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쉬어 가는곳/이야기 마당

송강 정철과 강아의 사랑이야기

by 안천 조각환 2018. 11. 21.

송강 정철(1536~1593)의 본관은 연일(延日)이고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이며,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서울에서  출생하였으며 1551년 아버지를 따라 할아버지의 산소가 있는

전라도 담양 창평 당지산(唐旨山) 아래로 이주하여 과거에 급제할 때까지 10여년을 보냈다.

1560년(명종 15) 25세 때 서하당(棲霞堂)과 식영정(息影亭)을 배경으로 한 성산별곡을 지었으며,

1580(선조 13) 45세 때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는데 이때 관동별곡훈민가(訓民歌)16수를 지어

시조와 가사문학의 대가로서의 재질을 발휘했다.

1585년 고향인 담양 창평으로 돌아가 4년간 은거생활을 할 때 사미인곡, 속미인곡등을 지었다.

작품으로는 성산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 4편의 가사와 시조 107수가 전한다.

 

-식영정의 가을-

 

송강(松江) 정철(鄭澈)1581년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하게 되는데

이때 전라도 기녀인 진옥(眞玉)을 만나게 된다.

진옥은 정철의 호인 송강(松江)()자를 따라 강아(江娥)라고 불렸다.

강아는 시조문학에 있어 송강첩(松江妾)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시조 문헌 중에 누구의 첩 이라고 기록된 것은 오직 강아 뿐이다. 

대개는 남원명기 평안기 등 기명을 적었으나

강아는 기녀였음에도 불구하고 송강첩으로 기록돼 있다 

 

-부용당-

 

불과 십여 세 남짓의 어린 소녀였던 강아에게

머리를 얹어 주고 하룻밤을 같이했으나, 명예로운 첫 서방의 이름을 빌려주었다.

정철의 인간다움에 반한 강아는 어린 마음에도 그가 큰 사람으로 느껴졌다.

정철 또한 어리지만 영리한 강아를 마음으로 사랑하며

한가할 때면 강아를 앉혀 놓고 틈틈히 자신이 지은 사미인곡을 외어 주고,

장진주 가사를 가르쳐 주며 정신적인 교감을 나누었다.

 

 그러나 1582년 9월 도승지로 임명받은 정철은 열 달만에 다시 서울로 떠나게 된다.

정철이 서울로 돌아간다는 이야기를 들은 강아는 자신의 신분과 처지에 낙담한 채,

체념의 눈물을 흘릴 뿐이었다그러한 강아의 마음을 눈치챈 정철은

서울로 떠나면서 작별의 시를 주어 그녀의 마음을 위무한다.

 

봄빛 가득한 동산에 자미화 곱게 펴

그 예쁜 얼굴은 옥비녀보다 곱구나.

망루에 올라 장안을 바라보지 말라.

 거리에 가득한 사람이 모두 네 고움을 사랑하네.  

 

  그가 남기고 간 시에는 강아에 대한 따뜻한 배려와 당부의 마음이 담겨져 있었다.

 좋은 낭군을 구해서 시집을 가 잘 살고,

서울 장안의 자기를 생각하지 말라는 뜻이 담긴 시였던 것이다.

 하지만 순진한 강아는 정철의 당부를 끝내 받아들이지 못한 채

그를 향한 그리움으로 긴 세월을 보내게 된다.

 

 

그로부터 10. 철부지 어린 나이에 정철을 만나 머리를 얹은 이후로

단 한순간도 그를 잊지 못했던 강아는 관기(官妓)노릇을 하면서도

언제든 다시 정철을 만나겠다는 열망으로 십년고절의 세월을 버텨낸다.

기생의 처지로 다른 남자의 유혹을 거부하며 수절을 한다는 것은 그렇게 녹록한 일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 깊은 애모와 여심의 끝에 들려온 소식은, 

정철이 북녘 끝 강계로 귀양을 갔다는 기막힌 소식이었다.

정철의 귀양소식을 들은 강아는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없었다.

그녀는 이제야 정철을 만날 수 있다는 희망과

귀양살이를 하는 정철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서둘러 행랑을 꾸리고 길을 나섰다. 

작은 발로 삼천리 길을 걸어 강계로 달려온 강아는 위리에 안치되어

하늘 한자락 보이지 않게 가시나무로 둘러쌓인 초라한 초막에

홀로 앉아 책을 읽는 정철을 확인하고 눈앞이 어질어질해져 왔다.

정철의 초췌한 모습에 진주같은 눈물만 뚝뚝 흘리며 그 앞에 엎드린 강아는

기쁨과 설움이 어우러져 통곡이 목구멍을 짓눌러 오르는 것을 느껴야 했다.

 

-서하당-

 

자기 앞에 엎드려 우는 어여쁜 여인을 본 정철은 당황하며

그녀가 누구인지 물었다. 정철이 강아를 몰라본 것이었다. 

그도 그럴것이 10년전 강아는 십여 세 안팎의 어린 소녀였으니

성장한 강아의 모습을 상상하기 어려웠을 것이었다.

유배지의 적소로 스산한 바람이 불어 오고 이내 달이 떴다.

달빛 아래 엎드려 우는 여인을 보던 정철은 그녀의 모습이 한 마리 백학처럼 느껴졌다.

울음을 그친 강아가 조용히 입을 열었다..저를 몰라보시는지요

10년 전 나으리께서 머리를 얹어 주셨던 진옥이옵니다.  

정말 뜻밖의 일이었다.

 

정철은 다시 한 번 여인의 얼굴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네가 정말 진옥이더냐?. 몰라 보겠구나. 그런데 어떻게 이곳까지 찾아왔느냐?”  

정철은 자신도 모르게 강아의 맑고 아름다운 모습에 끌려들고 있었다.

강아는 지난 세월동안 그를 한번도 잊은 적이 없다는 것과

그의 귀양소식을 듣고는 적거(謫居)생활을 보살피고자 부랴부랴 달려왔다는 것을 고백했다. 

대 정치가이자 일세의 문장가인 정철의 유배생활은 보기에도 가혹해 보였다.

그러나 정철은 실의와 비탄 속에서도 꼿꼿한 자세로 모든 현실을 받아 들이고 있었다.

침침한 호롱불을 사이에 두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았다.

강아는 정철을 앞에 두고도 정녕 믿기지 않았고,

 

 

-소나무와 정자-

 

정철은 강아를 볼수록 살풋한 여인의 향기에마음이 어지러웠다. 

말을 잃은 두 사람 덕분에 방안엔 정적만이 무겁게 가라앉아 있었다. 

그때 조용히 강아가 입을 열고 어린 시절 정철에게서 듣고 외웠던

사미인곡장진주 가사를 노래 부르기 시작했다.

목소리가 꾀꼬리처럼 청아한 울림을 주는 소리였다.

기백 넘치던 정철의 얼굴이 놀라움과 기쁨으로 물들어가고 있었다.

그것을 네가 아직도 외우더냐?” 정철이 물었다.

, 나으리께서 배워 주신 것을 어찌 잊을 수 있겠습니까?

나으리가 그리울 때면 가야금을 타고 마냥 불렀던 노래이옵니다.

강아의 뺨은 이미 붉은 홍시처럼 물들고 있었다.   

그런 강아의 모습을 바라보던 정철의 입가에도 빙그레 미소가 넘쳤다.

 

-식영정에서 보는 광주호-

 

어느날 두 사람이 술상을 마주하고 앉았다.

거나해진 정철이 입을 열었다.

"진옥아!  내가 한 수 읊을 테니, 너는 그 노래에 화답을 해야 한다.

~~~   지체해서는 안 되느니라.

강아는 조용히 고개를 끄덕였다.

이윽고 정철이 목청을 가다듬어 시를 읊는다.

 

()이 옥이라 커늘 번옥(燔玉)만 여겼더니,

이제야 보아하니.진옥(眞玉)일시 적실(분명)하다.

나에게 살송 곳 있으니 뚫어볼까 하노라.

 

탁월한 시인이었던 정철은 강아에게 흠뻑 빠져

노골적인 음사(淫辭)를 시의 옷을 빌어 내비쳤다. 

번옥이란 분명 진옥을 은유한 것으로

남여간의 육체적 합일을 바라는 정철의 육정이 배어 있는 시였다. 

 

-성산별곡의 배경이 된 식영정-

 

지체없이 강아가 그의 시에 화답한다.   

 

()이 철()이라거든 석철(錫鐵)만 여겼더니.

이제야 보아하니 정철(正鐵)일시 분명하다.

마침 내게 골풀무 있으니 녹여볼까 하노라.

 

화답을 들은 정철은 탄복했다.

강아의 시는 당대의 대문장가인 정철을 깜짝 놀라게 할만 큼 뛰어난 것이었다

.강아는 정철을 쇠로 비유하며 멋지고 견고한 남성을 만나면,

자신의 골풀무로 흔들어 놓을 수 있다며 그에게 응수했다.'

골풀무' . 불을 피우는데 바람을 불어 넣는 풀무'인데,

강아는 이를 '남자를 녹여내는 여자의 성기(性器)'은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만하면 글자 그대로 강아는 '명기(名妓)', 뛰어난 시인이었던 것이다. 

 

이윽고 살송곳을 가진 멋있는 사내와

뜨거운 골풀무를 지닌 기생의 하룻밤은 뜨거운 정염으로 하얗게 무르익어 갔다. 

이에 대한 일화는 시조집 권화악부(權花樂府)에 정송강 여진옥(鄭松江 與眞玉)

끝내 받아들이지, 수답(酬答)의 기록으로 지금도 남아 있다.

그날 이후 정철의 적소생활은 조금도 괴롭거나 우울하지 않았다.

마음이 울적할 때면 강아는 늘 그의 곁에서 기쁨을 주었고가야금을 연주해 주었다.

그러면 헝클어진 정철의 마음에 한 줄기 빛이 흘러들었다.

강아는 단순한 생활의 반려자 혹은 기녀가 아니었다. 

정철에게 강아는 그 이상의 존재였으며 예술적 호흡을 가능케

만들어주는 지혜로운 여인이었던 것이다. 

 

-광주호-

 

정철은 유배지에서 부인 안씨에게 서신을 보낼 때면

강아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적어 보냈다.

부인의 서신 속에도 강아에 대한 투기나 남편에 대한 불평보다는

남편의 적소 생활을 위로해 주는 강아에 대한 고마움이 적혀 있었다.

불우한 남편의 생활 속에서 남편에게 위로를 주는 여자라면,

조금도 나무랄 것이없다는 부인의 글을 받고 정철은 고마웠다. 

강아 역시 부인의 너그러운 마음을 고마워하며 더욱더 알뜰히 정철을 보살폈다.

이제 두 사람 사이에는 누구에게서도 발견할 수 없는

뜨거운 애정의 강물이 마음 밑바닥으로 끊임없이 교류되고 있었다. 

 

 

 그러나 두 사람의 애정관계는 오래 가지 못했다.

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정철을 서울로 부른다. 

정철은 유배지의 생활을 청산하는 기쁨과 나라에 대한 우국,

그리고 강아와의 이별 때문에 마음이 복잡했다.

강아의 심정 역시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으로 정철을 보내면서 강아는 아쉬운 마음을 이렇게 읊었다.

 

          오늘밤도 이별하는 사람 하~ 많겠지요.  

       슬프다~!  밝은 달빛만 물 위에 지네.

애닯다! 이밤을 그대는 어디서 자오.

나그네 창가엔 외로운 기러기 울음 뿐이네. 

 

 

 부인 안씨는 강아와 함께 서울에 올라올 것을 정철에게 권했지만

강아는 끝내 거절하고

강계에서 혼자 살며 정철과의 짧은 사랑을 되새기며 외로운 세월을 보냈다.

그리고 이듬해인 선조 26(1593) 1218,

정철이 강화의 우거에서 생을 마쳤다는 이야기를 들은 강아는

이 세상에 정철이 없다는 가혹한 슬픔 앞에 몸부림치다가 홀연히 강계를 떠났다. 

그리고  그 후.강아의 소식을 아는 사람은 더 이상 아무도 없었다.

 

성산사(사당)

 

오늘날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송강마을에는

송강을 기리는 송강문학관과 더불어 강아의 무덤이 모셔져 있다.

무덤 앞의 묘비 전면은 의기 강아묘 의기강아묘(義妓江娥墓) 다섯 글자가 새겨져 있고,

그 뒷면엔 다음 글이 새겨져 있다.

강아 송강 정철(江娥 松江 鄭澈)이 전라도 관찰사로 재임시 남원의 동기인

자미(紫薇)를 사랑하자 세상사람들이 송강(松江)의 자(字)를 따서 강아라 불렀다.

송강(松江)15829월 도승지에 임명되어 강아(江娥)에게

석별의 시(詩)를 지어주고 임지인 한양으로 떠났다.

(중략) 그 후 강아(江娥)는 송강(松江)에 대한 연모의 정이 깊어

함경도 강계로 귀양가  위리안치 중인 송강(松江)을 찾았으나,

임진왜란이 나자 선조의 특명으로 송강(松江)은 다시 소환되어

15927전라 충청도 지방의 도제찰사로 임명되었다.

 

식영정 소나무

 

 강아(江娥)는 다시 송강을 만나기 위해 홀홀단신으로 적진을 뚫고 남하하다가

적병에게 붙잡히자 의병장 이양(李亮)의 권유로 자기 몸을 조국의 제단에

바치기로 결심하고 적장 소서행장(小西行長)을 유혹,아군에게 첩보를 제공하여

결국 전세를 역전시켜 평양 탈환의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 

그 후 강아(江娥)는 소심(素心)보살이란 이름으로 입산수도하다가

고양 신원의 송강(松江) 묘소를 찾아 한 평생을 마감하였다.

강아와 정철이 남긴 일화는 강계 유배지와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둘로 갈라졌다.

하나는 유배지에서 나눈 사랑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임진왜란을 거점으로 강아가 의기(義妓)로 활약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임진란 이후 강아의 행적에 대한 소상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식영정일원

 

'쉬어 가는곳 > 이야기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맞춤법 바로알기  (0) 2019.01.07
시청 홈커밍데이  (0) 2018.12.16
돈보다 귀한것  (0) 2018.04.24
추소리유정  (0) 2017.12.16
파크골프 상식  (0) 2017.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