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분류 전체보기3486

눈속의 변산바람꽃 눈비가 썪여 내리는날 어렵사리 변산바람꽃 자생지를 찾았다.눈과 비의 갈림길에 변산바람꽃이 언땅을 뚫고 고개를 내밀었다. 삼동 지랑마을 계곡 눈녹은 땅 음지에서도 얼굴을 내민다 2025. 3. 5.
알알이 구슬맺힌 통도사 홍매 눈인가 했더니 눈도 아니고, 비인가 했더니 비도 아니네. 경칩을 하루 앞둔날 촉촉한 봄비(눈)가 온누리를 적셔주는데,혹여나 설중홍매를 만나 볼수 있으려나하여 통도사로 향한다. 통도사 홍매(2025.3.4) 매서웠던 추위로 3주정도 늦게 꽃망울을 터뜨린 통도사 홍매인데하늘에선 눈이지만 꽃잎에 닿으면 알알이 빗방울 구슬되어 반짝인다.  "2015년 3월 1일의 통도사 설중홍매" 를 머릿속에 그리며   가지마다 알알이 빗방울 구슬 맺힌 통도사 홍매 설중매를 대한듯 보석같은 빗방울 아침 예불시간이 된듯 법당으로   비내리는 구도의 길 영각앞 홍매 통도사 서운암 장독대  통도사 극락암 홍교(무지개다리) 이맘때쯤 만개했을 극락암의 매화도 아직 작은 봉오리이다  삼소굴(三笑窟)  이곳은 경봉스님이 통도사 방장으로 있.. 2025. 3. 4.
순국의 터, 대구형무소 역사관 일제강점기 한강 이남 최대 규모의 감옥으로 수많은 독립운동가가 이곳에 갇혔으며, 특히 216명(서훈 212명)의 독립운동가가 순국한 아픈 역사의 현장이요, 순국의 터인 옛 대구형무소 자리인 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2층에 대구형무소 역사관이 개관되었다. 순국의 터, 대구형무소 역사관 이곳에는 독립운동가들의 희생과 흔적을 생생하게 전시하므로써이들의 희생과 헌신을 재조명하고 후손들에게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는 역사교육 및 추모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하여지난 2025년 2월 27일 개관하였다. 대구형무소 역사관 입구(삼덕교회 60주년 기념관 2층) 1층 입구 벽면 황혼(黃昏)                                                     이육사(李陸史,1904~1944) 내.. 2025. 3. 3.
대구 관덕정(觀德亭) 순교기념관 대구 관덕정(觀德亭)은 대구읍성의 남문이었던 영남제일문 밖 서남쪽 200보 지점, 즉 지금의 중구 계산동 2가 245번지로반월당 동아백화점 쇼핑점 건물 뒤쪽에 있었다고 한다. 대구 관덕정(觀德亭) 대구 관덕정은 1749년(영조25)에 세워져서 무과 시험장으로 쓰였으며,대구적십자병원이 있던 부지와 동아쇼핑 앞까지 관덕정 앞마당이었다.임진왜란 이후 대구에 경상감영이 설치되면서 대구를 포함하여경상도 일대의 중죄인들은 모두 대구로 압송되어 이곳에서 처형되었다. 대구 관덕정 전면 이곳은 경상감영으로 이송된 죄인들을 처형하던 3대 처형지의 하나였으며, 가톨릭 신자들도 관덕정 앞마당의 "관덕정 말랭이"라 불리던 곳에서 처형되었다. 대구 관덕정 순교기념관 한국 가톡릭에서는 이러한 사연으로 이후 관덕정을 성지로 기념하고.. 2025. 3. 1.
대구 3.1 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대구지방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시위운동은 1919년 3월 8일이다.2월 24일 경상도지역 연락책임자인 이갑성(李甲成,민족대표 33명)의방문을 받은 남성교회 목사 이만집(李萬集)을 필두로 3월 8일을 거사일로 정하여, 준비도중 발각된 계성학교 교사 백남채의 체포에도 불구하고 거사일에 독립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구보행진을 진행했다.  제106주년 3.1절 기념 3.1만세운동 재현행사(청라언덕 행사장)  1919년 3월 2일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학생 이용상(李容祥)이 서울에서 가져온 독립선언서 200여 매를 전달받아 계성학교 교사 백남채(白南埰), 이상백(李相佰) 등과 함께 동지규합에 들어갔으며3월 8일 일어난 대구지역 만세운동이 경상북도지역 3·1운동의 효시였다. 3.1만세운동 재현 식전행사 거사일인 3월 8.. 2025. 3. 1.
3.1절 전야제 만년교 쥐불놀이 매년 이맘때가 되면 창녕 영산에서는 3.1절 민속문화행사가 열리는데무지개다리(홍교)인 만년교에서는 전야제행사의 하나인 쥐불놀이가 펼쳐진다. 만년교 쥐불놀이 시작전 준비과정과 연습장면 본격 연습에 이어 쥐불놀이 시작 오륜기가 돌아가듯 2025. 3. 1.
울산 야생버섯 사진전 울산과학관에서 야생버섯 사진전이 열리고 있어 관람하였다.귀한 버섯들은 물론 육안으로는 찾기도 보기도 힘든 점균사진들까지,버섯들의 생소하고 신비한 세계를 만나보고 설명까지 듣고왔다. 제6회 울산생명의숲 버섯탐구회 야생버섯 사진전 1.송이버섯(식용) 2.곰보버섯(식용) 3.붉은거물버섯(식용) 4.곰보버섯(식용) 5.노란달걀버섯(식용, 보호종) 6.치마버섯(식용) 7.느타리버섯(식용) 8.자주국수버섯(식용) 9.땅비늘버섯(식용가능하나 소량의 독성있음) 10.표고버섯(식용) 11.홍두견버섯(식용불명) 12.팽나무버섯(팽이버섯, 식용) 13.노란땅버섯(식용불명) 14.붉은창싸리버섯(식용불명) 15.진빨간꽃버섯아재비(식용불명) 16.아구형광대버섯(식용불명) 17.화경버섯(독버섯, 멸종위기종) 18.(가칭) 애기경질.. 2025. 2. 28.
2월에 찾아온 울산의 변산바람꽃 올해는 늦추위로 봄꽃들이 2~3주는 늦게 꽃을 피우고 있다..2월이 다가기전에 봄꽃 자생지들을 찾았으나 대부분 땅속에서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어 흔적도 찾을 수 없었으나울산 어물동에서 귀한 봄 아씨들을 만날 수 있었다. 2025 변산바람꽃 변산반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변산바람꽃이라는 이름이 붙은변산아씨들이 영하의 날씨속에서도 돌틈사이로 귀여운 얼굴을 내밀었다.  겨우 얼글을 내미는 2025 복수초(福壽草)  한자로는 복 복(福) 자에 목숨 수(壽) 자를 쓰는 복수초이다. 꽃이 황금색 잔처럼 생겼다고 측금잔화(側金盞花),설날에 핀다고 원일초(元日草),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설연화(雪蓮花),쌓인 눈을 뚫고 나와 꽃이 피면 그 주위가 동그랗게 녹아 구멍이난다고 눈색이꽃, 얼음새꽃, 강원도 횡성에서는 눈꽃송.. 2025. 2. 28.
포항 환호공원의 스페이스워크(SpaceWalk) 포항 영일대해수욕장 끝 해안마을 뒷동산에 위치한 환호공원의 스페이스 워크(Space Walk)는 이미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도 유명세를 타고있는 포항의 명소가 되었다. 포항 환호공원 스페이스 워크(Space Walk,공간 걷기)  스페이스 워크는 포스코건설(포항제철)이  사회환원 차원에서 기획, 제작, 설치하여 포항시민에게 기증한 작품으로총길이가 333m이며 717개의 계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이스워크 입구 주 재료는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이며, 독일의 세계적인 부부작가 하이케 무터와 울리의 겐츠가 디자인하고, 더톤이 디자인감리, 포스코에이앤씨가 건설현장의 총감독(CM,Construction Management)을 맡고, 나인디렉터스에서 국내 설계를 담당하여 건립하였다.  스페이스 워크의 모양은 롤러코.. 2025. 2. 25.
내연산 청하골에서 봄이 오는 소리를 비경의 12폭포를 자랑하는 포항 내연산 청하골에서 얼음장 속으로 흘러내리는 봄이 오는소리를 들어본다.  내연산 청하골의 봄이 오는소리(청하골 계곡 동영상) 연산폭포 동영상 청하골 입구 얼어붙은 청하골 기암솔숲 사이를 지나 12폭포 안내도 12폭포 중 오늘은 1,상생폭포, 2,보현폭포, 3,삼보폭포, 4,잠룡폭포, 5,무풍폭포, 6,관음폭포, 7,연산폭포까지 오르고, 다음 실폭포를 거쳐 소금강전망대에 올라 내연산의 진경을 즐겨보련다. 1.상생폭포 상생폭포 위에서 2.보현폭포 보현폭포 주변 비경 삼보폭포 가는 입구 3.삼보폭포 삼보폭포 위에서 4.잠룡폭포 5,무풍폭포 6,관음폭포   관음폭포 주변 기암절벽과 연산구름다리 연산구름다리로 연산구름다리  7,연산폭포  아슬아슬한 협곡사이의 연산폭포 절벽사이의 고드.. 2025. 2. 25.
검은색머리고니와 신천동편 둔치 자전거도로 정비개통 신천에서 금호강으로 자전거산책 도중에 고속도로 금호1교아래금호강에서 희귀철새인 검은머리고니(10여마리)를 만났다.백조로 불리는 고니는 천연기념물 제201-2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세계적으로 총 6종이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고니,큰고니,훅고니 등 3종만발견되었고 휘파람고니, 검은머리고니, 붉은머리고니 3종은 아직까지미발견 종으로 되어있는 희귀종인데 금호강에서 검은머리고니를 만났다. 검은머리고니(완전 검정색) 검은머리고니(옆은색)  검은머리고니 유영 홍머리오리 물닭 겨울깃 가마우지(혼인색 흰머리) 쇠백로 왜가리 신천동편에 자전거도로와 보행자도로가 분리 시설 개통되었다.그동안 대봉교에서 칠성교구간은 자전거와 보행자 겸용도로 인데다폭이 협소하여 시민들의 안전과 통행에 불편이 많았었는데이를 분리하고 넓게 조성하여 .. 2025. 2. 22.
2월의 율수재와 우물 우수도 지나고 봄이 저만치 와 있음직한데, 올해의 겨울은아직도 미련이 남아있는지 2월말이 다 되어가도 영하의 날씨다.어디선가 얼음장 밑으로 봄이 오는소리가 들리는 율수재를 찾아본다. 봉계 율수재(律修齋) 그 옛날 선조들의 책읽는 소리와 담소하는 소리가 들리는듯 ... 율수재 우물 2025. 2. 22.
주왕산의 겨울폭포를 찾아 청송 주왕산은 암봉과 수려한 계곡으로 이루어져 겨울이 좋다.기암들을 가리웠던 잎들이 모두 떨어지고 속살을 들어내기 때문이다.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인 청송의 겨울 주왕산 속으로 들어가포말까지 하얗게 얼어붙은 폭포들을 하나하나 만나본다. 청송 주왕산기암  7천만 년 전에 용암이 흘러내리면서 굳은 용결 응회암으로 이루어져 특색있는 경관을 자랑하는 해발 722m의 우리나라 3대 암산 중 하나이다.그 용암계곡을 따라 신이 빚어낸 1)용추폭포(3단), 2)용연폭포(2단),3)절구폭포(2단), 4)주왕굴폭포(2단) 등 하얀 겨울폭포를 찾아 나선다. 계곡 초입의 주왕전 고기(周王殿 故基) 학봉 김성일(鶴峰 金誠一, 1538~1593) 풀숲을 헤치며 (옛)주왕 궁궐(터)을 찾노라니지는 해 산마루에 낮게 걸려있네계단은 무너.. 2025. 2. 20.
청송심씨 시조 심홍부 묘소와 보광사 청송심씨(靑松沈氏)는 청송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문림랑(文林郞)으로 위위시승(衛尉寺丞)을 지낸 심홍부(沈洪孚)를 시조(始祖)로 삼으며, 그의 증손 심덕부(沈德符)가 우왕(禑王) 때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에 이르러 청성부원군(靑城府院君)에 봉해졌다가 청성군충의백(靑城郡忠義伯)에 진봉되어 후손들이 청송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청송심씨 시조묘소 입구 그뒤 심덕부(沈德符)는 태조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창업에 공을 세우고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으며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와 영삼사사(領三司事)를 거쳐 1399년(정종 1)에 좌정승(左政丞)에 이르렀다. 그의 아우 원부(元符)는 고려말에 여러 관직을 거쳐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이르렀으나 고려의 국운이 다하자 새 왕조(王.. 2025. 2. 20.
평산신씨 시조 신숭겸장군 묘역과 유적지 평산신씨(平山申氏=平州 申氏)는 황해도 평산군을 본관으로 하는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고려의 1등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장군이다.신숭겸(?~927)장군의 초명은 능산(能山)이며 전남 곡성현에서 태어났다.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장군상 신숭겸은 태봉(국)의 장군으로 있다가 홍유, 배현경, 복지겸 등과 함께궁예를 축출하고 왕건(王建)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를 세웠다.신숭겸은 활쏘기가 뛰어나 왕건과 함께 황해도 평산으로 사냥을 나갔다가왕건이 날아가는 기러기떼를 가르키며 "저 기러기떼 중 앞에서 세번째기러기 왼쪽 날개를 맞춰보라"고 명하자 그대로 쏴서 떨어뜨렸다고 한다. 신숭겸장군 묘역 왕건은 기러기를 화살로 맞추는 모습과  비슷한 한자인 신(申)자를 성(性)으로, 숭겸(崇謙)을 이름으로 하사(사성,賜姓) 하였으.. 2025.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