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쉬어 가는곳/봄(3-5월)꽃214

매화말발도리 말발도리는 키가 2m 정도이며 밑에서부터 많은 가지가 나와 모여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앞뒷면에 별 모양의 털이 나 있으며, 잎가장자리에는 조그만 톱니들이 있다. 흰색의 꽃이 5~6월에 줄기끝에 산방(繖房)꽃차례로 피는데 연한 노란색을 띠기도 한다. 꽃잎은 5장, 수술은 10개이며, .. 2015. 4. 26.
남방바람꽃 남바람꽃은 멸종위기식물로 지정되어 있을정도로 귀한종이다. 제주에서 처음 발견되어 제주바람꽃으로 불리다가 전남, 경남등 남부 지방에서도 발견되어 남방바람꽃으로 되었다가 최근에 남바람꽃으로 불리게 되었다한다. 꽃 앞면은 흰색이고 받침부분은 분홍색이다 붉은 빛은 꽃망울.. 2015. 4. 22.
금창초(금란초) 금창초는 꿀풀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써 가지조개나물, 금란초, 섬자란초라고도 부른다. 2015. 4. 22.
화원 깽깽이풀 2015 올해도 어김없이 피어나는 화원의 깽깽이풀을 담아본다 2015. 4. 8.
동강할미꽃 강원도 정선 동강 상류의 한 심심산골 강가 바위틈에 자생하는 동강할미꽃은 신비롭기만하다. 물한방울 얻기 힘들것 같은 척박한 바위틈에서 생명력을 이어가며 이른 봄 예쁜꽃을 피워내는 그 강인함! 특이한 자주색에 하늘을 보고 피는, 동강줄기에서만 자생하는 그래서 동강할미꽃이.. 2015. 3. 28.
긴기아난 난초과의 상록다년초. 석곡과 많이 비슷하다. 크지 않은 꽃이 피며 대나무처럼 줄기에 마디가 있다. 이른 봄에 꽃이 피고 여름에는 생장이 정지한다. 꽃은 분홍색과 하얀색이 있다. 화분에서 십수년간 가꾸어 왔는데 매년 석곡과 같은 시기에 꽃을 피우고 있다. 20`5.3.14 2015.3.13 2010.4.10 2017... 2015. 3. 14.
통도사 설중홍매와 산수유, 서운암과 극락암 통도사경내에는 영축산아래 아름다운 암자들이 많은데모처럼 눈까지 내린날 그냥 지나칠 수 없지않은가?3천불상과 장독대가 많기로 유명한 서운암,그리고 경관이 빼어나 눈속 한폭 그림같은 극락암을 찾았는데극락암은 경봉선사가 머물렀던 곳으로 생전의 스님은 이곳을 찾는 손님에게극락에는 길이 없는데 어떻게 왔는가? 하고 질문을 하곤했다고 전해진다.1.서운암 동화같은 그림이 펼쳐지는 장독대      눈속의 송.죽       2.그림같은 극락암 암자입구에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나는 연못과 홍교(무지개다리)  독성각의 벽화와 설중 산수유....남자한테 정말 좋은데...  설중 산수유          설중홍매                   설중동백    여시문(如是門)......"이와 같다"  극락암  수세전(壽世殿)앞의 .. 2015. 3. 2.
흰붓꽃 윤필암은 희귀한 초화류를 많이 가꾸고 있어 봄이면 아름다운 꽃들로 가득하다. 흰붓꽃 2014. 5. 18.
백화등(흰마삭줄) 백화등은 상록덩굴식물로 마삭줄과 비슷하나 마삭줄보다 더 크다. 5-6월에 흰꽃이 피며 향기가 진하고, 백화마삭줄이라고도 한다 2014. 5. 16.
종려나무(야자수)꽃 종려나무는 일본 규슈 지방이 원산지여서 일본산 종려라는 뜻으로 왜종려(倭棕櫚)라고도 부른다. 추운 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여 제주도를 비롯한 남부 지방에서는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줄기의 목재는 단단하여 정원의 계단 발판을 만들고 건축용으로 쓴다. 또 장식용 재목과 고.. 2014. 5. 15.
백등나무(흰꽃등나무) 등나무는 10m까지 길게 뻗으면서 자란다. 연한 자주색꽃을 피우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귀하게 흰꽃이 피는 백등나무, 겹꽃이피는 겹등나무 등이 있다. 5월에 가지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일이 까다롭게 뒤얽히어 풀기 어려울 때 '갈등'(葛藤)이란 낱말을 쓰.. 2014. 4. 21.
광대나물 광대나물은 줄기 밑에서 많은 가지가 나오고 때로는 가지가 누워 자라기도 하며 키는 10~30cm 정도이다. 4~5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자루가 없는 잎들이 줄기를 감싸는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송이의 꽃이 모여 핀다. 3월에 어린순을 캐서 나물로 먹기도 하며 식물 전체를 여름에 캐서 .. 2014. 4. 11.
바람꽃 종류(모음) 바람꽃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써 중, 북부지역의 고산지대에 습도가 웬만큼 유지되는 곳에서 흔히 자생한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종으로는 변산바람꽃, 꿩의바람꽃, 회리바람꽃,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만주바람꽃 등 15종류의 바람꽃이 있다. 한라산에는 세바람꽃, 설악산에는 바람꽃, 홀아비바람꽃이 자라고 있다. 미나리아재비과에는 속하지만 바람꽃속은 아닌 식물에 "바람꽃"이란 이름이 붙은 종류가 많은데, 너도바람꽃,나도바람꽃,만주바람꽃, 매화바람꽃 등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너도바람꽃은 경기도 북부에서, 매화바람꽃은 북한의 관모봉에서, 나도바람꽃은 강원도 북부에서, 만주바람꽃은 경기도 북부와 경산 등지에서 자라고 있다. 1.너도바람꽃 너도바람꽃은 이른 봄 얼어붙은 땅을 뚫고 올라와 꽃을 피우며, 희.. 2014. 4. 2.
깽깽이풀 깽깽이플은 줄기가 없이 뿌리에서 잎들이 바로 나온다. 잎은 둥그렇고 긴 잎자루 끝에 1장씩 달리며 잎끝과 잎밑이 움푹 들어가 있다. 잎에 광택이 나 물이 떨어지면 잎에 묻지 않고 동그랗게 굴러 떨어진다. 꽃은 잎이 나오기 전인 4~5월에 뿌리에서 꽃자루가 나와 그 끝에 1송이씩 연한 .. 2014. 4. 1.
팔공산 청노루귀 팔공산 가산산성아래의 청노루귀는 그 색갈이 다른곳에 비해 짙은편이다. 비탈진 기슭에서 두꺼운 낙엽을 뚫고 올라와 예쁜꽃을 피우는 생명력의 위대함을 새삼 느끼게 한다. 청색이 주종을 이루고 가끔 분홍, 흰색노루귀까지 다양한 종을 이루어 자라고 있다 2014. 3.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