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록이 무르익어가는 5월을 맞아 도동서원을 찾았다.
도동서원은 한훤당 김굉필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선조 원년인 1568년에 처음 세워 쌍계서원이라 불렀다.
달성 도동서원 은행나무
그러나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져 선조 37년(1604) 지금 있는
자리에 사당을 다시 지었고 선조 40년(1607)에 선조임금이 직접
도동서원이라고 쓴 현판을 하사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고종 때 서원철폐령의 대상에서 제외된 47개 서원가운데 하나이다.
수월루(水月樓)
한훤당 김굉필선생의 외증손인 한강 정구(鄭逑)선생이
서원을 세우고 한훤당 김굉필 선생을 제향했는데,
그뒤 1678년(숙종 4) 정구(鄭逑)선생 자신도 추가 배향되었다.
환주문(喚主門)
달성 도동서원의 중정당,사당,사당담장은 각각 보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도동서원 강당
김굉필(金宏弼,1454~1504)선생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성리학자,
화가로, 본관은 서흥, 호(號)는 한훤당(寒暄堂), 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
말곡(末谷)이며 자(字)는 대유(大猷), 사후에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소학에 심취하여 스스로 "소학동자"라 칭하였고 "소학"의 가르침대로 생활하였다.
1607년(선조 40)에 선조대왕이 직접 써서 하사한 "도동서원(道東書院)" 사액 현판
서흥(瑞興)김씨 시조 김보(金寶)는
신라 경순왕 김부(金溥)의 후예로 고려시대 경종 말엽과
성종 초엽에 금오위 정용중랑장(金吾衛 精勇中郞將)을 지냈다.
사당 ~ 김굉필과 정구 두분을 배향하고 있다.(2월과 8월에 향사)
그뒤 시조(김보)의 고손(高孫)인 김천록(金天祿)은 고려 중엽
삼별초(三別抄)의 난 진압과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이 일본을 정벌하고자
진군할 때에도 전공을 세워 대장군(大將軍), 판판도사사(判版圖司事)에 오르고
서흥군(瑞興君)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본관을 서흥(瑞興)으로 하였다.
서흥(瑞興)은 황해도 북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도동서원 석조물
체험교육을 받고있는 한복차림의 학생들
한훤고택(김굉필 선생 고택) 입구
고택대문채
안채 등 고택전경
안채와 안채뒤의 사당
안채
안채 마당에서 보는 불두화와 대문간채
안채앞의 좌우 건물
한훤고택입구 은행나무
한원고택 인근의 현풍곽씨 12정려각 삼강문(三綱門)
정려각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고자 정문(旌門)을 세우고 표창하기 위해
건립한 상징적인 건물로, 그 내부에 정려비나 현판처럼 만든 정려기(旌閭記)를 모신다.
현풍곽씨 12정려각(玄風郭氏 十二旌閭閣)
현풍 곽씨 십이정려각(玄風郭氏十二旌閭閣)은 유교 도덕의
기본이 되는 삼강(三綱)을 지킨 곽씨 집안 12인을 기리는 정려비이다.
정려각에는 1598년(선조 31)부터 영조 임금(재위 1724~1776) 때까지
곽씨 일문에 포상된 12인의 정려가 모셔져 있다.
1)임진왜란 때 안음현감 곽준이 황석산성에서 두 아들 곽이상,곽이후와
함께 전사하자 그의 며느리와 출가한 딸이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기에
선조 임금이 정려했다. 곽준의 딸은 유문호와 결혼했는데,
남편이 일본군에게 사로잡히자 이미 성 밖에 나와 있던 그 딸은
그 소식을 듣고 목메어 자결했다(5인).
2)곽재훈(郭再勳)의 아들 4형제가 임진왜란 때
비슬산 자락의 사효자굴(四孝子窟)에서 병환 중에 있는 아버지를
일본군으로부터 죽음으로 지켜드렸기에 선조 임금이 정려했다.
곽결, 곽청, 곽형, 곽호 4형제가 효자사공(孝子四公)으로 정려되었다(4인).
3)곽재기(郭再祺)의 부인 광주 이씨(廣州李氏)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 쫓기게 되자 순결을 지키기 위해 물에 투신,
자결했기에 선조 임금이 정려했다(1인).
4)곽홍원(郭弘垣)의 부인 밀양 박씨는 강도가 들어와 남편을 해치려
하자 죽음으로써 남편을 보호하였기에 현종 임금이 정려했다(1인).
5)곽수영의 부인 안동 권씨는 결혼 후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남편이 지병으로 인하여 위독하게 되자 자신이 대신 죽기를 원했으나,
남편이 사망하자 식음을 전폐하고 따라 죽었다. 현종 임금이 정려했다(1인).
'그곳에 가고싶다 > 대구.경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성 가창 조길방(趙吉芳) 고택 (0) | 2025.05.11 |
---|---|
장원급제길 괘방령(掛榜嶺) (0) | 2025.05.04 |
팔현생태공원 유채꽃과 수리부엉이 (4) | 2025.04.17 |
고령 도진마을 삼색 능수도화에 취하다 (0) | 2025.04.17 |
대구 동구 산불진화 헬기 추락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