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그곳에 가고싶다/대구.경북권

대구 성모당과 성 유스티노 신학교

by 안천 조각환 2025. 1. 24.

대구 성모당(聖母堂)은 1911년 4월 8일 조선교구에서 분리 설정된

대구교구(大邱敎區)의 초대 교구장 드망즈(Demange = 安世華) 주교

자신의 모국인 프랑스 루르드에 위치한 성모의 발현지인 마사비엘 동굴을

본떠 1917년 7월 착공하여 1년만인 1918년 7월 31일 완공한 건축물이다.

 

대구 성모당(聖母堂,Holy Mother's Shrine)

 

이 성모당은 루르드의 성모 동굴과 같이 천연 동굴의 모양을 만들고,

굴 안쪽에는 제대를, 우측 상부의 작은 굴에는 성모상을 안치하였으며,

 굴의 전면 외부에는 중앙부를 아치형으로 만든 장방형의

붉은 벽돌조 건축물을 조성하였다.

 

 

건축물 상부에는 드망즈 주교가 성모께 서약한 연도인

1911년(왼쪽)과 성모당을 완공한 1918년(오른쪽)이 표시되어 있고,

연도(年度) 사이 중앙에는 "Ex voto Immaculatae Conceptioni"

(원죄없이 잉태하신 성모께 서약한대로) 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성모당 굴

 

천주교 대구 대교구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성모당 건축물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1990.12.15)되어 있다.

초대 교구장이었던 안세화(安世華 = 드망즈, Florian Demange)

주교는 주교관을 1913년에, 신학교는 1914년에 건설하였고,

주교좌 성당의 증축 공사는 1918년 12월에 완공하였다.

 

성모상

 

기도자들의 촛불

 

성모당 앞뜰

 

성모당 둘레의 천주교 14처 중 제1 예수님 사형선고

 

제2 십자가를 지심, 제3 첫번째 넘어지심,

제4 어머니 성모 마리아와 만남, 제5 시몬이 십자가 지심을 도와줌

 

제6 베로니카가 예수님 얼굴을 씻어드림, 제7 두번째 넘어지심

제8 예루살렘 여인들을 위로하심, 제9 세번째 넘어지심

 

제10 옷을 벗기움, 제11 십자가에 못 박힘

제12 숨을 거둠, 제13 시신이 내려짐

 

제14 무덤에 묻히심

 

성모당 전경

 

기도하는 사람들

 

(왼쪽)초대 대구 교구장 안세화(安世華 = 드망즈, Florian Demange,1875.1.25~1938.2.9)

(중앙)제6대 대구 교구장 최덕홍(崔德弘, 요한 주교, 1902.6.2~1954.12.14 )

(오른쪽)제7대 대구 교구장 서정길(徐正吉, 요한 대주교, 1911.5.7~1987.4.7)

 

서상돈(徐相敦, 아우구스티노, 1850.11.10~ 1913.6.30)

 

고해소

 

안익사(安益舍)

 

안익사는 대구 북구 산격동에 살면서 성북 성당 부지를 교구에 

기증하였던 정월생 아네스 집안 소유의 가옥으로서 원래 팔공산

지묘동 산기슭에 있었으나 공산댐 건설로 수몰위기에 처한것을

대구 교구에서 기증받아 이곳으로 옮겨온 것이다. 1996년까지는

선종한 사제들의 빈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개방된 쉼터공간이다.

 

안익사 전경

 

성(聖)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신부 동상(1821.~1846.9.16)

 

김대건은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신부이자 순교자이다.

유네스코는 김대건 신부의 탄생 200주년이 되는 2021년,

유네스코 2021 세계기념인물로 선정(2019.11.14 선정) 했다.

 

성 유스티노 신학교(옛 대건 중.고등학교)교정을 굽어보고 있는 김대건 신부 동상

 

성 유스티노 신학교

 

이 건물은 대구 교구 초대 교구장이던 드망즈(=안세화) 주교가

사제 양성을 위하여 1914년에 건립한 건물로, 서울 명동성당을

지을 때 참여한  프와넬(Poisnel)신부를 초청하여 설계하였다.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23호(1990.12.15 지정)이다.

 

 

1946년 부터 대건중.고등학교 교사로 사용하다가 

1991년 대구 카돌릭대학교에서 인수한 뒤 성당을 포함한 건물의

중앙 일부만 남기고 철거되었으며, 이 건물은 유럽 중세시대에 유행한

11~12세기 로마네스코 양식과 고딕양식을 혼용한 벽돌건축물이다.

 

천주교 대구 대교구청 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