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두편의 시는 그 내용으로 보아 매계 조위선생이
지방의 관찰사로 재임하는 시절에 읊은 시인것 같다.
계절은 어김없이 바뀌어 가고 귀밑에 흰머리는 자꾸 늘어만 가는데
공무에 바빠 한가로이 시도 짓지 못하는 아쉬운 마음과
지방에서 근무하며 겪는 여러 고충들이, 지난날
궁궐의 임금곁에서 근무하던 때의 추억들과 뒤썩여
회한과 아쉬움들이 곳곳에서 묻어난다.
박익부의 시에 차운함(次朴益夫韻)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
객지에서도 당당히 계절은 변화를 재촉하고
제비와 기러기가 구름 속에서 슬피 우는 소리에 깬다.
화창한 봄빛은 길가 버드나무를 푸르게 물들이고
꽃 소식은 시냇가 매화나무에서 먼저 알려온다.
客裏堂堂節序催(객리당당절서최)
夢驚燕雁叫雲哀(몽경연안규운애)
韶光欲染街頭柳(소광욕염가두류)
芳信初回澗底梅(방신초회간저매)
흉년이 들자 임금은 한 지방을 걱정하시고
청명시절 무더위를 관장하는 삼태성만 바라본다.
물러나 소요유하는 그대가 부러우니
마른 그루터기에서 거문고에 술잔을 기울일 날이 언제 돌아올까?
儉歲咨詢憂一路(검세자순우일로)
淸時爕理望三台(청시섭리망삼태)
羡君休退逍遙境(이군휴퇴소요경)
桍杜琴樽日幾廻(고두금준일기회)
*삼태성(三台星) : 대웅성좌에 딸린 별로 자미성을 지킨다는 세 별
육방옹시에 차운하다(次陸放翁韻)
매계 조위(梅溪 曺偉,1454~1503)
중앙관리가 어찌 지방관리의 고충을 알겠는가?
호기롭게 드넓은 바다에 일소에 붙인다.
해마다 귀밑머리가 빠짐에 놀라며
칼바람에 흙먼지 날리니 겁이 난다.
鞅掌寧知跋涉勞(앙장영지발섭노)
軒昻一笑海天高(헌앙일소해천고)
也驚短鬂隨年改(야경단빈수년개)
却怕尖風刮地號(각파첨풍괄지호)
비구름이 밀려와 들을 건널 수 없을까 근심하는데
소리 없이 내리는 흰 눈이 관복을 적신다.
옛날 대궐에서의 잔치를 추억하노니
임금 곁의 난로 연기가 보검에 스며든다.
黯黯愁雲迷野渡(암암수운미야도)
霏霏晴雪點宮袍(비비청설점궁포)
追思去歲被香宴(추사거세피향연)
黼座爐烟濕寶刀(보좌노연습보도)
*육방옹(陸放翁) : 육유(陸游)의 자, 중국 님송 때의 문인
'뿌리와 예의범절 > 梅溪 曺偉 先生'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계 조위선생의 한시기행~(71)상주목사 유문통에게 (0) | 2020.05.28 |
---|---|
매계 조위선생의 한시기행~(70)신차소가 옥당으로 돌아감을 축하하며 (0) | 2020.05.24 |
매계 조위선생의 한시기행~(68)속리산 수정봉탑에 오르며 (0) | 2020.05.15 |
매계 조위선생의 한시기행~(67)수영의 수각에서 짓다(題水營水閣) (0) | 2020.05.13 |
매계 조위선생의 한시기행~(66)보령 남포(藍浦)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