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전체 글3441

버선꽃(골담초) 나는 이름이 두개인데요 뼈가 뿌러진것을 잘 고쳐준다고 골담초라고도 하고 또 꽃 모양이 버선을 닮았다고해서 버선꽃이라고도 한답니다 버선좀 닮았지요 버선이 여러컬레 있답니다 2009. 4. 17.
할미꽃 키는 40㎝ 정도이고 전체에 흰색의 털이 밀생한다. 잎은 5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잎자루는 길다. 적자색의 꽃은 4~5월경 포엽(苞葉)의 중심에서 나온 긴 꽃줄기의 끝에 1송이씩 핀다. 수술은 많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도 많다. 북한에 있는 분홍할미꽃·산할미꽃 제.. 2009. 4. 17.
하늘 매발톱 2009. 4. 17.
민들레 국화과(菊花科)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잎은 날개깃처럼 갈라졌다. 노란색의 꽃이 4~5월에 두상(頭狀)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꽃줄기는 길이가 30㎝ 정도이다. 열매는 납작한 수과(瘦果)로 흰색 갓털[冠毛]이 있어 바람이 불면 쉽게 날려 간다 식물 전체를 캐서 말린 포공영(蒲公英)은 한방.. 2009. 4. 17.
자운영과 애기자운영(털새동부) 자운영(紫雲英)은 콩과의 두해살이 식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 널리 재배하고 있는데 뿌리에 뿌리혹이 잘 발달되어 질소동화작용이 활발하므로 거름으로 많이 사용되며, 특히 개화기에는 베어내어 사료로도 이용한다 자운영은 줄기에 털이 없으며 애기자운영(털새동부)는 .. 2009. 4. 17.
이끼 꽃(홀씨) 이끼꽃(홀씨)을 아시나요. 이끼에도 후손을 퍼주기위한 활동이 매우 활발하답니다 2009. 4. 16.
복수초 복수초는 이른봄에 노란색 꽃이 잎이 활짝 벌어지기 전에 피며 지름은 3~4㎝쯤 된다. 꽃받침잎과 꽃잎이 많으나, 꽃잎이 더 길며 수술과 암술도 많다. 눈 사이에 피어난 꽃을 볼 수 있으므로 눈색이꽃이라고도 부르며, 중국에서는 눈 속에 피어 있는 연꽃이라 하여 설연(雪蓮)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른봄에 노랗게 피어나는 꽃이 기쁨을 준다고 해서 복수초라고 한다. 뿌리는 밑으로 곧게 자라 해마다 층(層)을 이루며 층과 층 사이에는 숨은 눈[隱牙]이 생긴다. 이 눈을 잘라 심으면 쉽게 번식하지만 씨를 뿌리는 경우에는 꽃이 피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뿌리나 줄기 등에 아도니톡신(adonitoxin)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 강심제 및 이뇨제로 사용된다. 꽃말은 영원한 행복이다. 2014.2.20.. 2009. 4. 16.
펜지 2009. 4. 16.
안동 병산서원과 하회마을 병산서원 하회마을의 류성용 종택 하회마을 북편의 연좌루 마을 동편입구 2009. 4. 16.
윤필암과 묘적암(문경 대승사) 1.윤필암 윤필암은 사불산 자락에 있는데 사불산의 사불을 모신 아담하고 예쁜암자이다. 윤필암 오르는 길 윤필암 전경 사불전 앞 사불전안에서 보는 윤필암 바위옆의 사불전 앞의 산이 사불산이고 보이는 바위에 사불이 새겨져 있다 윤필암 현판 사불전에서 보는 사불암(2011.5.15) 매발톱.. 2009. 4. 16.
마이산 2009. 4. 16.
청도 운문사 사리암 사리암은 운문사의 여러 암자중 하나인데 계곡을 죽 따라 올라 가면 주차장이 나오는데, 여기서 다시 왼쪽 오르막길을 25분정도 숨가쁘게 걸어 올라 가야한다 암자 조금 못미쳐서 숨을 고르고, 목을 축이라는듯 시원한 음용수가 물줄기를 세차게 타고 내려온다 한모금 축이고 암자에 올라서면 가지산자락이 눈앞에 펼쳐지면서 시원한 선경의 느낌이 온몸을 스친다 2009. 4. 16.
이제 우리 즐겁게 살아요 우리네 인생이 그리 길지도 않은데 왜 고통속에 괴로워하며 삽니까? 우리네 인생이 그리 길지도 않은데 왜 슬퍼하며 눈물 짓습니까? 우리가 마음이 상하여 고통 스러워하는 것은 사랑을 너무 어렵게 생각해서 그래요. 나의 삶을 누가 대신 살아주는 것이 아니 잖아요. 나의 삶의 촛점을 상대에게 맞추.. 2009. 4. 15.
고문진보(1) 고 문 진 보 -차 례- 1.난정기(蘭亭記) 王逸少(羲之) 2.춘야연도이원서(春夜宴桃李園序) 李太白(白) 3.잡설(雜說) 韓退之(愈) 4.遺仲文詩(與隋將于仲文詩) 고구려 장수 乙支文德(을지문덕) 5.秋夜雨中 최치원(崔致遠)857(신라 헌안왕1~ ?) 6.題芋江驛亭 최치원(崔致遠;857-?) 7.贈山僧 최치원(崔致.. 2009. 4. 15.
고문진보(2) 21.山中雪夜 (눈 내리는 산중의 밤) -李 齊 賢 紙被生寒佛燈暗하고 얇은 이불 한기 일고 佛燈은 어두운데 沙彌一夜不鳴鐘이다 사미승(어떤중)은 밤 새 종도 울리지 않네 應嗔宿客開門早 나 宿客이 새벽 일찍 문을 열면 화를 내겠지만 要看庵前雪壓松이라 암자 앞 눈 쌓인(누른) 소나무를 봐야겠네 被(이.. 2009.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