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중묘사(門中 墓祀)
문중묘사(中始祖, 入鄕祖, 派祖) 이외(以外)의 개인묘사(個人墓祀)에는
단헌(單獻)인고로 첫잔을 올리고 젓가락을 가지런히 놓은 다음 독축 재배(讀祝 再拜)하고,
향이 없는 고로 고개 숙였다가 바로 사신 재배(辭神 再拜)하고 끝내는 경우(境遇)도 있다.
①진설(陳設) : | 진설도(陳設圖)를 참고(參考)하여 제수(祭需)를 진설(陳設)할 것이다. |
②참신(參神) : | 초헌자이하(初獻者以下) 참제원(參祭員)이 일제히 묘(墓)앞에 참배(參拜)하고 나서 초헌자(初獻者)가 묘(墓) 앞에 꿇어 앉고 집사(執事)는 단위시(單位時) 좌우(左右)에 각각 일인(一人)씩 들어 선다. |
③강신(降降) : | 분향(焚香) 강신(降神)·헌작(獻爵)·개반·정저(整箸) 등 행사에 서집사(西執事)는 고위(考位)를, 동집사(東執事)는 비위를 담당(擔當)하고, 동집사(東執事) 사준(司尊)은 동(東)쪽에, 축(祝)은 서(西)쪽에 들어선다. 초헌자(初獻者)는 묘위전(墓位前)에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재배하며, 동집사(東執事)가 잔(盞)을 내려 초헌자(初獻者)에 주면 이를 두 손으로 잡고 동집사(東執事)가 술을 약간(若干) 따르면 초헌자(初獻者)로부터 서집사(西執事)가 술잔을 받아 왼손으로 잔대(盞臺)를 잡고 오른손으로 잔(盞)을 잡아 묘봉분(墓封墳)에 서(西)쪽으로부터 동(東)쪽으로 세번 나누어 붓고 공잔(空盞)을 본자리에 둔다 초헌자(初獻者)는 한 발씩 물러서 재배(再拜)한다. |
④초헌(初獻) : | 초헌자(初獻者)는 다시 묘위전(墓位前)에 꿇어 앉으면 동집사(東執事)가 고위전(考位前)의 술잔을 내려 초헌자(初獻者)에 주면 이를 잡고 동집사(東執事)가 술을 따른다. 이 술잔을 서집사(西執事)가 받아 위전(位前)에 올리고, 양위(兩位)면 동집사(東執事)가 비위전의 술잔을 내려 초헌자(初獻者)에 주면 이를 받아 잡고 동집사(東執事)가 술을 따른다. 이 술잔을 서집사(西執事)가 받아 위전(位前)에 올리고 젓가락을 시접에 바로해 놓은 다음 축(祝)이 초헌자(初獻者)의 좌(左)에 동향(東向)으로 꿇어앉아 독축문(讀祝文) 한다.(이 때 참제원(參祭員) 모두 다 부복(俯伏)한다. |
⑤아헌(亞獻) : | 아헌자(亞獻者)는 위전(位前)에 꿇어앉아 초헌(初獻)과 같은 식(式)으로 술잔을 올리고 재배(再拜)한다. |
⑥종헌(終獻) : | 종헌자(終獻者)는 아헌(亞獻)과 같이 술잔을 올리니 각 분담 집사(各가 分擔 執事) 밥뚜껑을 벗기고 숟가락을 메에 꽂고 젓가락을 바로 해놓은 다음 재배(再拜)한다. (유식례(侑食禮)가 없으면 첨작(添酌) 부복(俯伏)이 있을수 없다. 그러나 첨작(添酌)하고 부복(俯伏)하는 집이 허다(許多)할 뿐만 아니라 『문공가례(文公家禮)』에도 유식(侑食)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
⑦진다(進茶) : | 집사(執事)가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숟가락을 숭늉에 걸어 둔 다음 머리 숙였다가 바로 하시저(下匙箸) 해서 시접 위에 놓고 뚜껑을 덮는다. |
⑧사신(辭神) : | 축(祝)이 주인(主人)을 동향(東向)해 고이성(告利成 : 이성은 큰 묘사에는 있는것 같으나 보통 큰 묘사에는 없는 것 같다.) 한 후(後) 초헌자 이하(初獻者 以下) 모두 재배(再拜)하고 축문(祝文)을 향안(香案)앞 땅에 동향(東向)해서 불에 태우고 철상(撤床)한다. |
⑨철상(撤床) : | 집사자(執事者)가 진설(陳設)을 철상(撤床)하고 독축자(讀祝者)는 축문(祝文)을 불사른다. |
⑩음복(飮福) : | 음복(飮福)한다. |
2, 사사묘사(私祀墓祀)로서 단헌(單獻)인 경우(境遇)
1) 묘사(墓祀)를 독축(讀祝)하면서 지내는 절차(節次)
① 참사자서립 : (參祀者序立) |
모든 참사자(參祀者)는 묘소(墓所) 앞에 나아가 항렬(行列)에 따라 줄지어 서고, 삼헌자(三獻者)와 독축자(讀祝者)도 제 자리에 선다. |
② 진찬(進饌) : | 제수(祭需)를 상석(床石)위에 진설(陳設)한다. |
③ 참신(參神) : | 모든 참사자가 재배한다. |
④ 강신(降神) : | 초헌자(初獻者)가 꿇어앉아 삼상향(三上香)하고 재배(再拜)한다. 초헌자(初獻者)와 집사(執事)는 꿇어앉아 서집사(西執事)가 잔반(盞盤)을 초헌자(初獻者)에게 주면 동집사(東執事)가 술을 따르면 초헌자(初獻者)로부터 서집사(西執事)가 술잔을 받아 묘봉분(墓封墳)에 술을 서(西)로부터 동(東)으로 세 번 지우면 초헌자(初獻者)는 재배(再拜)한 후(後) 제자리에 간다. |
⑤ 초헌(初獻) : | 초헌자(初獻者)가 앞에 나아가 꿇어앉으면 서집사(西執事)가 잔(盞)을 초헌자(初獻者)에게 주면 동집사(東執事)는 술을 따른다. 초헌자(初獻者)는 잔(盞)을 받아 정성(精誠)껏 받들어 잔(盞)을 서집사(西執事)에게 주며 서집사(西執事)는 잔을 원자리에 올린다. 이때 정저(正箸)을 한다. 비위 묘소(墓所)에서 인향(引享)해오거나 합폄 또는 쌍분(雙墳)의 경우(境遇)는 고비 합사(合祀)한다 |
⑥ 독축(讀祝) : | 독축자(讀祝者)는 초헌자(初獻者)의 왼편에서 동향(東向)해 앉아 독축(讀祝)한다. 이때 초헌자 이하(初獻者 以下) 모든 참사자(參祀者)는 꿇어 앉는다. 독축자(讀祝者)가 독축(讀祝)을 하고 물러나면 제관(祭官) 모두 일어서고 초헌자(初獻者)는 재배(再拜)한다. |
⑦ 사신(辭神) : | 하시저(下匙箸), 복반(復飯)하고 참사자(參祀者) 모두 재배(再拜)한다. |
⑧ 철상(撤床) : | 집사자(執事者)가 진설(陳設)을 철상(撤床)하고, 독축자(讀祝者)는 축문(祝文)을 불사른다. |
⑨ 음복(飮福) : | 음복(飮福)한다. |
2) 주과포(酒果脯)로 지내는 묘사(墓祀)
①참사자립 : (參祀者立) |
참사자(參祀者)는 묘소(墓所) 앞에 모두 선다. |
②진찬(進饌) : | 제수(祭需)를 진설(陳設)한다. |
③강신(降神) : | 제주(祭主)가 꿇어 않아 삼상향(三上香)하고 나면 집사(執事)가 잔반(盞盤)을 제주(祭主)에게 주며 집사(執事)가 술을 따르면 제주(祭主)는 술잔을 집사(執事)에게 주어 묘봉분(墓封墳) 서(西로)부터 동(東)으로 세 번 뇌주한 다음 빈 잔(盞)을 제자리에 두며는 제주(祭主)는 재배(再拜)한다. |
④참신(參神) : | 참사자(參祀者) 모두가 재배(再拜) 한다. |
⑤헌작(獻爵) : | 제주(祭主)가 술을 한 잔(盞) 올리고 나서 제주(祭主)는 저(箸)를 고르면 재배(再拜)한다. |
⑥부복(俯伏) : | 참사자(參祀者)는 5∼6분간 부복(俯伏)한다. |
⑦사신(辭神) : | 참사자 일동(參祀者 一同)이 재배(再拜)한다. |
⑧철상(撤床) : | 제수(祭需)를 물린다. |
⑨음복(飮福) : | 음복(飮福)한다. |
3) 주포(酒脯)로 성묘(省墓)할 경우(境遇)
①참신(參神) : | 참여자(參與者) 모두가 재배(再拜)한다. |
②강신(降神) : | 향(香)을 준비(準備)했으면 분향(焚香)하고 향 준비(香 準備)가 안 되었으면 술로 삼제 뇌주하고 제주(祭主)는 재배(再拜)한다. |
③헌작(獻爵) : | 제주(祭主)가 헌작(獻爵) 후(後) 저(箸)를 포(脯) 위에 정저(整箸)하고 모두 부복(俯伏)한다. |
④사신(辭神) : | 저(箸)를 내리고 모두 사신 재배(辭神 再拜)한다. |
⑤철상(撤床) : | 제수(祭需)를 물린다. |
⑥음복(飮福) : | 음복(飮福)한다. |
3. 묘제축(墓祭祝)
1) 부모 묘제 축문(父母 墓祭 祝文)
유세차임오시월임진삭십일일갑자효자창하감소고우
維歲次壬午十月壬辰朔十一日甲子孝子昌夏敢昭告于
현고학생(무슨 처사)부군
顯考學生(또는 某 處士)府君
현비유인달성서씨지묘 기서유역상로기강첨소봉영
顯妣孺人達城徐氏之墓 氣序流易霜露旣降瞻掃封塋
호천망극근이청작서수지천세 사 상 향
昊天罔極謹以淸酌庶羞祗薦歲 事 尙 饗
2) 조고부터 고조고까지의 묘제 축문(祖考부터 高祖考까지의 墓祭 祝文)
유세차임오시월정축삭십삼일기축효현손재광감소고우
維歲次壬午十月丁丑朔十三日己丑孝玄孫在光敢昭告于
현고조고학생(또는 모처사)부군
顯高祖考學生(또는 某處士)府君
현고조비유인경주최씨지묘 기서유역상로기강첨소봉영
顯高祖妣孺人慶州崔氏之墓 氣序流易霜露旣降瞻掃封塋
불승감모근이청작서수지천세사상 향
不勝感慕謹以淸酌庶羞祗薦歲事尙 饗
3)오대조고이상의 조상 묘제 축문(五代祖考以上의 祖上 墓祭 祝文)
유세차임오시월정축삭십일일정해십일대손길동감소고우
維歲次壬午十月丁丑朔十一日丁亥十一代孫吉童敢昭告于
현십일대조고묵헌선생부군
顯十一代祖考墨軒先生府君
현십일대조비유인밀양박씨지묘 세천일제예유중제이자상로
顯十一代祖妣孺人密陽朴氏之墓 歲薦一祭禮有中制履玆霜露
미증감모근용청작시수지봉상사 상 향
彌增感慕謹用淸酌時羞祗奉常事 尙 饗
4)묘제등 홀기 용어해설
초헌관(初獻官) : 신위전에 첫잔을 올리는 제관으로 제사의 주인이다
아헌관(亞獻官) : 신위전에 두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종헌관(終獻官) : 신위전에 세 번째 잔을 올리는 제관
집례(集禮) : 홀기를 읽어 진행을 담당하는 제관
축관(祝官) : 축문을 읽는 제관
예상(禮相) : 제수 준비를 맡은 제관
장의(掌儀) : 제사의 준비 및 그 상황을 살피는 제관
집사(執事) : 헌관을 안내하는 제관
찬인(贊引) : 집례, 축관등 여러제관을 안내하는 제관
봉향(奉香) : 향을 받드는 제관
봉로(奉爐) : 향로를 받드는 제관
사준(司尊) : 제사지낼 때 술병을 맡은 직책
봉작(奉爵) : 사준이 따른 술잔을 받아 헌관에게 건네주는 제관
전작(奠爵) : 헌관에게서 술을 받아 신위전에 올리는 제관
진설(陳設) : 제수를 준비하고 차림
정위(正位) : 사당의 주인공격인 주향(主享)의 자리
헌자(獻者) : 헌관과 같음, 제사를 드리는 책임자
상준(象尊) : 코끼리 모양으로 만든 술병
희준(犧尊) : 짐승의 모양으로 만든 술병
찬례(贊禮) : 제사일을 돕는 사람
음복위(飮福位) : 제사를 끝내고 제사에 차렸던 술은 마시는 자리
찬창(贊唱) : 제사지내는 일을 돕는 사람
찬자(贊者) : 제사지내는 사무를 맡은 직책, 곧 헌관을 보좌하는 사람
배위(配位) : 주향의 위에 대하여 모시고 있는 신위
첩(疊) : 술병의 한 가지
관세위(盥洗位) : 제관이 선을 씻는 곳
작세(爵洗) : 술잔을 씻는 곳
사세(司洗) : 제사지낼 때 그릇을 씻는 일을 맡은 사람
망료위(望燎位) : 희생을 묻는 자리
감(坎) : 구덩이, 희생을 묻는 곳
5) 墓祀笏記(묘사홀기) - 묘제 시 진행절차
○ 執禮 就 東階上 唱笏 說 洗手器于 東階之端 使謁者 指導
(집례 취 동계상 창홀 설 세수기우 동계지단 사알자 지도)
-집례자는 나와서 동쪽 계단으로 오르시오, 안내자를 따라
세수그릇을 준비하여 동쪽계단에 바로서 홀을 부르시오.
○ 獻官 三人 就 拜位 第前行 以西爲上 北向序立
(헌관 삼인 취 배위 제전행 이서위상 북향서립)
-헌관 세 사람은 차례대로 제전으로 나아가 서쪽으로 올라
북쪽(신이 계신 곳)을 향해 서시오.
○ 大祝 與諸執事 就 第一行 序立 參祀員 皆 就 第後行 序立
(대축 여제집사 취 제일행 서립 참사원 개 취 제후행 서립)
-축관과 집사들도 같이 나아가 제일 앞줄에 서고
참사원들도 모두 나아가 뒷줄에 서시오.
○ 獻官三人 一齊 就 盥洗位 洗手, 復於拜位
(헌관삼인 일제 취 관세위 세수 복어배위) 盥(대야 관)
-헌관 삼인은 같이 나아가 대야에 손을 씻고, 다시 제자리에 서시오
○ 大祝 與 諸執事 一齊 就 盥洗位 洗手, 復於拜位
(대축 여 제집사 일제 취 관세위 세수, 복어배위)
-축관과 집사들도 같이 나아가 대야에 손을 씻고 돌아와 제자리에 서시오.
◇ 行 降神禮(행 강신례) -신을 모시는 절차
○ 初獻官 詣 香案前 跪 (초헌관 예 향안전 궤)
-초헌관은 향안 앞에 이르러 꿇어앉고
跪(꿇어앉을 궤)
○ 奉爐 奉 香爐 就 獻官之左 東向跪 (봉로 봉 향로 취 헌관지좌 동향궤)
-향로를 받든 집사는 나아가 헌관의 좌측으로 나가 동을 향해 꿇어앉고
○ 奉香奉 香盒 就 獻官之右 西向 跪 (봉향봉 향합 취 헌관지우 서향궤)
-향합을 받든 집사는 헌관의 우측으로 나가 서쪽을 향해 부복하고
○ 司尊 就 東階上 奉 酒壼 西向跪 (사존 취 동계상 봉 주곤 서향궤)
-사존은 나아가 동쪽으로 올라 술병을 받들고 서를 향해 꿇어앉고
壼(대궐 안길 곤)
○ 獻官 三上香, 因受香爐奠于香上, 奉香 取
(헌관 삼상향, 인수향로전우향상, 봉향 취)
-헌관은 세 번 향을 올리고 향로를 향안에 받들어 놓은 다음
○ 降神盞 受酒 授獻官 (강신잔 수주 수헌관)
-강신잔을 받들고 술병을 받은 집사가 술을 따르고
○ 獻官 受盞 三酹于地上, 還盞于 故處, 奉香 奉爐 復於拜位
(헌관 수잔 삼뢰우지상, 환잔우 고처, 봉향 봉로 복어배위)
-헌관은 세 번에 술을 땅위에 부어 신을 모시고, 잔을 제자리에 놓고 일어나
酹(부을 뢰{뇌})
○ 獻官 俛復興 小退 再拜, 降復位 (헌관 면복흥 소퇴 재배, 강복위)
-헌관은 허리 굽혀 조금 물러나와 재배하고 자리에 돌아온다.
俛(힘쓸 면)
◇行 參神禮(행 참신례) -신과 만남의 인사
○ 在位者 一齊 再拜(재위자 일제 재배)
-참사자 모두 재배한다.
○ 初獻官 詣 香案前 跪 (초헌관 예 향안전 궤)
-초헌관 향안 앞에 이르러 꿇어앉으시오.
○ 奠酌 詣 獻官之左 東向 跪, 奉酌 詣 獻官之右 西向 跪
(전작 예 헌관지좌 동향 궤, 봉작 예 헌관지우 서향 궤)
-전작(좌집사)은 헌관의 좌측으로 나아가 동을 향해 꿇어앉고,
봉작(우집사)은 헌관 우측으로 나가 서를 향해 꿇어앉으시오.
○ 奠酌 退下 乾位盞盤 授獻官, 獻官 受盞 令 奉酌 受酒 還受 少擧
(전작 퇴하 건위잔반 수헌관, 헌관 수잔 영 봉작 수주 환수 소거)
-전작(좌집사)은 고위 잔반을 내려 헌관에게 주고,
헌관이 잔을 받들면 우집사는 술을 따르시오,
○ 奠酌 受盞 奠于乾位, 次 退下 乾位盞盤 授獻官, 獻官受盞 令 奉酌 受酒
(전작 수잔 전 우건위, 차 퇴하 건위잔반 수헌관 헌관수잔 영 봉작 수주)
-전작(좌집사)은 고위 잔반을 내려 헌관에게 주고, 헌관이 잔을 받들면
봉작(우집사)은 술을 따른다.
○ 還受 少擧, 奉酌 受盞 奠于坤位, 奠酌退下
(환수 소거, 봉작 수잔 전우곤위, 전작퇴하)
-좌집사(전작)는 헌관에게서 잔반을 받아 고위 앞에 올리면 우집사는 비위
잔반을 내려 헌관에게 주고, 헌관이 잔을 받들면 좌집사는 술을 따르고 나서,
우집사는 헌관에게서 잔반을 받아 비위앞에 올리고 난뒤,
○ 乾位盞盤 授獻官 三除 復獻, 次 退下 坤位盞盤 授
(건위잔반 수헌관 삼제 복헌, 차 퇴하 곤위잔반 수)
좌집사는 고위잔반을 내려 헌관에게 주고, 헌관은 받아 삼제하여
좌집사에게 주고, 좌집사는 받아 고위앞에 올리고 나면,
우집사는 비위잔반을 내려 헌관에게 준다.
○ 獻官 三除復獻, 奉 奠酌 少退立 (헌관 삼제복헌, 봉 전작 소퇴입)
-헌관은 받아 삼제후에 우집사에게 주어 비위 앞에 올린다,
○ 大祝 就 獻官之左 東向跪 讀祝 (대축 , 취 헌관지좌 동향궤 독축)
-축관은 헌관의 좌측에 나가 동을 향해 꿇어 앉고 축을 읽으시오,
ㅇ일부사례 : [大祝 奉 肉炙 獻于褋上, 正箸于褋上 首西尾東 就 獻官之左
東向跪 在位者 皆跪 讀祝, 興 (대축 봉 육적 헌우접상, 정저우접상 수서미동 취 헌관지좌 동향궤 재위자 개궤 독축 흥)
-축관은 육적을 올리고 두서미동으로 향하게 정시저를 한뒤 헌관의
좌측에 나가 동을 향해 꿇어 앉고, 참사자 모두 꿇어앉으면,
축관이 독축을 마친 뒤에, 참사자 모두 일어난다]
○ 獻官 俛復興 少退 再拜, 降 復位, 執事 退酒
(헌관 면복흥 소퇴 재배, 강 복위, 집사 퇴주)
-헌관은 일어나 허리굽혀 조금 물러나와 재배를 마치면,
좌우 집사는 퇴주한다.
◇行 亞獻禮(행 아헌례)
○ 亞獻官 詣 香案前 跪, 奠酌 退下 乾位盞盤 授獻官, 獻官 受盞 令 奉酌
受酒, 還受 少擧, 奠酌 受盞 奠于乾位, 次 退下 坤位盞盤 授獻官, 獻官受盞 令 奉酌 受酒, 還受 少擧, 奉酌 受盞 奠于坤位, 奠酌 退下 乾位盞盤 授 獻官 三除 復獻, 次 退下 坤位盞盤 授 獻官 三除 復獻, 奉 奠酌 少退位, 獻官 俛復興 少退 再拜, 降復位, 執事退酒
(아헌관 예 향안전 궤, 전작 퇴하 건위잔반 수헌관, 헌관 수잔 영 봉작 수주, 환수 소거, 전잔 수잔 전우건위, 차 퇴하 곤위잔반 수헌관, 헌관수잔 영 봉작 수주, 환수 소거, 봉작 수잔 전우곤위, 전작 퇴하 건위잔반 수 헌관 삼제 복헌, 차 퇴하 곤위잔반 수 헌관 삼제 복헌, 봉 전작 소퇴위, 헌관 면복흥 소퇴 재배, 강복위, 집사퇴주)
* 아헌은 독축만 없고 초헌례와 같다.
ㅇ일부사례 : [大祝 奉 羽炙 加于炙褋上 (대축 거 우적 가우적접상)]
◇行 終獻禮(행 종헌례)
終獻官 詣 香案前 跪, 奠酌 退下 乾位盞盤 授獻官, 獻官 受盞 令 奉酌 受酒, 還受 少擧, 奠酌 受盞 奠于乾位, 次 退下 坤位盞盤 授獻官, 獻官 受盞 令 奉酌 受酒, 還受 少擧, 奉酌 受盞 奠于坤位, 奠酌 退下 乾位盞盤 授 獻官 三除 復獻, 次 退下 坤位盞盤 授 獻官 三除 復獻, 奉 奠酌 少 退位, 獻官 俛復興 少退 再拜, 降復位
(종헌관 예 향안전 궤, 전작 퇴하 건위잔반 수헌관, 헌관 수잔 령 봉작 수주, 환수 소거, 전작 수잔 전우건위, 차 퇴하 곤위잔반 수헌관, 헌관 수잔 령 봉작 수주, 환수 소거, 봉작 수잔 전우곤위, 전작 퇴하 건위잔반 수 헌관 삼제 복헌, 차 퇴하 곤위잔반 수 헌관 삼제 복헌, 봉 전작 소 퇴위, 헌관 면복흥 소퇴
재배, 강복위)
*종헌도 아헌과 같다,
ㅇ일부사례 : [大祝 奉 魚炙 加于炙楪上 西頭東尾, 啓 盞盤,
(대축 봉 어육 가우적접상 서두동미, 계 잔반)]
◇行 侑食禮(행 유식례) 식사를 드리는 의식
○ 執事 揷匙飯中 西柄, 降 復位, 在位者 皆 俯伏 少頃, 興, 執事昇階, 撤羹 進水 移匙于水, 降 復位 初獻官 就 東階上 西向立, 大祝 就 西階上 東向立, 相揖, 大祝 告 利成, 獻官 北向再拜, 復 西向跪, 大祝 東向跪, 焚祝于爐上, 降 復位
(집사 삽시반중 서병, 강 복위, 재위자 개 부복 소경, 흥, 집사승계, 철갱 진수 이시우수, 강 복위 초헌관 취 동계상 서향입, 대축 취 서계산 동향입, 상읍, 대축 고 이성, 헌관 북향재배, 복 서향궤, 대축 동향궤, 분축우로상, 강 복위)
좌우집사는 메 중앙에 자루가 서쪽으로 가게 수저를 꽂고 제자리에 오면 참사자 모두 반걸음 물러나 부복했다가 일어나면 집사는 올라가 국을 내리고, 물을 올리며 시저를 내리고, 제자리에 오면, 초헌관은 동쪽으로 올라가 서를 향해서고, 축관은 서쪽으로 올라가 동을 향해 서서 서로 읍하고 나서, 헌관은 묘(신위)에 재배하고 나서 다시 서로 마주보며, 향로에서 축문을 불사르고, 제자리로 돌아온다.
◇行 辭神禮(행 사신례) 신과 헤어지는 인사
○ 執事 合飯羹, 下匙箸, 禮畢, 皆 再拜(집사 합반갱, 하시저, 예필, 개 재배)
집사는 시저를 내리고, 반갱의 덮개를 덮은 다음, 참사자 모두 재배한 뒤,
집례자는 의식이 끝났음을 부른다.
이상의 홀기는 동례상해에 수록된 것이며 묘제나 방안 제시나 음계는 북이고,
양계는 남이기 때문에 언제나 북향재배인 것이다.
*각 집안마다 다소의 차이가 있으니 참고 사항이다
묘사일정
-시조묘사 : 매년 음력 10월 초정일 -10월 일진에 첮번째 정(丁)자가 들어가는 날
-덕원재(선돌)묘사 : 양력 10월 셋째 일요일(찬성공 조경수, 조원계, 조우희, 입향조 조심 선조외)
-창녕묘사 : 음력 10월 16일이나, 묘사는 덕원재에서 찬성공과 함께 봉행하고 이날은 성묘만 함
-마암재묘사 : 음력 10월 12일 : 울진공 조계문, 매계 조위 선조외
-이외의 묘사는 각 지파별로 일정이 다름
'뿌리와 예의범절 > 예의범절과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의범절과 상식~(1)절의 예절 (0) | 2013.02.06 |
---|---|
예의범절과 상식~(3)묘지 석물의 종류와 묘소관리 (0) | 2012.11.27 |
예의범절과 상식~(5)지방과 축문 (0) | 2009.12.10 |
예의범절과 상식~(6)제례순서 (0) | 2009.12.10 |
예의범절과 상식~(4)제사의 뜻과 진설(상차리기) (0) | 2009.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