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444 명재고택의 미선나무꽃 미선나무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특산식물로 키는 1m가량이다. 흰색의 꽃이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향이 진하며, 꽃은 종 모양의 통꽃이며 열매는 시과(翅果)로 9~10월에 익는데 동전처럼 넓적하여 동그란 부채처럼 생겼다. 그 동그란 모양이 마치 궁중 여인들이 얼굴을 가릴 때 사용하던 부채인 미선과 닮았다고 하여 미선(美扇 또는 尾扇)나무로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오늘은 논산 명재고택의 미선나무꽃이 일찍피고 있어 찾아본다. 논산 명재고택의 미선나무꽃 미선나무는 충청북도 괴산군 송덕리, 율지리와 옥천군 월전리, 영동군 배천리 전라북도 변산의 중계리 등에서 자라는 특산으로 대부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씨는 열매 양쪽에 1개씩 들어 있으며, 미선나무속의 단 하나뿐인 종인 특산이다. 분홍색.. 2023. 3. 15. 김장생의 임리정과 죽림서원, 송시열의 팔괘정 임리정(臨履亭)은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1548~1631)선생이 후진을 교육하던 장소로 논산 강경읍(江景邑) 황산리 금강변에 자리하고 있다. 임리정 바로 아래에는 김장생이 건립한 죽림서원(竹林書院)이 있고, 조금 떨어진 곳에는 우암 송시열이 지은 팔괘정(八卦亭)이 있는 강경의 명소이다. 강경 임리정(臨履亭) 임리정은 사계 김장생(金長生)이 1626년(인조 4)에 이곳으로 내려와 황산서원(黃山書院, 지금의 竹林書院)과 임리정(臨履亭)을 세워 선현(先賢)을 추존하며 후진을 교육하던곳으로, 이후 김장생의 학맥을 이은 송시열(宋時烈)이 1663년(현종 4)에 팔괘정(八卦亭)을 지어 금강(錦江)의 수려한 경관을 즐겼다고 한다. 언덕위의 임리정 이곳은 원래 황산정(黃山亭)이라 하였으나 시경(詩經)의 전전긍긍(戰.. 2023. 3. 14. 대구 달성 영벽정(映碧亭) 달성 영벽정(映碧亭)은 대구 지하철 2호선 서쪽 마지막역인 문양역에서 가까운(1.6km) 대구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 낙동강변에 자리하고 있다. 바로 앞에는 낙동강이 굽어 흐르고, 하류로는 멀리 강정,고령보가 보인다. 달성 영벽정(映碧亭) 전경 이 정자는 파평윤씨 달성 문산 입향조인 윤인협(尹仁浹, 1541-1597) 선생이 1573년(선조 6년)에 세운 정자로, 마당에는 회화나무 4그루가 싱싱하게 자라고 있다. 회화나무는 처음 간축당시 심었던 것으로 보여 수령이 4백년여년 이상되었을것 같다. 윤인협의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덕심(德深), 호는 아암(牙巖) 이다. 달성 다사읍 문산리는 파평윤씨 집성촌이며 세거지이다. 영벽정 정문 담장너머의 영벽정(남쪽에서) 담장너머의 영벽정(옆문이 있는북쪽에서) 옆문 .. 2023. 3. 13. 분홍벗꽃에 동박새 화조도를 담다 부산 배화학교정문의 분홍벗꽃은 그 종류도 희귀하고 아름다울뿐더러 피는 시기도 일반 벗꽃보다 2~3주는 더 일찍 꽃망울을 터뜨려 화사함을 뽐낸다. 거기에다 귀여운 동박새까지 불러모아 귀여움을 더한다. 요즘은 덩치가 큰 직박구리가 무리로 날아들어 동박새를 내치고 있어 가끔 날아드는 동박새를 만나기가 쉽지않은데 기다림속에 동박새 화조도를 담아본다. 분홍벗꽃속의 귀여운 동박새 분홍벗꽃 잠시 쉬어가는 멧비둘기 배화학교 정문앞 직박구리 분홍벗꽃에 동박새, 멧비둘기,직박구리의 화조도를 담아보다 2023. 3. 11. 진해에서 봄 마중을 봄은 남녁에서 봄바람에 실려 온다고 했던가? 그 봄을 더 가까이서 맞이하고자 남쪽나라 진해로 나아간다. 날씨는 더없이 따뜻한데 봄의 심술꾼 황사가 하늘을 덮어 파란 바다를 볼 수 없어 아쉽다. 진해 목재문화체험장과 진해앞바다를 한바퀴 돌며 사이사이에서 봄의 향기를 맡아본다. 진해 목재문화체험장 천자산 편백나무숲길 진해 앞바다가 보이는 곳 사방오리나무의 꽃 편백나무 씨앗 물이 빠진 진해 앞바다 하늘과 바다가 뿌연 진해 앞바다 풍경 양지바른곳의 수선화 진해루 바다를 찾은 왜가리 엄청 넓은 진해루 마루 바지락을 채취하는 사람들 봄은 이렇게 봄바람타고 우리곁으로 찾아왔다 2023. 3. 11. 밀양향교 고매와 금시당 운용매의 향기 3월은 바야흐로 짙은 매향이 온 사방에 퍼져 코끝을 자극하며 봄을 알리는 계절이다. 오늘은 고매의 향기를 찾아 밀양 향교 고매와 금시당 백곡재의 운용매를 찾는다. 밀양향교 고매 향교 뒷뜰 대숲아래 돌계단 위에서 옛 선비 학동들의 글읽는 소리를 들으며 진한 향기로 화답하며 봄이 왔음을 알려주었을 바로 그 매화나무가 아닌가? 밀양향교 명륜당(보물 제2095호) 금시당 백곡재잎 운용매(雲龍梅) 운용매는 꿈틀거리며 자라는 줄기가 마치 구름을 나는 용의 모습을 닮았다하여 븥여진 이름이며 흰색의 꽃에 향기도 훨씬더 진하여 선비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금시당과 운용고매 백곡재앞의 운용매 구름을 나는 용처럼 구불구불 자라는 매화 금시당 창가에 늘어진 운용매 2023. 3. 11. 사천 곤양 은사리의 세종대왕 태실지 경남 사천시 곤명면에는 세종대왕과 그의 애손 단종의 태실지가 있다. 이곳의 태실은 1929년 경기도 양주군으로 이전되었고 현재는 석재의 일부가 남아 있다. 세종대왕 태실지는 세종대왕의 태(胎)를 봉안하는 태실이 있던 곳이다. 예로부터 태는 태아에게 생명을 준 것이라 하여 함부로 버리지 않고 소중하게 보관했다. 특히 조선 왕실은 국운과 관련이 있다하여 태를 더욱 소중히 다루었으며 전문담당기관인 태실도감(胎室都監)을 설치했다. 세종대왕 태실지 석물 조선 왕실은 세종대왕의 탄생을 경하(敬賀)하기 위하여 태실을 봉안코자 풍수지리가 제일 좋다는 이곳 태봉산(胎峰山 : 당시 소용산)을 택하여 세종 원년(1419)에 태실을 설치하였다하며, 태실 봉안시에 석물은 충청도에서, 지물과 집기는 전라도에서, 식량과 사역은 경.. 2023. 3. 6. 섬진강 소학정마을의 소학재와 소학매(逍鶴梅) 매년 3월이 오면 섬진강 강바람에 실려오는 그윽한 매화향을 잊을 수 없다. 그 향내음을 따라 올해는 광양 소학정(巢鶴亭)매화마을의 소학재와 소학매를 찾았다. 소학정마을은 다압마을의 조금 북쪽에 있는 곳으로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곳이다. 소학재 소학정마을에 소학정이라는 정자는 없지만 옛날 이곳에는 풍경이 아름다워 학이 많이 살고 있었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이 마을이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지금 소학재의 주인이기도한 마을주민이 자기가 태어나서 자라고 어릴때 소꼽장난하던 바로 그 자리인 개울가 황무지에 10여년 전부터 한옥 정자를 지어 소학재(逍鶴齋)라 이름하고, 물과 바위를 이용한 갖가지 시설물들과, 수백년된 희귀 수목들을 아름답게 조경하므로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중 단연 압권은 수령.. 2023. 3. 6. 서천 식물예술원 서천 식물예술원은 퇴직한 교장선생님과 시인인 부인이 함께 운영하는 공간으로 야생화정원과 미로정원, 연꽃정원, 솟대정원, 옹기전시장, 분재전시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장이 40여 년간 수집하고 가꾸어 온 것들을 무료로 개방하여 청소년들에게 체험학습을 통해 우리의 전통 문화와 자연의 소중함을 심어주고 있다. 목은 이색을 배향한 문헌서원과 가까운곳에 있어 서천여행시 같이 둘러보면 좋을것 같다. 서천 식물예술원 연밭정원 풍년화 미로정원 안주인이자 시인인 최정심 시인의 시비 한 마리 새가 되고 싶다 한 마리 새가 되고 싶다. 저녁놀 곱게 내린 대숲 사이로 포르르포르르 날아보고 싶다. 종일 무얼하며 놀았는지 조그만 산새에게 물어봐야지 서산 너머 해님이 잠자는곳은 어디쯤 있는지 물어봐야지 성황당 옆 아그배는 언.. 2023. 3. 3. 한산이씨와 목은 이색선생의 문헌서원 문헌서원(文獻書院)은 이곡(李穀),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1594년(선조 27) 창건한 서원으로 충남 서천 기산면 영모리에 있다.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한산 고촌으로 이건 복원하여1611년 文獻(문헌)이라고 사액(임금이 서원 이름을 내림)되었으며,이종학(李鍾學), 이개(李塏), 이자(李耔)를 추가 배향하였다. 문헌서원 홍살문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어 그 자리에 설단(設壇)하고 분향하여 오다가1969년 지방유림이 복원하여 이종덕(李種德)을 추가 배향하였다. 문헌서원 전경(2023.3.2)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祠宇), 2층 누각으로 된 6칸의 강당, 4칸의 진수당(進修堂), 3칸의 목은영당(牧隱影堂), 5칸의 재실(齋室.. 2023. 3. 3. 영산 3.1민속문화제와 만년교 쥐불놀이 창녕 영산에서는 3.1민속문화제를 2.28~3.3까지 4일간에 걸쳐 만년교와 연지일원에서 펼친다. 그동안 코로나로 3년간 중지하였다가 올해 62번째로 개최하는 3.1민속문화제는 불꽃놀이, 풍물놀이, 3.1만세운동 재연, 축하공연, 영산 쇠머리대기, 영산줄다리기, 골목줄다리기 등 다양한 행사가 마련되었다. 오랫만에 하는 행사로 오늘은 전야제 행사인 만년교 쥐불놀이를 만나본다. 만년교 쥐불놀이 만년교는 1780년에 축조한 무지개다리(홍예교)로써 영원히 무너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만년교라 이름지어졌다고 하며, 바로 여기에서 쥐불놀이를 한다. 원래의 쥐불놀이는 정월의 첫 쥐의 날(예 : 갑자일,무자일 등)에 논,밭둑에 불을 놓아 쥐를 쫓는것은 물론 벌레와 해충들을 없애기 위해 하는 놀이였다고 한다. 이때는.. 2023. 2. 28. 호수같이 잔잔한 낙동강 경천섬공원 겨울산책 경천섬은 낙동강 제1경으로 꼽는 상주 경천대 조금 하류에 있는 약 20만㎡의 섬으로 4대강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상주보를 건설하면서 생긴 낙동강속의 섬이다. 이 섬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공원을 경천섬 공원이라 부르며, 유유히 흐르는 강물과 비봉산 절벽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이룬다. 계절별로 각각 다른 아름다운 경관들을 만날 수 있지만 이제 막 겨울이 끝나고 생동의 힘이 솟아나는 봄의 문턱에서 호수같이 잔잔한 경천섬 경관을 즐겨본다. 경천섬과 비봉산을 연결하는 구름다리 낙강교 경천섬 입구 먼저 범월교를 건너고 범월교위에서 보는 상주보와 멀리 갑장산 경천섬과 비봉산을 연결하는 낙강교(345m) 수중탐방로 비봉산 학전망대 학전망대 오르는 계단 전망대로 오르는 회전식길 전망대에서 보는 낙강교와 경천섬 그리고.. 2023. 2. 28. 선산 고아 매학정(梅鶴亭)과 조신(曺伸) 매학정은 조선중기의 명필 고산 황기로(孤山 黃耆老,1521~1575)가 만년에 낙동강 서쪽 보천산 언덕에 정자를 짖고 필묵과 독서를 즐기며 여생을 보냈던 곳이다. 황기로는 1534년 14세에 사마시에 합격했지만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정자가 있는 언덕을 고산이라 부르고 호로 삼았으며, 주변에 매화나무를 심고 학을 길렀다하여 매학정(梅鶴亭)이라 하였다. 요즘도 매학정 인근 낙동강변에는 매년 재두루미가 찾아와 겨울을 나고있다. 구미 고아 매학정 황기로(黃耆老)의 본관은 덕산. 자는 태수, 호는 고산· 매학정이며, 안평대군 이용, 자암 김구(金絿), 봉래 양사언과 함께 조선시대 4대 명필로 꼽았다. 필법이 뛰어났으며 특히 초서를 잘 써 초성이라 불렀으며, 그의 서체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 뒤 매학정은.. 2023. 2. 27. 양수리가 한눈에 보이는 운길산 수종사 수종사(水鍾寺)는 양수리와 3.2km, 정약용 유적지와는 6.4km정도되는 가까운 곳에 있다. 이 절은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운길산의 정상 부근에 위치하여 한강으로 합류하기 직전의 북한강과 남한강의 물길이 만나는 양수리(두물머리)를 한눈에 내려다 볼수 있는 곳으로 일찍이 서거정(徐居正)이 동방 사찰 중 제일의 전망이라고 격찬한 명당으로도 이름이 높다. 명승 제109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보물 제1808호인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도 있다. 500여년된 은행나무와 북한강 설화에 의하면 고려 태조 왕건이 산 위에서 솟아나는 이상한 구름기운을 보고 가 보았더니, 우물속에 동종이 있어서 그곳에 절을 짖고 수종사라 이름 붙였다고도 하며, 1458년(세조4) 세조가 금강산을 구경하고 수로로 한강을 따라 환궁하던 도중 .. 2023. 2. 22. 남양주 다산 정약용 유적지 다산 정약용선생의 유적지는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로 양수리(두물머리)에서 팔당댐 방향으로 약 3km 떨어진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곳은 정약용을 비롯한 4형제의 생가터가 있는 마재에서 200m 거리이다. 다산 유적지에는 정약용 선생의 묘소와 사당,기념관, 생가터 등이 보존되어 있다. 다산 정약용 생가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1762.6.16~1836.2.22)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이며·시인, 철학자, 과학자·공학자이다, 병조참지(兵曹參知), 부호군(副護軍),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역임하였다. 본관은 나주(羅州). 소자는 귀농(歸農). 자는 미용(美庸)· 송보(頌甫), 호는 사암(俟菴). 자호는 다산(茶山)· 탁옹· 태수(苔叟)· 자하도인(紫霞道人)· 철마산인(鐵馬山人). 당호(堂號).. 2023. 2. 22. 이전 1 ··· 33 34 35 36 37 38 39 ··· 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