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보물을 간직한 소백산 성혈사
소백산 국망봉 아래 동남쪽 기슭에 자리한 성혈사는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규모도 크지않고 잘 알려지지 않은 고찰이지만, 이곳에는 아주 귀한 문화재인 나한전 통판투조 연지수금 꽃살문(보물 제832호)이 있어 찾아 나선다. 소백산 성혈암 누각 ~ 과거 성혈사의 중심법당 성혈은 사찰 남쪽에 있는 굴의 이름인데 옛날 이곳 바위 굴에서 성승이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경내에는 대웅전, 나한전, 산신각,삼성각, 심검당, 함담정,누각, 요사채 등이 배치되어 있다. 중요 문화재로는 성혈사 나한전과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신중탱화가 있다. 보물 제832호 꽃살문을 간직한 나한전 나한전은 3층의 기단 위에 다포식 겹처마로 지어진 화려한 건물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2024. 12. 1.
영주 삼판서 고택(정도전 생가)
영주 삼판서 고택은 고려말에서 조선초까지 세 명의 판서가 연이어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이 고택의 첫 주인은 고려 공민왕 때 형부상서(조선시대 형조판서 해당)를 지낸 정운경(鄭云敬,1305~1366)으로정운경은 그의 사위인 공조판서 황유정(黃有定,1343~?)에게, 황유정은 다시 외손자인 이조판서 김담(金淡,1416~1464)에게물려주었으며, 이때부터는 김담의 후손들이 계속 살았다. 영주 삼판서 고택 이 고택에서는 3명의 판서를 비롯하여, 조선개국의 일등공신이며 정운경의 아들인 정도전(鄭道傳,1342~1398)이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정도전 외에도 사헌부 지평 황전(黃銓), 집현전 교리 김증(金曾) 등 많은학자와 명신(名臣)이 배출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삼판서의 후손들이다. 삼판서 고택 가는길 삼..
2024. 11. 30.
창녕,남지 선영 참배(2024년)
창녕조씨의 득성지지가 있는 화왕산 아래 창녕 선영에서찬성공파의 파조이신 찬성공(경수,敬修)의 조부(원계,元桂)와부친(우희,遇禧), 그리고 둘째 형인 익수(益修) 선조 묘소를 참배했다. 휘(諱) 원계(元桂)선조 부부묘소(상,하) 매계선생의 5대조 되시며, 환(煥)자 항렬의 20대조 되신다. 올해의 시제(時祭)는 10월 셋째 일요일에 김천 덕원재에서 20대조(원계,元桂)이하 손자이시며 김천입향조(심, 深)선조까지합설하여 봉행하였으며, 이 날은 참의공 운현 종회장을 비롯한 김천문중에서 총 8명이 참석하여 선영 참배를 하였다. 이 선영은 고려말에 축성하여 현존하고 관리하는 가장 오래된 묘소이다 참배 장면 휘( 諱) 우희(遇禧)선조 묘소(창녕 남지읍 성사리) 휘( 諱) 우희(遇禧) 선조는 휘(諱) 원..
2024. 11. 24.
정암 조광조선생의 심곡서원과 묘역
심곡서원(深谷書院)은 효종 원년(1650)에 조광조 선생의 학덕과 충절을 기리기 위해 심곡이란 현판과 토지, 노비 등을 하사하여사액서원으로 설립하게 됐으며, 용인시 상현동에 있다. 용인 심곡서원 심곡서원은 조광조의 묘소가 이곳에 있기 때문에 일찍부터 서원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있었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모현면에 있는 정몽주(鄭夢周) 제향의 충렬서원에 입향하였다가 위패를 옮겨왔다. 심곡서원 강당인 일소당(日昭堂) 경내의 건물로는 사우(祠宇), 일소당(日昭堂,강당), 재실(齋室),장판각(藏板閣), 내삼문(內三門), 외삼문(外三門) 등이 있다. 일소당은 강당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합각(合閣)지붕에 겹처마로 되어 있으며, 목판벽(木板壁)으로 각 칸마다 판자문비(板子門扉)를 달아 사면을 전부 개방할 수 있..
2024.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