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그곳에 가고싶다/부산.울산.경남권

"아버님 날 낳으시고"의 주세붕 유적지

by 안천 조각환 2020. 11. 28.

"주세붕" 히면 우리나라 최초로 소수서원을  건립한 사람으로 먼저 떠 올린다.

그리고 익히 아는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하면

아하! 그 시조도 주세붕선생이 지은 것이구나 하고 기억을 드덤는다.

다음으로 주세붕선생이 어디에서 태어났지 하면 글쎄? 하고 갸우뚱 할것이다.

오늘은 경남 함안 칠서 무릉리에 있는 주세붕선생의 유적지 탐방에 나선다.

 

칠서면 무릉리의 주세붕선생 유적지 전경

이곳 바로앞이 태어난 생가터이고, 건물들은 무산서당과 청덕각이며,

큰 건물 뒤 언덕쪽으로는 무산사(사당), 영정각, 장판각이 있고

또 그 뒤 산에는 신재 주세붕선생의 묘가 있다 

 

오른쪽이 무산사(사당), 왼쪽이 영정각, 더 왼쪽에는 장판각이 있다.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은 조선 명종때의 문신, 학자로

 본관은 상주(尙州). 자는 경유(景游), 호는 신재(愼齋)·남고(南皐)·무릉도인(武陵道人)·손옹(巽翁)이며

고려 말에 고조가 경상도 합천에 우거했으나, 아버지대에 칠원(漆原)으로 옮겨살아

칠원에서 출생(일설에는 합천에서 출생했다고 함)하였다.

 

유적지인 "무릉동천 문화지향" 표지석

1522년(중종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후

여러관직을 거쳐 1537년 곤양군수(昆陽郡守), 1541년 풍기 군수가 되었다.

이때 사림 및 그들의 자제를 위한 교육기관으로

1543년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 紹修書院)을 건립했는데,

사묘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을 지닌 우리 나라 서원의 시초를 이루었다.

1545년(명종 즉위년) 내직으로 들어와 성균관사성에 임명되고,

홍문관의 응교· 전한· 직제학· 도승지를 역임했으며, 1548년 호조참판이 되었다.

1549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어 해주에 수양서원(首陽書院)을 건립하였으며,

이후 대사성·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다 병으로 사직하였다.

죽은 뒤 소원에 따라 고향인 칠원 선영에 안장되었으며

후사가 없어 형의 아들인 주박(周博)을 양자로 삼았다.

 

왼쪽이 서원, 오른쪽 언덕위는 사당건물등

백운동서원은 9년뒤인 1550년, 풍기군수였던 이황(李滉)의 청원으로

소수(紹修)라는 사액을 받아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이 되었다.

이에 따라 백운동서원은 점차 풍기 사림의 중심 기구로 변모해나갔으며,

이후 이를 모방한 서원들이 각지에서 건립되었다.

신재 주세붕선생은 뒤에 청백리에 뽑히었고, 

예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諡號)는 문민공(文敏公)이다.

칠원의 덕연서원(德淵書院)에 주향되었고, 백운동서원에도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죽계지(竹溪誌), 해동명신언행록(海東名臣言行錄), 진헌심도(進獻心圖)』가 있으며,

문집으로 아들 박이 편집했다가 전란으로 없어져

1859년(철종 10) 후손들이 다시 편집한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다.

도동곡(道東曲), 육현가(六賢歌), 엄연곡(儼然曲), 태평곡(太平曲), 등 장가(長歌)와

군자가(君子歌) 등 단가(短歌) 8수가 전한다.

 

무산서당

신재 주세붕은 황해도관찰사 재임시

삼강오륜(三綱五倫)의 교훈을 강조하고자 총 6수로된 오륜가를 지었다.

  1수는 서사로써 삼강오륜을 배우는 이유를

2수는 부자유친(父子有親)으로 부모에 대한 자식의 도리

3수는 군신유의(君臣有義)로 임금에 대한 신하의 도리

4수는 부부유별(夫婦有別)로 남편에 대한 아내의 도리

5수는 형제우애(兄弟友愛)로 형제간에 지켜야 할 도리

6수는 장유유서(長幼有序)로 웃어른에 대한 아랫사람의 도리를 읊었다.

 

주세붕의 오륜가(五倫歌)

 

사람 사람마다 이 말씀 들어스라.

이 말씀 아니면 사람이요 사람 아니니

이 말씀 잊지 말고 배우고야 말으리이다.

 

아버님 날 낳으시고 어머님 날 기르시니

부모곳 아니시면 내 몸이 없을랏다.

이 덕을 갚으려 하니 하늘 가이 없으셨다.

 

종과 항것과를 뉘라서 삼기신고

벌과 개아미아 이 뜻을 먼저 아니

한 마음에 두 뜻 없이 속이지나 마옵사이다.

 

지아비 밭 갈러 간 데 밥고리 이고 가

반상(飯床)을 들오되 눈썹에 맞추이다.

친(親)코도 고마우시니 손이시나 다르실까.

 

형님 자신 젖을 내조차 먹우이다.

어와 저 아우야 어머님 너 사랑이야.

형제곳 불화하면 개 돝이라 하리라.

 

늙은이는 부모 같고 어른은 형 같으니

같은 데 불공(不恭)하면 어디가 다를꼬.

날로서 맞이어시든 절하고야 말으리이다.

 

무산서당 마루
청덕각(淸德閣)
서당뒤 경(敬)자 석

이 경(敬)자는 영주 소수서원앞을 흐르는 죽계천의 바위에

붉은색으로 새겨진 글자가 있는데 일명 경자(敬字)바위라고도 한다. 

그 경자를 이곳 무산서당 뒤 큰 돌에 새겨 놓은 것으로

죽계천 바위의 경자는 바로 신재 주세붕선생이 그곳에 있을때 새긴 글자로

경자 위에 퇴계 이황선생이 백운동 세글자를 추가로 새겨 놓았다.

 

영주 소수서원앞 죽계천의 경자 바위

이 경(敬)자는 주세붕선생이, 백운동은 이황선생이 새긴 글자로,

전설에 의하면 이곳에는 밤마다 귀신 울음소리가 들리므로

신재 주세붕선생이 경자에 붉은 색을 칠한 후

위혼재를 드리니 그때부터 원혼들의 울음소리가 그쳤다고 한다.

 

사당인 무릉사
무릉사(武陵祠)
영정을 모신 광풍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2호)

이곳에는 주세붕선생 58세때의 초상화 영인본이 있으며

원본은 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있다.

 

광풍각 내부
신재 주세붕선생 초상화(소수서원에서)
장판각 건물
장판각
장판각 담장 기와지붕
신재 주세붕묘소
무릉리 마을
당과 영정각, 장판각이 있는 담장
오른쪽부터 무릉사,광풍각,장판각이 나란히 있다

'그곳에 가고싶다 > 부산.울산.경남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해 해양공원을 걷다  (0) 2020.11.28
진해 내수면 환경생태공원  (0) 2020.11.28
삼천포 진널전망대 낙조  (0) 2020.11.15
지족해협의 죽방렴  (0) 2020.11.15
남해 홍현리 석방렴  (0) 2020.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