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분류 전체보기3489

대구권 광역철도 대경선 탑승기 대경선 광역철도가 2024년 12월 14일 개통되었다.대경선은 대구를 중심으로 구미에서 경산까지 운행하는 열차이다.이번 개통구간은 총 연장 61.85km로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철도이며,총사업비는 2,092억원으로 2019년 4월 착공, 이번에 완공 개통하였다. 대경선 광역철도 개통!!  2024,12,14(토) 대경선은 대구와 경북 시.군을 연결한다는 의미로 대경선이라이름 지어졌으며, 정차역은 구미, 사곡, 왜관, 서대구, 대구, 동대구,경산 등 7개역이며, 앞으로 북삼역(건설 중)과 원대역(예정)이 신설되고, 2단계로 김천 ~ 구미 구간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대경선 정차역 운행시간은 출발(구미.경산역)이 오전 5시 30분이고,도착은 밤 12시 20~30분 정도 까지이며, 배차간격은 출퇴근 시간대는 .. 2024. 12. 14.
2025년이 밝아오고 있다 새로운 한해 2025년이 저만치서 서서히 밝아오고 있다.2 + 0 + 2 + 5 = 9이고 9는 갑오라!  을사(乙巳)년이라!어쩐지 기분좋은 한해가 될것 같은 예감!모두들 을사을사 힘내고 희망찬 새해 맞이 합시다. imagine More 2025 imagine More(이매진 모어)를 직역하면 " 더 많은 생각하기" 인데지방에서 처음으로 시중은행이 된 대구은행의 새 이름(브랜드 슬로건)으로"상상의 한계를 뛰어넘어 세상을 바꾸는 새로운 금융"이라는 의미라 한다. 대구은행의 새 이름 iM bank(아이엠 뱅크) 아이엠 뱅크(대구은행) 본점 야경 대구은행 네거리 야경 대구은행 본점옆 수성성당의 크리스마스 2024. 12. 13.
삼천포에서 가을,겨울,봄을 만나다 삼천포 앞 남해바다는 눈이 시리도록 청정하고 파랗다.진널전망대에서 남일대해수욕장쪽을 한바퀴 돌다보면 가을인지?겨울이 왔는지? 유채꽃을 보노라면 봄이 이미 온것 같기도 하다.어쩌면 가을,겨울, 봄을 한자리에서 모두 같이 만나는 기분이다. 삼천포 앞바다 학꽁치를 낚는 강태공들 가을에 제일먼저 단풍이 드는 담장이덩굴 벌개미취 팔손이나무꽃 화력발전소 겨울꽃 동백 바위틈 해국의 겨울 나기 남해쪽 남일대 해수욕장과 코끼리 바위쪽 봄의 상징 유채꽃 주로 5~6월에 꽃을 피우는 골무꽃 봄맞이 개나리꽃 가을,겨울,봄꽃이 모두 모여있는 삼천포의 12월 진널전망대와 박재삼 시판 바닷가 산책  ~  시 박재삼 어제는 /  가까운 신수도(新樹島) 근방아지랑이가 모락모락 오르고 있어열댓 살 적으로 돌아와 그리 마음 가려워  / .. 2024. 12. 12.
"향의 문화사" 특별전 대구박물관에서 국립대구박물관에서는 개관 30주년을 맞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옛사람의 일상을 채운 향 문화를 조명한 "향의 문화사"  ~  "염원에서 취향으로" 특별전을 2024년 12월 7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열고 있다. 백제금동대향로(국보, 제287호) 이번 특별전에서는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나온 백제금동대향로를 비롯한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등 국보 3점과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 해인사 감로도 등 보물 10점이 포함됐으며 세계 3대 향으로 알려진 침향, 사향, 용연향도 한 자리에서 선보인다. 향의 문화사 ~ 염원에서 취향으로 특별전 또한 우리나라 향 문화를 알려주는 다양한 모양과 형태의 향로,향을 담던 사발인 향완(香椀), 향꽂이, 향을 소재로 한 문헌과그림 등 총 275건 372점을 한.. 2024. 12. 11.
청맥의 "천상으로 가는길" 사진전 2024 제11회 대구 사진페스티벌(2024.12.10~15)에서청맥 권태화 작가는 "천상으로 가는길" 이라는 제목의 몽환적인 사진 작품들을 전시하였는데 현장에서 만나본다. "천상으로 가는길" 대표작 몽환의 아침 "천상으로 가는길" 작품 전시 대구 문화예술회관 11전시실 입구 전시실 내부 입구쪽 전시실 내부 반대쪽 2024. 12. 10.
상주 임란북천 전적지 상주 임란북천전적지(壬亂北川戰跡地)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중앙군과 향군이 왜군의 선봉 주력부대와 최초로 싸운 곳으로 900여명이 순국한 호국의 성지이다. 상주 임진왜란 북천 전적지 1592년 왜군이 부산에 상륙하자, 이일을 순찰사로 임명하여  조선의 중앙군 약 60여 명과 상주 판관 권길, 박걸이 밤새워 소집한장정 800여명 등 900여명이 상주 북방 북천에 진을 치고, 고시니가 이끄는 왜병 17,000여명과 분전하여 전원이 순국한 곳이다. 임란북천전적지 출입문 그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0년부터 사적 정화작업을 실시하여상주 중앙공원에 있던 옛 상주관아 부속 건물인 상산관, 태평루, 침천정 등과 이를 기록한 석비(사의비)들도 이곳으로 옮기고, 충렬사(사당)를 건립하여 그 당시 순국한 윤섬, 권길,.. 2024. 12. 8.
봉서리 병암정 소나무와 마의태자 석(席) 문경 봉서리 병암정(屛巖亭)은 김현규(金賢奎,1765~1842)가후손들의 학문증진을 위해 1832년에 지은 정자이다.병암정앞 소나무는 수령이 400여년이 넘은 보호수(지정)이다. 병암정 앞 소나무(보호수) 봉서리 병암정(屛巖亭)  봉서리 소나무앞 마의태자 석(席) 이 바위는 그 옛날 마의태자가 하늘재를 넘어갈 때 정좌하고신라의 부흥을 꿈꾸며 화랑과 원화를 애창하던 전설의 바위인데,갈평리 저수지 공사로 매몰될 뻔 하자 이곳으로 옮겨 왔다. 병암정 바로 옆의 봉천사 소나무 바위연못과 소나무 씨가 꽉찬 해바라기 2024. 12. 7.
박정희 대통령 동상 경북도청 앞 천년숲에 서다 오천년 가난을 물리친 위대한 대통령 박정희 동상이 경북도청 앞 천년숲에 세워져 2024년 12월 5일 제막식을 가졌다. 오천년 가난을 물리친 위대한 대통령 박정희 동상 동상은 8.2m높이로 국민성금 11억 5천만원을 들여 제작되었으며,동상 둘레에는 박 전 대통령의 12대 업적을 담은 표시석이 세워졌다. 박정희 대통령 동상 둘레의 12대 업적 표시석 12대 업적 1)경부고속도로 건설  2)포항제철 창설  3)새마을운동 전개  4)산림녹화추진  5)경제개발 5개년계획 실시   6)5.16혁명 주도  7)한일기본조약 체결  8)중화학공업화 추진  9)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설립  10)국방과학연구소(ADD) 설립11)원자력발전소 건설  12)의료보험제도 시행  동상 뒤의 업적 표시석 중간에는 동상 건립 .. 2024. 12. 7.
김천 봉계마을 봉암서당과 영천이씨 정려각 김천 봉암서당은 봉산면 봉계마을에 있는 조선전기의 서당이다. 1540년(중종 35) 영일(연일) 정씨 문중에서 만취당 정이교(鄭以僑)를 추모하고 자제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도장서당(道藏書堂)으로 창건하였다.  봉암서당 정문 약 100년 뒤 인종 중엽에 각곡(角谷) 평전(坪田)으로 옮겼다가1757년(영조 33)에 지금의 위치로 이건하고 봉암서당이라고 했으며,1895년(고종 32)에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김천 봉암서당(鳳巖書堂)  서당 건물은 1,652.9㎡(500평) 정도의 부지에, 66.12㎡(약 20평)의 3칸 겹집 건물이다. 봉암서당 편액 이곳 봉암서당에서는 조선시대에 생원 진사에서 대사성,삼도통제사, 참의, 참판, 판서 등 문무(文武) 정 2품까지 75인의 인재를 배출하였고, 근세에는 육군 .. 2024. 12. 5.
주실마을의 월록서당,만곡정사,지훈시공원 조지훈의 생가가 있는 영양군 주실마을을 다시 찾았다.주실마을은 1519년 조광조의 기묘사화로 인해 전국에 흩어진 한양 조씨 집안 중 일부가 1629년(인조 7년) 태백준령의 오지인 이곳 영양으로 들어와서 터를 잡으면서 형성된 마을이다.  월록서당(月麓書堂) 지난번 왔을 때 오후 늦은시간이라 둘러보지 못한 월록서당과 만곡정사, 지훈시공원 등을 천천히 둘러본다.월록서당은 월하 조술도(趙述道,1729∼1803)가 만곡 조술도(趙述道)와함께 1764년에 착공하여 1773년에 완성하였으며, 한양조씨(漢陽趙氏),함양오씨(咸陽吳氏), 야성정씨(野性鄭氏)가 함께 건축하였다.  영산서당이 서원으로 승격된 후 영양군에서 처음 지어진 서당이다.당시 서당의 설립은 관변측(官邊側)의 지원없이 순수 민자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 .. 2024. 12. 3.
영양남씨의 뿌리 시조 남민(南敏) 영양 남씨(英陽南氏)는 경북 영양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남민(南敏)으로 본명은 김충(金忠)인데, 신라 경덕왕 14년(서기 755년), 즉 당나라 현종(玄宗) 천보(天寶) 14년에 중국 봉양부(鳳陽府) 여남(汝南)에서 안렴사(按廉使)로 일본에 갔다가 귀로에 태풍을 만나 영덕(盈德)의 죽도(竹島)에 표착하여 신라에 정착하게 되었으며, 이에 신라 경덕왕은 여남에서 왔다고 하여 성(姓)을 남씨(南氏)로, 이름은 민(敏)으로,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내렸다.   영양남씨 시조묘역 입구 증보문헌비고에는 남민의 7세손이며 고려 때 대장군을 지낸 남진용(南鎭勇)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장남 남홍보(南洪甫)는고려 충렬왕 때 도첨의찬성사를 지냈으며, 영양남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차남 남군보(南君甫.. 2024. 12. 3.
앞산 등산로계곡의 늦가을 풍경 겨울의 문턱 12월 초  앞산 등산로에서 늦가을을 만난다.대부분의 숲에서는 이미 겨울을 준비하고 있지만 이곳은 아직이다. 올해의 마지막 남은 고운 잎들과 늦게까지 피어있는 꽃들을 담아본다. 아!  가을은 정녕 떠나가나요? 층층이 쌓인 고운 단풍잎 닉엽따라 가을은 이렇게 떠나나 보다! 늦가을 풍경 가을이 남아있는 계곡 누군가의 정성이 담긴 계곡   빨간 단풍 꽃처럼 예쁘게 내려앉은 빨간 단풍잎 가을이 가는 길목에서 나래가막살이 2024. 12. 2.
12월에 만나는 자주괭이밥 넓은잎괭이밥, 도라지괭이밥, 자화작장초(紫花昨醬草),동작초(銅昨草)라고도 하며, 인편으로 된 비늘줄기로 번식하며 잎은 뿌리에서 직접 나고, 심장모양인 3장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다. 자주괭이밥 꽃은 잎 사이에서 긴 꽃대가 나와 그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린다.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각각 5장인데 수술은 길고 짧은 것이 모두 10개이다.꽃말은 천사, 충실, 정의, 기도이다.   괭이밥은 고양이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고양이가 소화가잘 되지 않을 때, 이 풀을 뜯어 먹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12월의 베란다에서 예쁘게 피어난 자주괭이밥꽃을 만나본다. 2024. 12. 2.
명승 제30호 죽령 옛길에 서다 소백산 국립공원에 있는 죽령은 영주 풍기읍과 단양 대강면경계에 있는 고개로 죽령옛길은 두 지역을 이어주는 옛 고갯길이다.죽령옛길은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까지 계속 중요한 교통통로였다. 죽령(竹嶺) ~ 해발 696m 이후 철도 등 교통수단이 발달하면서 죽령옛길을 오가는 이가 없어졌고그후 중앙선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는 도로의 통행량도 거의 줄어들었다.1999년부터 영주시에서는  희방사역에서 죽령 휴게소까지 2,5km구간에  옛길을 복원하였으며, 2007년에 죽령옛길이 국가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 누각 눈속의 영남제일관 눈속의 죽령옛길 백두대간 죽령 죽령옛길 장성 죽령 경계지점의 영남관문죽령 (여기까지 경상북도 영주시 입니다) 이 고개를 넘어서면 충청북도 단양땅이다 청풍명월의 고장 충청북도.. 2024. 12. 1.
숨은 보물을 간직한 소백산 성혈사 소백산 국망봉 아래 동남쪽 기슭에 자리한 성혈사는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규모도 크지않고 잘 알려지지 않은 고찰이지만, 이곳에는 아주 귀한 문화재인 나한전 통판투조 연지수금 꽃살문(보물 제832호)이 있어 찾아 나선다.   소백산 성혈암 누각 ~ 과거 성혈사의 중심법당 성혈은 사찰 남쪽에 있는 굴의 이름인데 옛날 이곳 바위 굴에서 성승이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며, 경내에는 대웅전, 나한전, 산신각,삼성각, 심검당, 함담정,누각, 요사채 등이 배치되어 있다. 중요 문화재로는 성혈사 나한전과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신중탱화가 있다.  보물 제832호 꽃살문을 간직한 나한전 나한전은 3층의 기단 위에 다포식 겹처마로 지어진 화려한 건물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2024.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