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위(曺偉)는 투옥돼 모진 고문을 받았다.
훈구파에 의해 조위, 김일손, 김굉필, 신종호, 정석견, 채수,
김전, 최보, 신용개, 권경유, 이계맹, 이주, 이원, 김심, 김흔,
표연말, 유호인, 정여창 등등 김종직의 제자들 명단이 작성됐다.
그들은 모두 의금부에 연행돼 모진 고문과 함께 거짓자백을 강요받았다.
고문 형틀
류자광과 훈구파가 원하는 자백은 김종직의 제자들이 조의제문에
대역부도의 뜻이 담겼음을 알면서도 찬사를 보내고 지지를 했다는
것이었다. 당사자들 대부분은 자신의 죄를 인정하지 않았다.
관아 풍경
그러나 간접연루자들은 고문에 못 이겨, 혹은 회유에 넘어가서
거짓자백을 했다. 훈구파는 그 강압에 의한 허위자백을 근거로
김종직의 제자들 상당수에게 대역부도의 죄, 그리고 김종직의
유언에 따라 붕당을 이루어 국정을 비방한 죄를 덮어씌웠다.
점필재집(佔畢齋集)
김종직의 문집은 불태워졌고, 그 시신도 부관참시됐다.
조위는 거열형에 처해야 한다는 류자광의 주장이 있었으나
이극균의 간청으로 겨우 죽음을 면했다. 정승조는 곽산에 유배됐고,
표연말, 정여창, 홍한, 강경서, 이수공, 정희량, 정승조 등은 곤장
100대에 3천 리 밖으로 유배됐다.
조위선생의 거열형을 막은 오봉 이극균(五峯 李克均) 초상화
김굉필, 백진, 강혼, 이계맹 등은 장형과 함께 유배지에서 봉수와
노간의 노역을 하게 했다. 그 외에도 수많은 김종직의 제자들이
파면되는 등의 처벌을 받았다. 그리고 김일손의 사초에 들어 있던
조의제문을 처음으로 문제 삼았던 이극돈도 사초를 보고도
바로 고하지 않았다 하여 파면됐다.
창덕궁 낙선재
조위는 성절사로 갔다가 돌아오는 도중 명나라 땅에서 무오사화가
일어났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망명하지 않고 의연히
국경을 넘어 본국으로 들어왔고, 의주에서 연행됐다.
불의는 정의를 이기지 못한다는 믿음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남이의 처형에서 알 수 있듯 현실은 종종 불의가 정의를 이긴다.
창덕궁에서 낙선재로 오는길
조위는 대역부도의 죄와 김종직의 유언으로 붕당을 이루어 국정을
비방한 죄로 의주에 유배됐다. 이때의 유배생활을 기록한 글 중
"규정기(葵亭記)"를 보면 당시의 심정이 어떠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내가 용만(龍灣)에 귀양살이하던 그 다음 해 여름에,
배소의 집이 좁아서 덥고 답답함을 이기지 못하여 동쪽 높고
상쾌한 곳을 골라서 정자를 세우고 띠로 이엉을 했다.
대여섯 명이 앉을 수 있으나 곁집이 즐비하여 약간의 빈터도 없고,
언덕도 겨우 한 길 남짓하였다. 다만 해바라기 수십 그루가 있어
푸른 줄기와 고운 잎이 훈풍에 움직일 뿐이었으므로
정자이름을 규정(葵亭)이라 했다. *규(葵) : 해바라기 규
어떤 손님이 나에게 묻기를, “해바라기는 식물 중에 미약한 것이
아닙니까. 옛사람들은 초목과 화훼에 대하여 그 특별한 풍치를 취하든가
그 향기를 취하든가 하였습니다. 대부분 솔과 대나무, 매화와 난초 등의
아름다움에서 집 이름을 따오는 법인데, 해바라기 같은 것으로
이름을 지었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습니다.
그대는 이 해바라기의 무엇을 취하였습니까. 혹시 무슨 특별한
사연이라도 있습니까?” 했다.
그래서 나는 “그 물건의 미천함이 지금의 내 심정입니다.
귀천과 경중은 갖가지로 같지 않으니, 해바라기는 식물 중에서
미약하고도 가장 천한 것으로서, 사람에 비한다면 야비하고 변변하지
못한 최하품입니다. 반면 솔과 대나무와 매화와 국화와 난초는
아름다운 식물로서 굳세고 풍치가 있고 또 향기가 있습니다.
사람에 비한다면 우뚝 뛰어나 세상에 특립하여 그 성명과 덕망이
울연한 자 아니겠습니까. 내 이제 거칠고 멀고 적막한 곳에 쫓겨나
사람들이 천시하고 하찮은 물건 대하듯 하는데, 나의 정자를
솔과 대나무와 매화와 국화와 난초의 아름다움에서 이름을 따온들
이름을 빌려준 것들에게 부끄러울 뿐 아니라
사람들의 웃음거리나 될 뿐이겠지요.
경주 황성공원 맥문동 ~ 그늘진 곳에서 서식, 겨울에도 푸른잎, 꽃말은 겸손,인내
버림받은 사람으로서 천한 사물에 부합하되, 멀리 구하지 않고
가까운 데에서 취하는 것이 나의 뜻입니다.” 라고 대답했다.
기미년 6월 상순.특별할 것 없어 천한 취급을 받는 해바라기의
이름을 따서 정자 이름을 "규정"이라 했다는 것인데, 해바라기의
그 미천함에서 아픔을 위로받으려는 애처로운 마음이 읽힌다.
'뿌리와 예의범절 > 梅溪 曺偉 先生'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계 조위선생의 만분가(萬憤歌) (0) | 2024.05.07 |
---|---|
문장으로 이름을 떨친 조위(曺偉) ~ 7.끝) (0) | 2024.05.01 |
문장으로 이름을 떨친 조위(曺偉) ~ 5) (0) | 2024.04.30 |
문장으로 이름을 떨친 조위(曺偉) ~ 4) (0) | 2024.04.30 |
문장으로 이름을 떨친 조위(曺偉) ~ 3)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