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문화유산산책491

육영수여사 생가와 죽향 초등학교의 교육 역사관 육영수여사가 1925년 태어나서 1950년 박정희 대통령과 결혼 할때까지 살았던 생가, 그리고 정지용 시인과 육영수여사가 다녔던 죽향초등학교와 당시의 교사건물을 교육역사관으로 보존하고 있는 현장이다 이곳 옥천군 옥천읍 교동리의 생가는 조선시대인 1600년대 이후 김(金),송(宋),민(.. 2010. 7. 25.
둔산동 경주최씨 종가(백불고택) 둔산동 옷골은 경주최씨 광정공파 후손들이 모여사는 동성촌락으로 20여호의 고가가 어우러져 있다. 종가인 백불고택은 조선 인조때 학자 대암 최동집이 정착하면서 지은집이다. 지금부터 400여년전으로 대구지역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로는 가장오래된 건축물이다. 고택담장의 매화 대.. 2010. 4. 6.
밀양 점필제 김종직선생 생가와 예림서원 점필제 김종직선생(1431년-세종13) ~ (1492년-성종23)은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에서 사예 김숙자 선생이 43세때 3남2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추원재가 선생의 생가인데 그 뒤(1810)에 재사로 개조 중건한 것이다. 예림서원은 김종직(金宗直)의 지덕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것으로 1567년(명종 22) 이.. 2010. 3. 6.
성주 한개마을 한개마을은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에 자리하고 있다. 조선 세종조에 진주목사를 역임한 이우가 입향하여 개척한 마을로 성산이씨의 집성 마을이다. 마을의 지형은 뒷산인 영취산(해발 322m)줄기가 마을을 감싸고 있고, 마을 앞에는 백천이 흐르고 있어 영남제일의 길지를 이루고 있다. 현재.. 2009. 9. 25.
정몽주의 영천 임고서원(臨皐書院) 임고서원(臨皐書院)은 고려 말의 충신이자 유학자인 정몽주(鄭夢周 1337~1392)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서원으로 영천 임고면 양항리에 있다. 1553년(명종 8) 임고면 고천동 부래산에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는데, 1603년(선조 36)에 다시 지었으며, 이때 임금으로부터 이름을 하사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임고서원 전경(2018.12.19) 1643년(인조 21)에는 장현광(張顯光), 1727년(영조 3)에는 황보인(皇甫仁)을 추가로 배향하였으며,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철거되었었다. 1965년 정몽주의 위패만을 봉안하였고, 2001년에는 황보인의 위패도 다시 배향하였다. 임고서원 영광루와 은행나무 경내에는 묘우, 표충사, 내삼문, 유정문, 강당, 흥문당.. 2009. 9. 14.
그때 그시절 그때 그 시절 그때 그 시절 <코윈 테일러 사진첩에서(1908 - 1922)☆ 아래의 사진들은 대한제국 1908년 부터 일제 강점기 시대인 1922년 사이에 우리나라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코윈 테일러(Corwin Taylor) 부부가 찍은 것으로 손자인 Ewing Bevard Taylor씨가 남가주대학 한국헤리티지 도서관에 기증한.. 2009. 8. 10.
1900년대 전후의 조선시대 외국 기자가 찍은 1899-1900년대의 대한제국 서울의 어느곳 SEOUL Photo by UNKNOWN photographer, ca.1899-1900. - Pottery Packing Mountain Men, Near SEOUL Transportation, SEOUL. Photo by UNKNOWN photographer, ca.1899-1900. They are standing on a railroad or trolly track. - Limousine Service in the Snow for a High Class Little Girl, SEOUL 2009. 7. 29.
세계문화유산등재 서원~(5)대구 달성 도동서원 도동서원은 달성군 구지면 대니산 기슭 낙동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사적 제48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정당, 사당의 담장은 보물 제350호이다. 2019년 7월 6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서원 제일 앞 건물인 수월루 도동서원은 한훤당 김굉필선생을 기리기위해 외증손인 한강 정구(鄭逑)선생이 유생들의 후원을 받아 한훤당선생의 무덤 밑인 이곳에 1605년 세운 서원이다. 1607년(선조 40년) 공자의 도가 동쪽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도동서원이란 편액을 하사받아 사액서원이 되었으며, 1871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살아남아 조선중기 서원의 건축양식을 고스란히 전해주고 있다. 매년 음력 2월과 8월 중정일(中丁日)에 향사를 지내며, 이날 사당을 공개한다. 환주문 수월루를 지나 중정당으로 들어서는 좁.. 2009. 6. 13.
황간 월류정과 가학루 월류봉은 사군봉에서 이어지는 기암절벽의 빼어난 봉우리등으로 달도 머물다갈 정도로 아름다워 월류봉이라 이름지어 졌다 월류봉을 감아도는 강가에는 월류정이 있고 조금 상류에는 가학루가 있다 월류정(2008.11.16) 정자 아래는 절벽 강물은 예나 지금이나 유유히 흐르고 월류봉 표지판.. 2009. 5. 6.
잊혀진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대한제국' 사 진전. - 대형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일본으로 떠나는 덕혜옹주 (1925년3월28일 촬영 )       고종의 장례식에 참석하는 이 토 히로쿠니 공작과 조동윤 남작(1919년2월9일 촬영 )       삼전에 참배하기 위해 영친왕 과 함녕전을 .. 2009. 4. 20.
안동 병산서원과 하회마을 병산서원 하회마을의 류성용 종택 하회마을 북편의 연좌루 마을 동편입구 2009.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