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3호선은 북구 동호역에서 수성구 용지역까지 23.95km로 총 30개의 역이 설치되고 무인으로 운영된다
2014년 개통예정으로 공사중인 도시철도3호선 공사현장을 하나하나 담아 나가고자 한다.
사업비는 총 1조 4,894억원으로 이중 국비가 60%로이다.
노선은 시점인 북구 동호동 차량기지에서 출발하여 팔거동로를 지나 팔거천을 따라 금호강을 횡단, 팔달로, 원대오거리,
고성네거리, 달성네거리, 계명네거리, 대봉교, 궁전맨션삼거리, 두산오거리, 용지네거리, 관계삼거리를 거쳐
종점인 수성구 범물동 범물기지까지 23.95㎞로 정거장 30개소, 차량기지 2개소, 금호강 횡단교량, 신천교량 등의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다.
모노레일 시스템의 장점과 기술적 특징으로는 최첨단장치를 탑재하여 완전무인자동운전이 가능하며,
매연이 없고 소음, 진동이 거의 없어 방음벽이 필요 없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전 역사에 스크린 도어 설치된다,
슬라브(상판)가 없고 차량이 콘크리트빔을 따라 주행하는 폭 85㎝의 보형식이며, 교각간 거리도 30m로 조망권과 일조권을 확보,
정거장은 모두 30개소 건설되며 1,2호선 환승역인 명덕역과 서문시장역은 2~3분 이내 환승이 가능하도록 계획하였고,
모든 정거장에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교통약자 편의시설을 설치하여
한전주 지중화 등 주변 인도를 일제 정비하므로 도시미관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2014년 모노레일이 개통되면, 칠곡~범물간 운행시간이 46분으로 단축된다.
신천의 대봉교위로 횡단하는 사장교 조감도
대봉교 서편(대백프라자앞 2011.7.10)
대봉교 동편(한가람타운 앞 2011.7.10)
대봉교 양단 고가탑 기초공사(2011.7.4)
대봉교사장교공사(대봉교 북단)-(1)
-(2)
대봉교 상단 2011.8.12
2011.8.12
2011.8.12
점점 올라가는 교각(2011.9.20)
대봉교 상단 공사현장(250mm의 장맛비로 공사상부까지 물에 잠겼다 2011.7.10)
대봉교 하단도 물에 잠겼다(2011.7.10)
2011대구세계육상경기대회 첮날의 공사현장(동성네거리-궁전맨션간)
대봉사장교 공사현장(2011.12.5)
대봉사장교 현장(2011.12.5)
대봉사장교의 주탑(2012.7.19)
2012.7.19
2012.11.8
2012.12.28
2012.12.28
거의 완공단계에 있는 대봉사장교(2013.7.16)
대봉교(2015.2.1)
대봉교에서 동성네거리 구간(2012,12,28)
한가람앞에서(210`13.12.14)
팔달교 공사현장
팔달사장교는 앞뒤교각 2개는 완료했고 중간교각은 진행중(2012.7.27)
금호강에 비치는 팔달사장교
하류쪽에서 보는 팔달사장교
2012.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