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전체 글3369

명심보감(7) 부행편.증보편 20.婦行篇 참다운 여성의 역할 益智書云, 女有四德之譽, 一曰婦德, 二曰婦容, 三曰婦言, 四曰婦工也。 익지서에 이르기를, 여자에게는 네 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을 말하고, 셋째는 부언을 말하며, 넷째는 부공을 말한다. ○원문이 길어서.. 2009. 4. 15.
명심보감(8) 팔반가팔수,효행편속 22.八反歌八首 ○팔반가(八反歌) 여덟 수(首)는 어버이를 봉양하고 아이를 기름에 있어서, 그 부모와 자식의 사이에서 갖는 여덟 가지의 상반된 마음을 비교하여 읊은 노래이다. 아이를 대하는 마음과 늙으신 어버이를 대하는 마음을 실례를 들어가며 그 상반된 태도를 날카롭게 .. 2009. 4. 15.
명심보감(9) 염의편.권학편 24.廉義篇 ○염의편 에서도 역시 실례를 들어, 옛사람들의 염치(廉恥)와 의리(義理)를 보여준다. 현대에는 염치와 의리를 지키다간 오히려 자신만 손해를 본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러한 손해쯤은 결국 언젠가는 만회될 날이 분명히 올 것이다. 항상 떳떳한 자신이 되.. 2009. 4. 15.
삼강오륜과 주자십회훈 三綱五倫(삼강오륜) 父爲子綱 (부위자강) 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근본이고 君爲臣綱 (군위신강) 신하는 임금을 섬기는 근본이고 夫爲婦綱 (부위부강)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근본이며 君臣有義 (군신유의) 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하고 父子有親 (부자유친) 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하며 夫婦有別 (부부유별) 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長幼有序 (장유유서)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朋友有信 (붕우유신) 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朱子十悔訓(주자십회운) 不孝父母死後悔(불효부모사후회) 부모에게 효도하지 않으면 돌아가신 뒤에 뉘우친다. 不親家族疎後悔(불친가족소후회) 가족에게 친절하지 않으면 멀어진 뒤에 뉘우친다. 少不勤學老後悔(소불근학노후회) 젊을 때 부지런히 배우지 않으면 늙어서 뉘우친다.. 2009. 4. 15.
논어집주서설(論語集註序說), 제1편 학이(學而)-제2편 위정(爲政) 論 語(논 어) 論語序說(논어서설) 史記世家曰(사기세가왈) 孔子 名丘 字仲尼 其先宋人 父叔梁紇 母顔氏 以魯襄公二十二年 (공자 명구 자중니 기선송인 부숙양흘 모안씨 이노양공이십이년) 庚戌之歲 十一月庚子 生孔子於魯昌平鄕鄒邑 (경술지세 십일월경자 생공자어노창평향추읍) 사마천(司馬遷)이 지은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공자는 이름은 구(丘)이고 자는 중니(仲尼)이다. 그 선조는 송(宋)나라 사람이다. 아버지는 숙량흘(叔梁紇)이고 어머니는 안씨(顔氏)이니, 노(魯)나라 양공(襄公) 22년 경술년(B.C. 551 ) 11월 경자일에 노나라 창평향 추읍에서 공자를 낳았다. 爲兒嬉戱 常陳俎豆 設禮容 及長 爲委吏 料量平 爲司職吏 畜蕃息 (위아희희 상진조두 설예용 급장 위위리 요양평 위.. 2009. 4. 14.
세계에서 가장아름다운곡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율 1위곡 한국 고유의 전통 음악인 "아리랑"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곡 1위에 선정됐습니다.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작곡가들로 이루어진 세계 아름다운 곡 선정하기 대회에서 지지율 82%라는 엄청난 지지를 받고 아리랑이 선정됐습니다. 선정 과정 중에서 단 한명의 한국인도 없었고 이들은 놀라는 눈치였다고 했습니다. "아리랑"은 음악을 사랑하는 세계인들에게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깨우쳐줬다 해도 과언은 아닌듯 싶습니다. 선정인들은 듣는 도중 몇 번씩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동을 받았다고 합니다. 이들 모두 처음 듣는 곡이었으며 한국 유명 전자바이올리니스트 유진박이 아리랑을 전자바이올린으로 연주했습니다. 2009. 4. 14.
대구수목원의 봄맟이 2009. 4. 14.
백두산 백두산정상의 날씨는 하루에도 백번씩 변한다고 하더니 연 이틀을 올라도 쾌청한 천지를 못보고 천지석비만 만져본체 다음기회로 미루어야 하는 아쉬움을 남겨두고 하산해야만 했다 비룡(장백)폭포 비룡폭포 전경 바람이 워낙 심하게 불어 흔들리는 폭포 두만강 뱃놀이 백두산 입구 2009. 4. 14.
배내골 파레소폭포 배네골 파래소폭포 2009.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