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를 보내는 데는 먼저 주인이 신랑의 생년 월일을써서 편지와 함께 보내는 것으로 혼인을 청하는 의식으로 사주를 보내는 법은 간지를 다섯번 접어 그 가운데 쓰며 편지를 보에싸서 같이 보내는 법이다. 백지에 길 이 10cm폭13cm 정도로하며 육십갑자에 따른 간지를 쓴다.
[ 사성 서식 ]
사성(납체)을 보내는 뜻은 천간(天干),지지(地支)에 의하여 궁합등 앞으로의 길흉 도 보고 또 혼례식 날짜를 정하는 택일에도 편리하도록 하는 것인데 이것은 형식을 갖추는데 지나지 않는것이다. 이미 청혼할 때에 서 로 생년 월일과 시를 알아서 비교한후에 허혼(許婚)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있다.
편지쓰는법
伏維新正(복유신정)에 尊體候以時萬重(존체후이시만중)이 仰謂소區區之至 (앙위소구구지 지)이요며 第家兒親事(제가아친사)는 采單(채단)을 錄呈(록정) 하오니 涓吉回示(연길회시) 하심이 如何(여하)하오리까. 餘不備伏惟旣蒙契許(여불비복유기몽계허)하오니 寒門慶幸(한 문경행)이오니다. 尊照謹拜上狀(존조근배상장)
某年 某月 某日(년 월 일) 開城後人 高 某 再拜
[해석] 엎드려 편지를 받자오니 매두 감사하옵니다. 근간에 존체만중 하십니까. 저의 자식 혼사는 이미허락 하심을 받았사오니 저의 가문의 다행이며 경사이 옵니다. 가르치심에 따라 四星 단자를 보내오니 혼인 일자를 회신하여 주심이 어떠하오리까. |
[ 연길 서식 ]
택 일
|
年
月
日
|
際
|
尊 雁 某 年 某 月 某 日 某 時
|
金 海 後 人 金 ∧ 手 決 ∨
| | |
봉 투 뒷 면
|
|
봉 투 앞 면 |
|
연길-신랑집에서 사성을 보내오면 신부집에서 결혼일자를 택일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 의식으로 이때도 편지와 함께 보낸다. 연길은 연길봉투에 앞면에는 涓封이라 쓰고 봉하는 곳에는 謹封이라 쓴다.
편지쓰는법
伏承華翰(복승화한)하오니感荷無量(감하무량)이오이다謹未審玆時(근미심자시) 에尊體候 萬重(존체후만중)이仰慰區區之至(앙위구구지지)라弟女兒親事(제여아 친사)는旣承柱單 (기승주단)하오니寒門慶事(한문경사)라涓吉錄呈(연길록정)하 오니章製回示(장제회시)하 심이 如何(여하)오餘不備伏惟(여불비복유) 尊照謹拜上狀(존조근배상장)
某年 某月 某日(년 월 일) 金海後人 金 某 再拜
장제(章製)-신랑옷의 치수를 말함인데 신부집에서 신랑의 옷을 만들어 주려고 할때에 그 치수를 알려달라는 뜻. [해석] 편지를 받자오니 감사한 마음 한량이 없습니다. 근간에 존체만안 하십니까 저의 여아 혼사 는 이미 사성단자를 받자오니 저의 가문에 경사이옵니다. 결혼일자를 가려서 삼가 보내오 니 신랑의 의복치수를 알려 주심이 어떠하오리까. |
[ 납폐 서식 ]
|
全 州 後 人 李 ○ ○ 再 拜
|
某 年 某 月 某 日 |
尊 照 謹 拜 上 狀 |
謹 行 納 弊 之 儀 不 備 伏 惟 |
尊 慈 許 以 令 愛 贈 室 玆 有 先 人 之 禮 |
尊 體 百 福 僕 之 長 子 ○ ○ 年 旣 長 成 未 有 伉 儷 伏 蒙 |
時 維 孟 春 |
| |
* 혼서지 서식
-한글식
000선생님 귀하
국화향기 그윽한 가을을 맞이하여 평안하심과 언제나 따뜻한 행복이 함께하심을 앙축합니다.
저의 아들 00를 사랑으로 보듬어 주시고 선생남의 소중한 00양을 아내로 맞이 하도록 허락하여 주심은
저희 집안에 크나큰 기쁨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에 옛 어른들의 예절에 따라 납폐(納幣)의 예를 드립니다.
두루 갖추지는 못하였으나 널리 살펴주시기 바라오며 삼가 글을 올립니다.
*혼인전날 신랑이 신부에게 신부용 혼수감과혼서지 및 물목을 넣은 혼수감을 보내는 것을 납폐라 한다. 예전 에는 청단과 홍단 치마감을 넣었을 뿐인데 지금은 다른 옷감 도 넣어 보내는데 이것을 봉채(封采)라 한다. 납폐서장을 쓰는 종이는 백지를 길이 36cm폭60cm 정도로 하여 9칸을 접어 양편 1칸씩 비우고 7칸에 쓴다. [해설] 때는 봄이 부르익은 계절이온데 존체만복 하십니까. 저의 장자OO가 이미 성장하여 배필이 없더니 높이 사랑 하심을 입사와 귀중한 따님으로 아내를 삼게해주시니 이제 조상의 예에 따라 갖추지 못하였으나 삼가 납폐하 는 의식을 행하오니 살펴 주시옵소서.
十二지 시간표
동 물 |
쥐 |
소 |
범 |
토끼 |
용 |
뱀 |
이 름 |
자시(子時) |
축시(丑時) |
인시(寅時) |
묘시(卯時) |
진시(辰時) |
사시(巳時) |
시 간 |
11시~1시 |
1시~3시 |
3시~5시 |
5시~7시 |
7시~9시 |
9시~11시 |
|
동 물 |
말 |
양 |
원숭이 |
닭 |
개 |
돼지 |
이 름 |
오시(午時) |
미시(未時) |
신시(申時) |
유시(酉時) |
술시(戌時) |
해시(亥時) |
시 간 |
11시~1시 |
1시~3시 |
3시~5시 |
5시~7시 |
7시~9시 |
9시~11시 |
혼례절차
- 1.맞선 맞선의 장점은 상대방의 여러 조건을 이상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한편,
- 연애는 극히 감정적인면에 치우쳐 오류를 범하기가 쉽다.
그러나 비교적 상당 기간동안에 상대방의 성격과 생활 감정을 접할 수 있으므로 - 인간 그 자체를 이해하는데는 많은 도움이 된다 하겠다.
사진이나 서류 등을 교환한 다음 서로의 뜻이 어긋나지 않으면, - 중매자는 본이들이 만날 장소와 시간을 마련해 준다.
장소는 다방 제과점 또는 중매자 자신의 집이나 요정 같은 아늑한 방을 빌려 - 본인들과 두 집안사람이 같이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흔히 남자쪽에서 중매자의 안내를 받아 신부 보호자의 집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 가능하면 상대방이 원하지 않으면 식사 시간을 피할 것이며, - 밤의 전등불 밑 보다는 쌍방의 장.단점을 식별할수 있는 낮에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맞선보는 시간을 너무 오래 끌면 서고 피곤할테니 - 가능하면 2시간 이상은 끌지 안는 것이 좋다.
복장은 평소에 입는 옷을 깨끗이 손질하여 다려입고 잘 다듬은 - 손톱, 깨끗한 치마,먼지 없는 신발,평범한 액세사리에 깊지 않은 화장 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요란한 화장과 복장 액세서리는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장 문제가 되는 화제는 동반인과 중매인이 분위기를 살려가면서 - 자연스러운 일상 생활의 주변에서 부터 화제를 찾아 가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음에는 인사 소개와 의례적인 말이 있은 후 둘만의 기회를 마련하여 주어야한다. 2.약혼 야혼은 앞으로 결혼하겠다는 약속에 지나지 않지만,- 예외적인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약혼은 결혼의 전주곡이다.
약혼식 당일의 비용은 신부측에서 전담하는 것이 관례이므로 상대방의 부담을 고려하여 - 신랑측에서 충분한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식장은 통상 신부의 집이되나
- 장소가 비좁거나 마땅치 않으면 음식점이나 그릴을 빌려서 하는 경우가 있다.
3.택일 결혼 날짜를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신부의 신체적 컨디션이다. - 여러가지 사정으로 생리일이 예정일보다 늦거나 빨라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 이를 고려하여 생리가 끝난 날로 부터 일주일 이내에 식을 올리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4.납폐 납폐라 함은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보내는 폐백을 말하며 - 옛날에는 함을 보냈으나 요즈음은 가방으로 대용한다.
- 혼인을 허락해준 감사의 보답으로 홍색,청색 비단이나 기타 옷감을 보내는 것인데
- 요즈음은 신랑 친구들이 가지고 가는 예가 많다. 이때에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하지 않는것이 좋다.
5.결혼 평소에 친면이 없는 사람에게 주례위촉을 하면 실례가 된다. - 평소에 존경하던 분이나 학창시절의 은사 가운데서 인격이 원만한 분을
- 주례로 모시는 것이 좋으며,주례를 위촉할때는 반드시 신랑,신부가 같이 가서 인사를 드려야하며
- 대개의 경우 청첩인이나 부모가 동반해서 부탁하려간다.
신랑 입장시에는 음악이 없는 것이 보통이나 간혹 피아노 반주나 성악곡에 맞추어 입장하는 수도 있다. - 신랑이 입장하여 주례자 앞에 서면 주례께 인사를 드려야 한다.
- 등단한 신랑은 주례의 지시에 따라 뒤로 돌아서서 입장하는 신부를 맞는데,
- 신부가 계단 밑까지 왔을때에 내려가 가볍게 신부의 왼손으 잡아 이끌어 올린다.
- 신부는 아버지나 오빠의 안내를 받아 피아노 반주에 맞추어 입장을 한다.
- 입장이 끝난 신랑, 신부는 주례의 지시에 따라 신
- 랑이 신부의 베일을 벗긴후 허리를 굽혀 맞절을 한다.
신혼 여행에서 돌아오면 그 다음날 주례와 청첩인을 찾아가 인사를 드린다. - 이밖에 자기들의 결혼을 위해 애써준 분들에게 일일이 찾아가 인사를 해야한다.
- 이상으로 현대식 혼례에 대해서 설명을 했는데,가정으례준칙에 어긋남이 없도록 참고 하길 바랍니다.
6.폐백 폐백이라 함은 결혼식이 끝나고 준비한 폐백을 시부모에게 바치고 四拜하는 예법이다. 시아버지에게는 대추를 드리고 시어머니에게는 꿩 혹은 닭을 드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