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고전 이야기93

명심보감(9) 염의편.권학편 24.廉義篇 ○염의편 에서도 역시 실례를 들어, 옛사람들의 염치(廉恥)와 의리(義理)를 보여준다. 현대에는 염치와 의리를 지키다간 오히려 자신만 손해를 본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러한 손해쯤은 결국 언젠가는 만회될 날이 분명히 올 것이다. 항상 떳떳한 자신이 되.. 2009. 4. 15.
삼강오륜과 주자십회훈 三綱五倫(삼강오륜) 父爲子綱 (부위자강)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爲臣綱 (군위신강)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爲婦綱 (부위부강)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며 君臣有義 (군신유의)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 (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 (부부유별)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序 (장유유서)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 (붕우유신)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朱子十悔訓(주자십회운) 不孝父母死後悔(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친다. 不親家族疎後悔(불친가족소후회) 가족에게 친절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少不勤學老後悔(소불근학노후회) 젊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2009. 4. 15.
논어집주서설(論語集註序說), 제1편 학이(學而)-제2편 위정(爲政) 論 語(논 어) 論語序說(논어서설) 史記世家曰(사기세가왈) 孔子 名丘 字仲尼 其先宋人 父叔梁紇 母顔氏 以魯襄公二十二年 (공자 명구 자중니 기선송인 부숙양흘 모안씨 이노양공이십이년) 庚戌之歲 十一月庚子 生孔子於魯昌平鄕鄒邑 (경술지세 십일월경자 생공자어노창평향추읍) 사마천(司馬遷)이 지은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공자는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그 선조는 송(宋)나라 사람이다. 아버지는 숙량흘(叔梁紇)이고 어머니는 안씨(顔氏)이니, 노(魯)나라 양공(襄公) 22년 경술년(B.C. 551 ) 11월 경자일에 노나라 창평향 추읍에서 공자를 낳았다. 爲兒嬉戱 常陳俎豆 設禮容 及長 爲委吏 料量平 爲司職吏 畜蕃息 (위아희희 상진조두 설예용 급장 위위리 요양평 위.. 2009.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