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고전 이야기/고문진보와 시.서(詩.書)10

왕희지의 "난정기" 난정기 - 왕희지 친필 모본(두류도서관 범사 이상희문고) 난정기(蘭亭記) -왕희지(王羲之,307~365,중국 동진(東晉)의 서예가) 왕희지는 동진의 다섯 번째 임금인 목제시대인 영화7년(351년)에 우군장군 회계내사로 임명되어 회계현으로 부임하였는데, 영화9년(서기353) 음력3월3일. 왕희지는 자신의 아들 7명을 포함한 당시 사족들과 명사 등 41명의 동진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회계현. 지금의 절강성 소흥현 난정에 초청해 대규모 연회를 연다. 이러한 연회는 동진시대 귀족문화의 특성으로 사족들간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음으로 여러가지 형식을 통해 자주 열리곤 했는데 삼월 삼진날 계사의 형식을 빌린 모임이었다. 이날의 모임은 술잔을 물에 떠내려 보내는 동안 시를 짓지 못하면 벌주로 술 서 말을 마시는 .. 2019. 1. 14.
천부경(天符經) 天符經(천부경) 一始無始一 析三極 無盡本 天一一地一二人一三 一積十鉅 無匱化三 天二三地二三人二三 大三合六生七八九 運三四成環五七 一妙衍滿往滿來用變不動本 本心本 太陽昻明 人中天地一 一終無終一 一始無始一(일시무시일) 도(道)란 하나일 따름이라. 그러므로 하나로 비.. 2017. 2. 26.
고갑자와 태세(古甲子, 太歲) 고갑자(古甲子)와 태세(太歲) 盤古氏天地萬物之祖神靈一日九變 天皇氏以木德王兄弟十二人 地皇氏以火德王 人皇氏亦曰九皇氏兄弟九人 天皇氏一姓亦曰成氏干支蓋十母十二子名 東 西 中 南 北 靑 赤 黃 白 黑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子 乙丑 丙子 丁丑 戊子 己丑 庚子 辛丑 壬子 癸丑 靑鼠 靑牛 赤鼠 赤牛 黃鼠 黃牛 白鼠 白牛 黑鼠 黑牛 甲寅 乙卯 丙寅 丁卯 戊寅 己卯 庚寅 辛卯 壬寅 癸卯 靑虎 靑兎 赤虎 赤兎 黃虎 黃兎 白虎 白兎 黑虎 黑兎 辰 乙巳 丙辰 丁巳 戊辰 己巳 庚辰 辛巳 壬辰 癸巳 靑龍 靑蛇 赤龍 赤蛇 黃龍 黃蛇 白龍 白蛇 黑龍 黑蛇 甲午 乙未 丙午 丁未 戊午 己未 庚午 辛未 壬午 癸未 靑馬 靑羊 赤馬 赤羊 黃馬 黃羊 白馬 白羊 黑馬 黑羊 甲申 乙酉 丙申 丁酉 戊申 己酉 庚申 辛酉 壬申 癸酉 靑猿 .. 2016. 1. 8.
재갈공명의 출사표를 만나다 재갈공명이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루고자 많은 군사를 이끌고 위나라 공격에 나서면서 촉한의 2대황제인 유비의 아들 유선에게 자신의 심경을 담은 천하명문의 그 유명한 출사표를 올린다. 촉한의 도읍지로서 유비,관우,장비,재갈공명이 천하대업의 꿈을 펼치며 숨가쁘게 전장을 휘저었던 곳, 바로 그.. 2011. 8. 28.
고문진보(1) 고 문 진 보 -차 례- 1.난정기(蘭亭記) 王逸少(羲之) 2.춘야연도이원서(春夜宴桃李園序) 李太白(白) 3.잡설(雜說) 韓退之(愈) 4.遺仲文詩(與隋將于仲文詩) 고구려 장수 乙支文德(을지문덕) 5.秋夜雨中 최치원(崔致遠)857(신라 헌안왕1~ ?) 6.題芋江驛亭 최치원(崔致遠;857-?) 7.贈山僧 최치원(崔致.. 2009. 4. 15.
고문진보(2) 21.山中雪夜 (눈 내리는 산중의 밤) -李 齊 賢 紙被生寒佛燈暗하고 얇은 이불 한기 일고 佛燈은 어두운데 沙彌一夜不鳴鐘이다 사미승(어떤중)은 밤 새 종도 울리지 않네 應嗔宿客開門早 나 宿客이 새벽 일찍 문을 열면 화를 내겠지만 要看庵前雪壓松이라 암자 앞 눈 쌓인(누른) 소나무를 봐야겠네 被(이.. 2009. 4. 15.
고문진보(3) 40.花石亭 (화석정) - 李 珥 林亭秋已晩(임정추이만) 숲속 정자에 가을 이미 늦으니, 騷客意無窮(소객의무궁) 시인의 시상은 끝이 없구나. 遠水連天碧(원수연천벽) 먼 물줄기는 하늘에 잇닿아 푸르고, 霜楓向日紅(상풍향일홍) 서리 맞은 단풍은 해를 향해 붉도다. 山吐孤輪月(산토고륜월) 산은 외로운 둥근 달을 토해 내고, 江含萬里風(강함만리풍) 강은 만리의 바람을 머금었도다. 塞鴻何處去(새홍하처거) 변방의 기러기는 어디로 가는고? 聲斷暮雲中(성단모운중) 소리가 저녁 구름 속에 끊어 지도다. 騷(떠들 소), 窮(다할 궁), 碧(푸를 벽), 霜(서리 상), 楓(단풍나무 풍), 吐(토할 토), 含(머금을 함), 塞(변방 새), 鴻(큰 기러기 홍) 41.산중 (山中) - 율곡 (栗谷) 이 이 (李珥) 採藥忽迷路(채.. 2009. 4. 15.
동몽선습 서 童蒙先習 (동몽선습) 御製童蒙先習序 (御 ; 어거할 어, 다스릴 어, 製 ; 지을 제, 童 ; 아이 동, 蒙 ; 어릴 몽, 先 ; 먼저 선, 習 ; 익힐 습, 序 ; 차례 서, 서문 서) 임금이 지은 동몽선습의 서문 夫此書는 卽東儒所撰也라 總冠以五倫하고 復以父子君臣夫婦長幼朋友로 列之于次하며 (夫 ; 지아비 부, 대개 부, .. 2009. 4. 15.
동몽선습.총론.발문 동몽선습(童蒙先習) 天地之間 萬物之衆에 惟人이 最貴하니 所貴乎人者는 以其有五倫也니라 천지 사이에 있는 만물의 무리 가운데에서 오직 사람이 가장 존귀하다. 사람을 존귀하게 여기는 까닭은 五倫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是故로 孟子曰 父子有親하며 君臣有義하며 夫婦有別하며 長幼有序하며 朋友有信이라하시니 人而不知有五常이면 則其違禽獸 不遠矣리라 이 때문에 孟子께서는 “아버지와 자식 사이에는 親愛함이 있어야 하며,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義理가 있어야 하며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區別이 있어야 하며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하며 친구 사이에는 信義가 있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사람이면서 五常이 있음을 알지 못하면 짐승과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것이다. 然則父慈子孝하며 君義臣忠하며 夫和婦順하며 兄友弟恭하며 朋.. 2009. 4. 15.
삼강오륜과 주자십회훈 三綱五倫(삼강오륜) 父爲子綱 (부위자강)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爲臣綱 (군위신강)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爲婦綱 (부위부강)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며 君臣有義 (군신유의)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 (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 (부부유별)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序 (장유유서)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 (붕우유신)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朱子十悔訓(주자십회운) 不孝父母死後悔(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친다. 不親家族疎後悔(불친가족소후회) 가족에게 친절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少不勤學老後悔(소불근학노후회) 젊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2009.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