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분류 전체보기3486

남원 광한루 설경에 취하다 설경으로 변해 겨울 왕국이된 국가명승 제33호이며,보물 제281호인 남원 광한루는 어느 계절에 찾아도 절경이다.광한루 누각은 문화재 보호로 출입을 금했었는데 최근 한시 개방하여옛 조선 선비들이 즐겨찾았던 누대를 유유히 한바퀴 그닐어 본다. 남원 광한루의 옥지환(조형물) 옥지환(玉指環)은 이몽룡이 백년가약을 맺은 춘향에게 장원급제하여 돌아오겠노라고 정표(情表)로 준 가락지이다. 한폭의 그람같은 설경의 남원 광한루 낙엽진 나목들도 간밤에 내린 눈을 소복히 담고있다 동녘에선 해가 구름속으로 훤히 밝아오는 아침이다 남원 광한루 오작교와 설경 광한루는 원래 1419년 황희 정승이 남원으로 유배되어 왔을 때 광통루(廣通樓)란 작은 누각을 지어 산수를 즐기던 곳이다. 이후 세종 26년(1444)에 남원부사 민공이 중.. 2024. 12. 29.
원앙새와 노닐다 원앙(鴛鴦)새는 천연기념물 제327호로 지정되어있는 보호종이다.두 마리가 항상 함께 다닌다고 금슬이 좋은 부부를 원앙이라고 한다. 원앙은 아시아에 사는 철새이나  우리나라에서는 텃새이다. 원앙새 수컷 원앙은 번식기가 되면 수컷에게 아름다운 장식깃이 생기는데,번식이 끝나면 아름다운 갓깃이나 뺨의 장식깃도 떨어지며, 온몸이 암컷과 비슷한 깃색이 된다  겨울의 무리에서는 수컷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데,이 현상은 암컷이 많은 수컷들 중에서 더욱 아름다운 수컷을 골라 번식행동을 하는 것이 그 원인으로, 수컷 사이에서는 선택되기 위해 아름다움 경합이 벌어져 미화를 촉진하게 된다. 논속의 원앙 암.수 한쌍   원앙새 수컷과 암컷들 눈속에 노니는 원앙새 무리 2024. 12. 29.
재(齋)와 재실(齋室)과 재사(齋舍) 재(齋)와 재실(齋室)과 재사(齋舍)는 거의 같은 의미와 용도로 쓰인다.먼저 재(齋)의 사전적 의미는 "재계하다, 공경하다" 라는 의미인데주로 조상이나 성현 등을 모시고 섬길 때 몸과 마음가짐을 깨끗이하고정갈히  하는것을 이르며, 재실이나 재사를 줄여서 재(齋) 라고도 한다.  1.여주 세종대왕 영릉 재실(2024.1.16) 좀더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면 재실(齋室)은 "무덤이나 사당 옆에제사를 지내려고 지은 집" 이라고 하며, 재사(齋舍)란 학문과 덕행, 충효가뛰어난 인물이나 입향조, 중시조 등을 추모하는 제사를 지내기 위해묘소나 사당 인근에 지은 건축물로 정의하고 있다. 여주 세종대왕 영릉(2024.1.16) 세종대왕릉(영릉)의 이장은 세조 때부터 논의되다가1469년(예종 1년)에 와서 현재 자리로.. 2024. 12. 27.
조선시대의 서원(書院)과 서당(書堂) 서원(書院)은 조선시대에 제사와 교육을 담당하던지방 기관으로 주로 사대부를 대상으로 유학을 가르치고 성현들의 제사를 지내던 곳으로, 그 기능은 제사를 지내는 사당과유학을 가르치는 강당, 유학생들의 숙식 등 세가지 공간으로 나뉜다.또 서원은 국가에서 인정한 사액서원과 일반서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백운동서원(현 소수서원)을 세운 주세붕(周世鵬)선생  서당(書堂)은 향교나 서원과는 다르게 일정한 규칙이나 조건없이 문중이나 마을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용도와 성격이 정해졌다.주로 7세에서 16세 까지가 가장 많았으며, 천자문을 통한 학습과명심보감, 소학, 사서삼경 등 유학을 배우는 초등 교육기관이었다.2024년에 탐방했던 서원(20)과 서당(5) 25곳을 다시 만나본다 1.청도 금호서원(20.. 2024. 12. 26.
대구시민의 젖줄 5대 상수도 수원지 240만 대구시민의 젖줄인 상수도 수원지를 찾아 나선다.대구의 상수도 수원지는 크게 보면 낙동강계통, 운문댐, 가창댐,공산댐, 그리고 낙동강 지류인 군위 위천계통으로  5곳이다. 낙동강 취수장(강정고령보), 1일 /  110만톤 생산 취수 및 정수시설 용량 (단위 : 1일/만톤)계낙동강 계통운문댐가창댐공산댐낙동강 위천매곡문산죽곡(공업)구지(공업)고산가창공산군위동부성리157.45702020235540.90.250.3대구시 총 인구(2,364,334명, 2024.11월말 기준) 가장많이 생산하는 낙동강 계통은, 강정고령보에서 1일 110만톤,구지에서 공업용수로 2만톤,  군위 위천에서는 3곳에서 1.45만톤을, 다음으로 운문댐 35만톤, 가창댐 5만톤, 공산댐 4만톤 순이다. 정수장별 급수 지역  매곡정수장.. 2024. 12. 26.
야생화 향기를 듬뿍 보내 드립니다. 금수강산 골골마다 희귀한 야생화들이 사계절 내내끊임없이 온갖 꽃들을 피워내며 향기를 뿜어내고 있다.부디 모두모두 향기 가득한 새해가 되시길 기원하면서그 진한 향기들을 모아 모아 아낌없이 보내드립니다.   양산 통도사 홍매(2024.2.12) 울산 변산바람꽃(2024.2.12) 영월 동강 할미꽃(2024.3.21) 영월 청노루귀(2024.3.21) 경산 삼성산 만주바람꽃(2024.3.23) 경산 자인 쇠뿔현호색(20214.3.23) 대구 불로동 애기자운(2024.3.23) 흰색 애기자운(2024.3.21) 무등산 규봉 진달래(2024.4.12) 보은 자주족도리풀(2024.4.14) 태백산 큰괭이밥(2024.4.17) 태백산 모데미풀(2024.4.17) 태백산 들바람꽃(2024.4.17) 태백산 태백바람꽃(.. 2024. 12. 25.
박정희 선생(영남대)과 대통령(동대구역) 동상 박정희 대통령 동상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영남대학교와경상북도청 앞 그리고 동대구역 광장에 세워졌는데영남대학교는 2024년 11월 23일에, 경북도청앞에는 12월 5일에 동대구역 광장에는 12월 23일에 각각 제막식을 가졌다. 영남대학교 설립자 박정희 선생 영남대학교 천마 아너스 파크에 세워진 "박정희 선생 동상"은개교 77주년을 맞아 영남대 출신으로  영남대 미주연합총동창회장이기도 한이 돈(건축 73학번) 액티브 USA 회장이  4억원 전액을 기부하여 세워졌다.  청동으로 만들어진 박 대통령의 동상은 가로·세로 2m,높이 0.3m의 화강석 좌대 위에 2.5m 높이의 크기로 제작됐다.동상 왼쪽에는 "국민교육헌장" 전문이, 오른쪽에는 박 대통령 약력을 새겨넣었으며, 그 아래에는 제막 표시석이 있다. 총 3단.. 2024. 12. 24.
2024년 탐방 24정자(亭子) 정자(亭子)란 자연 경관을 감상하면서 한가로이 놀거나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주변 경관이 좋은 곳에 아담하게 지은 집을말하며 대부분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으며 단층(單層)이다. 사정(舍亭) 또는 정각(亭閣)이라고도 일컫는다. 1.밀양 반계정(盤溪亭, 2024.1. 2) 정자의 구조는 장방형,육각형,팔각형이며, 개인적 공간이어서 누·대와 비교해 규모가 훨씬 작은 단층이며, 주로 궁궐, 절, 향교,서원, 일반주택 등에 부속되거나 독립된 단일 건물로 건축되었다. 2024년에 탐방한 옛 선비들의 풍류가 서린 정자들을 되짚어본다.  반계정(密陽 盤溪亭)은 밀양 단장면 범도리에 있는 조선시대 정자로1775년(조선 영조 51) 반계 이숙( 盤溪 李潚,1720∼1807)이 지은 건물이다.밀양 표충사 계곡아래 단장천.. 2024. 12. 23.
2025 을사(乙巳)년 푸른 뱀의 해 2025년 을사(乙巳)년은 푸른 뱀(靑蛇)의 해이다.음양오행설에서 갑을(甲乙)은 청색, 병정(丙丁)은 적색,무기(戊己)는 황색, 경신(庚辛)은 백색, 임계(壬癸)는 흑색 이므로  을(乙)은 청색이요, 사(巳)는 뱀을 뜻 하므로 푸른 뱀의 해라고 한다.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뱀 표주박 푸른색은 번영과 성장을, 뱀은 지혜와 통찰을 뜻한다고 하며,특히 뱀은 지혜롭고 신중한 성격으로 새로운 변화에 잘 적응하는 동물이라고 하니, 2025년은 어려움을 잘 극복하고 유연한 변화속에서 성장을 이루는 새로운 한해가 될것으로 기대해본다. 뱀 상(蛇像) ~ 김유신 장군묘의  신상석 12지신상 중에서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란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임(壬.. 2024. 12. 22.
동양란 금화산(金華山) 향기를 나눔니다 동양란 금화산(金華山)이 몇년만인지 12월에 꽃을 활짝 피운다.싱싱한 꽃대 2줄기가 올라오더니 한 달여만에 한줄기는 12송이,한줄기는 8송이의 풍성한 선물을 안겨주었다. 동양란 금화산 너무 싱싱하여 힘과 기상이 넘쳐흐른다. 둥근잎바위솔 옆에는 창밖에서 모진 비바람과 강한 햇빛을 받으며 자라온둥근잎바위솔이 수많은 분홍꽃들을 한 아름 안고 정겹게 다가온다. 2024. 12. 21.
2024-80-13산(山) 등정 80의 문턱에선 2024년 한해를 되돌아 보면 산으로 들로 고택으로 문화유적지로 참으로 이곳저곳 분주하게 돌아다녔다.그중에서도 우선 땀좀 흘리며 올랐던 산행지 13곳을 선정해본다. 1)덕유산 정상에서(2023.1.16) 첫 산행지는 덕유산 향적봉에서 백련사를 거쳐 구천동으로 내려온다 덕유에서 보는 산하 백련사 2)태백산 눈속의 주목(2024.2.24) 정월 대보름날 태백산에는 40cm 정도의 폭설이 내린 다음날이라설경은 더할나위 없이 절경인데 얼지도 않은 마른눈이라 아이젠을착용해도 푹푹빠져 이리저리 미끄러지곤 하여 꽤나 힘이 들었다. 주목 고목에도 눈이 쌓여있다. 해발 1,560m 영봉의 천재단 눈속의 곤줄박이 다시찾은 태백산(2024.5.29) 3)구미 금오산 대혜폭포(2024.3.10) 구미 금오산은.. 2024. 12. 20.
금호강 큰고니의 우아한 몸짓 겨울 철새들의 천국 금호강에 큰 고니가 찾아왔다.하얀 날개를 우아하게 펼칠 때면 그 웅장함과 멋스러움이마치 "나는 새들의 왕중왕이다" 하는것처럼 느껴진다. 금호강 큰고니 큰고니의 몸길이는 140~165cm에 무게는 7.4~14kg 이다. 부리와 다리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흰색이며, 다리는 검은색이다. 큰고니는 대부분의 시간을 물속에서 수초 등을 먹으며 지낸다.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201-2호이다.  큰고니는 핀란드의 국조(國鳥)이며, 유라시아 북부, 아이슬란드 등에서 번식하고 유럽, 카스피해,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월동한다.5월 하순에서 6월 상순 사이에 한배에 3~7개의 알을 낳는다.  나란히 나란히 먹이활동하는 큰고니 눈이 부시도록 하얀 순백의 큰고니 반짝 반짝이는 물빛 오리들의.. 2024. 12. 17.
대구권 광역철도 대경선 탑승기 대경선 광역철도가 2024년 12월 14일 개통되었다.대경선은 대구를 중심으로 구미에서 경산까지 운행하는 열차이다.이번 개통구간은 총 연장 61.85km로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철도이며,총사업비는 2,092억원으로 2019년 4월 착공, 이번에 완공 개통하였다. 대경선 광역철도 개통!!  2024,12,14(토) 대경선은 대구와 경북 시.군을 연결한다는 의미로 대경선이라이름 지어졌으며, 정차역은 구미, 사곡, 왜관, 서대구, 대구, 동대구,경산 등 7개역이며, 앞으로 북삼역(건설 중)과 원대역(예정)이 신설되고, 2단계로 김천 ~ 구미 구간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대경선 정차역 운행시간은 출발(구미.경산역)이 오전 5시 30분이고,도착은 밤 12시 20~30분 정도 까지이며, 배차간격은 출퇴근 시간대는 .. 2024. 12. 14.
2025년이 밝아오고 있다 새로운 한해 2025년이 저만치서 서서히 밝아오고 있다.2 + 0 + 2 + 5 = 9이고 9는 갑오라!  을사(乙巳)년이라!어쩐지 기분좋은 한해가 될것 같은 예감!모두들 을사을사 힘내고 희망찬 새해 맞이 합시다. imagine More 2025 imagine More(이매진 모어)를 직역하면 " 더 많은 생각하기" 인데지방에서 처음으로 시중은행이 된 대구은행의 새 이름(브랜드 슬로건)으로"상상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상을 바꾸는 새로운 금융"이라는 의미라 한다. 대구은행의 새 이름 iM bank(아이엠 뱅크) 아이엠 뱅크(대구은행) 본점 야경 대구은행 네거리 야경 대구은행 본점옆 수성성당의 크리스마스 2024. 12. 13.
삼천포에서 가을,겨울,봄을 만나다 삼천포 앞 남해바다는 눈이 시리도록 청정하고 파랗다.진널전망대에서 남일대해수욕장쪽을 한바퀴 돌다보면 가을인지?겨울이 왔는지? 유채꽃을 보노라면 봄이 이미 온것 같기도 하다.어쩌면 가을,겨울, 봄을 한자리에서 모두 같이 만나는 기분이다. 삼천포 앞바다 학꽁치를 낚는 강태공들 가을에 제일먼저 단풍이 드는 담장이덩굴 벌개미취 팔손이나무꽃 화력발전소 겨울꽃 동백 바위틈 해국의 겨울 나기 남해쪽 남일대 해수욕장과 코끼리 바위쪽 봄의 상징 유채꽃 주로 5~6월에 꽃을 피우는 골무꽃 봄맞이 개나리꽃 가을,겨울,봄꽃이 모두 모여있는 삼천포의 12월 진널전망대와 박재삼 시판 바닷가 산책  ~  시 박재삼 어제는 /  가까운 신수도(新樹島) 근방아지랑이가 모락모락 오르고 있어열댓 살 적으로 돌아와 그리 마음 가려워  / .. 2024.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