의 목은 시비

 

영해 동녘바다 해돋이

(영해동명간출일, 寧海東明看出日)

 

  ~  목은 이색(李穡,1328~1396)

 

외가댁은 적막한 바닷가 마을에 있는데

풍경은 예로부터 사람들 입에 올랐었네.

동녘 바다 향하여 돋는 해를 보려하니

감격스런 장관에 갑자기 눈시울이 젖어오네.

 

황량한 마을서 하룻밤 단란하게 묵으면서

젊은 시절 회포를 자세히 논해보지 못하였는데

회상컨데 몇 년 새에 선배들은 다 떠났고

아침 까치 지저귀더니 어느듯 또 황혼일세.

 

외삼촌을 위하여 청향정 기문을 짓고 시를 쓰다

위 구씨작 연정기인 부차(爲 舅氏作 蓮亭記因 賦此) 

 

~  목은 이색(李穡,1328~1396)

 

청향정기를 겨우지어 이루긴 했으나

병난 뒤의 문장이 어찌 전할 만 하리오.

나의 고심을 후학에 밝히긴 부끄럽고

맑은 덕이 전현을 이음은 부러워라.

 

바람에 펄럭이는 연잎은 이슬방울 기울이고

아침 햇살 비친 연꽃은 흰 연기를 끌어오네.

부질없이 염계(濂溪)가 홀로 사랑했다 말하지만

함창(咸昌)에도 이렇듯 뛰어난 선경이 있다오.

 

 

*이색은 1389년(공양왕 1)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우왕이 강화로 쫓겨나자

조민수(曺敏修)와 함께 창왕(昌王)을 옹립, 즉위하게 하였다.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가 되어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창왕의 입조와 명나라의

고려에 대한 감국(監國)을 주청해 이성계(李成桂) 일파의 세력을 억제하려 하였다.

이성계 일파가 세력을 잡자 오사충(吳思忠)의 상소로 장단(長湍)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함창(咸昌)으로 옮겨졌다가 이초(彛初)의 옥(獄)에 연루되어

청주의 옥에 갇혔는데 수재(水災)가 발생해 다시 함창으로 옮겨 안치(安置)되었다.

1391년에 석방되어 한산부원군(韓山府院君)에 봉해졌으나,

1392년 정몽주가 피살되자 이에 연루되어 금주(衿州: 현재 서울시 금천구 시흥)로

추방되었다가 여흥(驪興: 현 여주), 장흥(長興) 등지로 유배된 뒤 석방되었다.

1395년(태조 4)에 한산백(韓山伯)에 봉해지고, 이성계의 출사(出仕) 종용이 있었으나

끝내 고사하고 이듬해 여강(驪江)으로 가던 도중에 죽었다.

 

백설이 자자진골에 구름이 머흐레라

반가운 매화는 어느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서서 갈곳 몰라 하노라. 

 ~ 이색

 

고려의 국운이 쇠퇴해 가는 상황에서 심산유곡으로 몸을 숨긴

고려의 충신들을 그리워하고 점점 허물어지고 있는 고려 왕조와

무력해진 자신을 한없이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나타낸 시이다.

 

부벽루(浮碧樓)   ~ 이색

 

어제 영명사를 지나다가  /  잠시 부벽루에 올랐었네

텅 빈 성엔 한조각 달이요  /  오래된 바위에는 구름만 천년을 떠도네.

기린말이 가서 돌아오지 않으니  /  천손은 어느 곳에서 노니는고

돌비탈에 기대어 휘파람 부노니  /  산은 푸르고 강은 절로 흐른다.

 

작과영명사(昨過永明寺)  잠등부벽루(暫登浮碧樓) 
성공월일편(城空月一片)  석로운천추(石老雲千秋) 

인마거불반(麟馬去不返)  천손하처유(天孫何處遊) 
장소의풍등(長嘯倚風磴)  산청강자류(山靑江自流) 

목은 기념관 입구의 이팝나무꽃

 

영해 괴시리마을에서 목은 기념관 가는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