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괴시리마을의 목은 이색 기념관
목은 이색(李穡,1328~1396)선생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영숙(穎叔), 호는 목은(牧隱)이며, 아버지는 찬성사 이곡(李穀)으로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이다. 고려후기 대사성, 정당문학, 판삼사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학자이다. 포은 정몽주,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으로서 고려의 멸망과 함께 은둔하였으며, 시호(諡號)는 문정(文靖)이다. 목은 이색 생가(우)와 목은기념관(좌) 목은 이색의 아버지 가정 이곡(稼亭 李穀, 1298~1351)은 급제하기전에 유람(遊覽)으로 영해에 왔다가 사족(士族)인 김택(金澤)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며, 목은 이색은 외가인 이곳 영덕군 영해의 괴시리에서 태어나 외할아버지인 김택에게서 한학을 배우며 자라나 소년기를 보냈다. 그 뒤 목은 이색은 ..
2023. 5. 5.
단양 선암계곡 상,중선암의 철쭉
도락산자락의 심심산골 선암계곡에도 철쭉이 피기 시작했다. 이곳은 단양8경중 상선암,중선암,하선암으로 더 잘 알려진 곳인데 소선암, 특선암까지 더해져 사계절 어느때에 찾아도 마음과 몸이 자연적으로 시원해지는 곳이다. 활짝핀 상선암의 철쭉 돌단풍도 한창 중선암에도 연달래도 사군강산 삼선수석(四郡江山 三仙水石) ~ 정유추 관찰사 윤헌주 서 사군의 강산이 아름답고, 삼선의 수석이 빼어나다는 뜻이다. 예로부터 사군(四郡)이란 단양, 영춘, 제천, 청풍 4군을 말하며, 삼선(三仙)이란 상선암, 중선암, 하선암을 일컫는다. 이 글은 지금부터 300여년전인 "1717년(정유, 丁酉) 가을에 충청도 관찰사 한헌주가 썼으며, 중선암의 상징같은 글이 되었다. 윤헌주(尹憲株,1661~1729)의 본관은 파평. 자는 길보(吉甫..
2023.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