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41 세계유산등재 ~ 7)고성 송학동 고분군(소가야) 경남 고성 송학동(松鶴洞) 고분군은 소가야 (小伽耶)를 대표하는 유적지이다. 소나무아래 학이 노닐던 평화롭고 고즈넉한 마을이라는 송학동 고분군은 소가야 지배자 집단의 중심고분군(中心古墳群)으로 현재 14기가 관리되고 있다. 경남 고성 송학동 고분군 사적 제119호이며 2023년 9월 17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우리나라 7개 고분군 중 한곳인데, 제일 마지막으로 송학동 고분군을 찾았다.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2023.9.10~9.25)가 열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현장 이날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으로, 1)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2)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 3)경남 김해 대성동 고분군,.. 2023. 10. 2. 세계유산등재 ~ 6)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비화가야)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은 5~6세기 가야연맹을 구성했던 비화가야를 대표하는 고분군으로, 봉토분은 모두 115기이다. 봉분이 남아있지 않은 지대에도 지하에 180여기의 많은 고분이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지정면적은 220,455㎡이다. 사적 5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문화유산에 등재(2023.9.17) 되었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창녕은 삼국지 동이전(東夷傳)에 보이는 진한의 불사국(不斯國)으로서 비자화(比自火), 비사벌(比斯伐)이라고도 불렸다. 이 고분군은 비화가야의 수장급 무덤인 대형분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경주에 분포하는 돌무지덧널무덤 다음으로 많은 양의 신라 계통 금속유물이 발굴되므로써 당시 신라와 정치적 관계가 밀접하였음을 보여주고있다. 세계문화유산 등재 축하 풍선.. 2023. 10. 2. 세계유산등재 ~ 5)함안 말이산 고분군(아라가야) 함안 말이산(末伊山) 고분군은 해발 50m 정도의 낮은 구릉 능선을 따라 5∼6세기에 만들어진 113기의 큰 무덤들이 나란히 입지하고 있다. 사적 제515호인 말이산 고분군은 면적이 562필지에 525,221 ㎡ 나 된다. 함안 말이산 고분군 안내판 삼국유사에는 아라가야 또는 아야가라(阿耶加羅),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아시라국(阿尸良國) 또는 아나가야(阿那加耶), 고구려 광개토왕릉비와 일본서기에는 안라(安羅)라고 하고있다. 아라가야는 안야국(安耶國)으로, 변한 12국 중 하나인데, 그 뒤 6가야로 통합된것으로 보고있다. 아라공원 입구 특히 함안군은 2009년 5월 성산산성 발굴과정에서 700여년전 고려시대의 진공상테 연꽃씨앗 10여개를 발견하여 이를 발아시키는데 성공한 후 함안지역의 옛 이름을 따서 "아라.. 2023. 9. 29. 세계유산등재 ~ 4)김해 대성동 고분군(금관가야) 김해 대성동 고분군은 2023년 9월 17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이다. 사적 제341호인 고분군 바로 인근에는 김수로왕릉과 구지봉엔 허왕후릉도 있다. 대성동고분군은 발굴 조사 결과 원삼국시대의 널무덤과 가야 전기의 덧널무덤, 그리고 구덩식 돌방무덤이 발견되었는데 금관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하고있다. 가야국 분포도 가야국의 김수로왕은 금관가야의 초대 국왕(태조)이자 김해김씨의 시조이다. 가야 건국신화는 2가지가 있는데 삼국유사에 수록된 구지가의 여섯(6)개알 신화로 유명하다. 서기 42년 김해 구지봉에서 사람들이 모여 구지가를 부르며 춤을 추자 하늘에서 자주색 줄이 내려오고 줄 끝에는 황금색 상자안에 6개의 황금 알이 있었다. 그 황금알이 12일 후에 사내아이로 바뀌었고, 가장 먼저 깨어난.. 2023. 9. 29. 지리산 쌍계계곡 불일폭포(佛日瀑布) 불일폭포(佛日瀑布)는 높이 60m, 너비 3m 정도의 거대한 폭포로 지리산 청학봉과 백학봉 사이 쌍계사계곡 상류에 있으며 화개천과 합류한다. 깍아지른듯한 암벽 옆 사잇길을 오르고 내리고 하면서 숨을 몰아 쉬다보면 숲사이로 마치 용이 승천하는 듯한 우렁찬 소리의 불일폭포를 만난다. 지리산 불일폭포(佛日瀑布) 불일폭포를 가려면 쌍계사를 지나서 가야 한다 쌍계사 금당(金堂)앞 꽃무릇 금당 입구에서 불일폭포까지 2.4km 불일폭포 자연관찰로 안내판 지리산 10경의 하나인 불일폭포는 높이 60m에 달하는 웅장하고 아름다운 폭포이다. ~ 이 폭포 밑에 학연(鶴淵)이라는 깊은 물 웅덩이에서 청학(靑鶴)이 노닐어 신라 말기의 학자 최치원 선생이 청학을 타고 다녔다는 설화가 있다. ~ 지리산은 돌이 많은 산이라 어느곳을.. 2023. 9. 24. 세계유산등재 ~ 3)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세계문화유산에 등재(2023.9.17)된 남원시 인월면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을 세번째로 찾는다. 가야의 7개 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지금은 사라진 고대 문명인 가야의 고분군으로, 이들 고분군은 지리적 분포,입지,묘제,부장품을 통하여 정치체간의 결속과 사회적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야연맹의 특성을 보여주고있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서편 성내마을앞 들녁 특히 남원의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은 5~6세기 가야연맹 중 가장 서북부 내륙에 위치했던 운봉고원의 가야정치체를 대표하는 고분군이다. 가야연맹의 최대 범위를 드러내며 백제와 자율적으로 교섭했던 가야정치체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2023.9.17 세계문화유산 등재) 이곳 고분군은 아직 발굴중이.. 2023. 9. 24. 초계정씨 시조 정배걸의 합천 옥전서원 옥전서원(玉田書院)은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에 있는 서원으로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정배걸(鄭倍傑)과 그의 아들 정문(鄭文, ?∼1106) 부자를 향사(배향)하기 위해 1799년(정조 23)에 건립한 서원이다. 고종때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고 보존된 47개 서원중 하나이며, 1861년(철종 12)과 1981년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01호로 지정(1993.12.27)되어있다. 합천 옥전서원(玉田書院) 전경 초계 정씨(草溪 鄭氏)는 합천군 초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초계 정씨(草溪 鄭氏)의 시조 정배걸은 (鄭倍傑)은 합천군 초계면 성산출신으로고려전기 중추원부사, 예부상서 중추사 등을 역임한 관리이자 문신이다. 옥전서원 출입문(외삼문) 1017년.. 2023. 9. 22. 세계유산등재 ~ 2)합천 옥전 고분군 우리나라 16번째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가야고분군(Gaya Tumuli)은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2023. 9.10.~ 9.25)에서 2023년 9월 17일 세계문화유산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합천 쌍책 유물공원 가야고분군은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으로 1)전북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2)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 3)경남 김해 대성동 고분군, 4)경남 함안 말이산 고분군, 5)경남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6)경남 고성 송학동 고분군, 7)경남 합천 옥전 고분군이다. 우리나라는 총 16건의 세계유산(문화 14건, 자연 2건)을 보유하게 되었다. 합천 옥전 고분군(玉田 古墳群) 앞 합천박물관 6개 가야국 중 일찍이 세력이 약해지.. 2023. 9. 22. 영천 보현산댐 출렁다리 개통 영천 보현산댐 출렁다리는 천문대가 있는 보현산 서편의 보현산댐에 설치한 2주탑의 출렁다리로써 길이는 530m이고, 폭이 1.5m, 주탑높이는 53m이다. 2021. 4월 착공, 2023.3월에 준공한 후 지난 2023년 8월 30일 개통하였다. 영천 보현산댐 출렁다리 운무속의 출렁다리 빗방울이 점점 굵어진다 보현산댐 하단 보현산댐 상단 운무속의 보현산 자락 출렁다리 반대편에서 댐 둘레길 점점 굵어지는 빗속에서도 찰칵 출렁다리 너머로 멀리 보이는 보현산 별빛마을 보현산을 상징하는 다리위의 별 주탑 전망대 오르는 계단 하늘은 점점 어두워지고 빗방울도 굵어지고 주탑위의 전망대 영천 보현산댐 출렁다리 영천의 꿈을 담다 2023. 9. 17. 산소카페 청송정원 백일홍 수놓다 청송 송강리의 산소카페 청송정원은 임하댐으로 흘러드는 용천천 옆 4만여평의 넓은 부지에 자리하고 있는데, 요즘 오색찬란한 백일홍꽃이 수를 놓았다. 늦은 장마비가 오락가락 하는 9월 중순에 백일홍 꽃향기를 맡으며 꽃길을 걸어본다. 산소카페 청송정원 용전천 옆의 산소카페 청송정원 전망대에서 보는 산소카페 청송정원 전망대 야외무대 사랑의 징검다리 우중에도 백일홍 꽃길을 걷는 노랑우산 빨강우산들 전망대 겸 사진촬영하는 곳(포토존) 2023. 9. 17. 9월 장마의 먹구름속 일출암과 고아라해변 올해 8~9월은 이상고온과 폭우,지진 등으로 지구촌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다. 하와이에 불어닥친 폭풍우로 인한 대화재에다 리비아 대홍수, 모로코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는 물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피해 등 어느곳 하나 성한곳이 없다. 늦은 9월 장마로 날씨가 선선해진 날 포항 일출암과 감포 고아라해변을 둘러본다. 포항 일출암 풍경 호미곶의 연오랑세오녀 상(延烏郞細烏女 像) 연오랑세오녀(延烏郞細烏女) 기록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포항지역의 설화로써 연오랑세오랑 부부는 신라초기 영일지역의 소국이었던 근기국(勤耆國)의 사람으로 신라 8대 아달라왕 4년인 157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길쌈과 제철기술 등 선진문화를 전파하고 그곳의 왕과 왕비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신라에는 해와 달의 빛이 없어지자 사자를 보내 세.. 2023. 9. 14. 세계유산등재 ~ 1)고령 지산동 고분군(대가야) 사적 제79호인 고령 지산동 고분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다.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2023.9.10~9.25) 되고 있는데 이번 회의에서 가야고분군인 1)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해 2)김해 대성동 고분군 3)함안 말이산 고분군 4)합천 옥천 고분군 5)고성 송학동 고분군 6)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7)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등이 7개 가야고분군으로 구성된 연속유산으로 확정 등재될 예정이다. *2023년 9월 17일 세계유산위원회는 가야유산 7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확정 등재했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도로 북쪽 지역) 특히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후기(5세기~6세기) 가야사회를 주도했던 대가야 지배층의 묘역으로, 7개 가야고분군 중 가장 넓은 1.. 2023. 9. 10.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600만명 돌파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는 2013년 정원박람회 개최 이후 꼭 10년만에 111,2천m²(약 37만여평) 규모의 박람회장을 개조하여 23개국 83개 정원을 조성했으며, 올해는 2023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6개월간으로, 8월 29일 관람인원 600만명을 돌파했다. 202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관람객 600만명 돌파기념 여름이 서서히 물러나고 가을이 오고있는 문턱에서 순천만정원을 찾았다.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조형물 물새정원의 홍학(플라밍고) 호수정원 정원관람차를 타고 호수정원을 지나 장미정원과 키즈가든을 지나고 흑두루미 미로정원을 지나 노을정원을 거쳐 현충정원을 돌아 정류소에서 잠시 내린다 그리고 꿈의 다리를 건너서 꿈의 남문을 지나 물새놀이터에서 홍학(flamingo,플라밍고)을 만.. 2023. 9. 8. 시인 윤동주 육필원고 보존 광양 정병욱 가옥 정병욱(鄭炳昱) 형(兄) 앞에, 윤동주(尹東株) 정(呈)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르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모든 죽어가는것을 사랑해야지.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거러(걸어) 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1941.11.20 윤동주 시인 육필 원고 동주의 노래소리는 이 땅의 방방곡곡에 메아리치지 않는 곳이없게 되었으니 동주는 죽지 않았다고 할것이다. ~내가 평생 해낸 일 가운데 가장 보람있고 자랑스런 일이 무엇이냐고묻는이가 있다면 나는 서슴치 않고 동주의 시를 간직했다가 세상에 알려 줄 수 있게 한 일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정병욱 교수의 "잊지 못할 윤동주의 일들 중에서" - 광양 망덕포구 정병욱 가옥(등록문화재 제341호) 정병.. 2023. 9. 8. 금수산 기슭의 그림같은 정방사(淨芳寺) 정방사(淨芳寺)는 제천 금수산(錦繡山) 기슭 기암절벽아래 있는 사찰로 662년(신라 문무왕2) 승려 의상이 수도하기 위하여 창건한 사찰이다. 왼쪽으로는 금수산이, 멀리는 청풍호가 내려다 보이는 그림같은 풍경이다. 암벽아래의 정방사(파노라마) 중앙건물이 원통보전, 오른쪽은 유운당, 왼쪽건물은 나한전이다. 절벽아래 좁은공간에 계단식으로 터를 닦아 전각들을 옆으로 배치하므로써 전체건물을 한장면에 넣을 공간이 없어 파노라마로 담으니 건물이 왜곡되어있다. 정방사 가는길 정방사 입구 돌계단 암벽사이로 계단위로 보이는 요사채와 종각 암벽 아래의 정방사 종각 올라와서 보는 요사채 유운당(留雲堂) 원통보전(圓通寶展) 원통보전 안에는 1689년(숙종 15)에 만들어진 목조관음보살좌상과 후불탱화, 칠성탱화, 산신탱화, 독성.. 2023. 9. 6.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