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77호인 의성 탑리리의 오층석탑과 보물 제246호인 의성 고운사의 석조여래좌상
보물 제2078호인 고운사 연수전, 그리고 고운사 삼충석탑 등 의성의 국보와 보물들을 만나본다.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국보 제77호)
이 탑은 신라 석탑의 초기형식을 보이는 것으로 초층 옥신(初層屋身)은 목조건물을,
옥개석은 전탑(塼塔)을 모방한 특이한 양식을 지니고 있다.
총 높이가 9.65m로서 목탑과 전탑 형식을 혼합하면서 전체적으로 전탑적인
외관을 갖췄으며, 모든 신라 석탑의 출발점이 되는 시원형식(始源形式)을 가지고 있다.
감실이 있는 앞면
뒷면
석탑 건축과정 설명도
화전리 산수유마을
탑리에서 고운사 가는길에 산수유축제를 한창 준비중인
사곡면 화전라 산수유마을에 들러 노랗게 물들어가는 고운 봄빛을 잠시 만나본다
의성 고운사 석조여래좌상(義城 孤雲寺 石造如來坐像)
고운사(孤雲寺)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여래좌상은 보물 제246호 이다.
불상의 높이는 79㎝로, 광배(光背)와 대좌를 갖추고 있는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불상의 오른손이 부서져 없어진 것을 제외하곤 온전한 상태이다.
의성 고운사 삼층석탑(義城 孤雲寺 三層石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삼층석탑으로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이다.
연수전 만세문
의성 고운사 연수전
의성 고운사 연수전(義城 孤雲寺 延壽殿)은 보물 2078호(2020.8.31 지정)이다.
이 건물은 영조(1694~1776)와 고종(1852~1919)임금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은 고운사 경내의 유일한 왕실 건물이다.
건물내에는 조선시대에 기로소에 입소한 태조(1335~1408), 숙종(1661~1708), 영조, 고종 등
네분 왕의 묘호(廟號)와 시호(諡號) 휘(諱,이름) 등을 적은 어첩(御帖)을 보관하고 있다.
'그곳에 가고싶다 > 대구.경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 모포항과 호미곶의 샛노란 유채꽃 (0) | 2023.03.21 |
---|---|
의성 사촌마을 만취정과 류성용선생이 태어난 서림 (0) | 2023.03.18 |
청도읍성과 향교,동헌,도주관,석빙고를 둘러보다 (2) | 2023.03.16 |
대구 달성 영벽정(映碧亭) (0) | 2023.03.13 |
호수같이 잔잔한 낙동강 경천섬공원 겨울산책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