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시위운동은 1919년 3월 8일이다.
2월 24일 경상도지역 연락책임자인 이갑성(李甲成,민족대표 33명)의
방문을 받은 남성교회 목사 이만집(李萬集)을 필두로 3월 8일을
거사일로 정하여, 준비도중 발각된 계성학교 교사 백남채의 체포에도
불구하고 거사일에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구보행진을 진행했다.
제106주년 3.1절 기념 3.1만세운동 재현행사(청라언덕 행사장)
1919년 3월 2일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 이용상(李容祥)이
서울에서 가져온 독립선언서 200여 매를 전달받아 계성학교 교사
백남채(白南埰), 이상백(李相佰) 등과 함께 동지규합에 들어갔으며
3월 8일 일어난 대구지역 만세운동이 경상북도지역 3·1운동의 효시였다.
3.1만세운동 재현 식전행사
거사일인 3월 8일은 서문 밖 장날로 이만집은 운동권유를 맡고
김태련(金兌鍊)은 독립선언서 등의 준비를 맡았으며,
백남채(白南埰), 최상원(崔相元), 신명여학교 교사 이재인(李在仁)은
학생동원을 맡았으며, 대구성경학원의 강습생 중 14~15명도 참가하였다.
3월 7일 대구에 도착한 평양숭실학교 학생 김무생(金武生)은
대구고등보통학생인 신현욱(申鉉旭), 허범(許範) 등에게 서울,평양의
상황을 알려 학생참가를 권유했으며, 이날 시위운동은
김태련의 독립선언서 낭독으로 시작되어 이만집의 선창으로
"대한독립만세"를 외친 후 시위대의 구보행진으로 이어졌다.
기념사
이날은 이만집 남성교회(현 제일교회) 목사 등 기독교 지도자들과
계성학교를 중심으로 신명학교 교사와 학생 50명, 대구고보 학생 200여명,
동산성경학당(현 영남 신학대) 강습생 20명과 장꾼, 농민 등 1천여명이
만세시위운동에 참가했으며, 157명이 체포되었다.
3월 10일 남문 밖 장날에도 박남준,박태현 등
학생과 시민 수십 명이 만세시위를 벌이다가 65명이 체포되었으며,
이어 30일에는 남문 밖 장터에서 윤학조(尹學祚) 등 3,000여 명이,
4월 15일에는 대명동 공동묘지 부근 등으로 계속 이어졌다.
2025년 3월 1일 3.1절 106주년을 기념한 대구의 만세운동
재현행사는 청라언덕에서 시작하여 3.1만세운동길 90계단을 지나
이상화, 서상돈 고택까지 만세삼창을 외치며 행진하였다.
독립선언서 낭독
독립만세운동 참가신청 접수하는곳
3.1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출발
3.1만세운동길 90계단(위쪽)
3.1만세운동길 90계단(아래쪽)
계산성당앞을 지나 이상화,서상돈 고택으로
서상돈 고택앞
서상돈고택앞에서는 국악 밴드 "이상국악 앙상블 리뉴얼"의
'병적계절', '아리랑연곡', '아름다운 나라' 등을 공연하며 마무리하였다.
서상돈고택
3.1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에 참여하고 공연행사를 관람하는 시민들
'그곳에 가고싶다 > 대구.경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국의 터, 대구형무소 역사관 (0) | 2025.03.03 |
---|---|
대구 관덕정(觀德亭) 순교기념관 (0) | 2025.03.01 |
포항 환호공원의 스페이스워크(SpaceWalk) (0) | 2025.02.25 |
내연산 청하골에서 봄이 오는 소리를 (0) | 2025.02.25 |
주왕산의 겨울폭포를 찾아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