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천 조각환의 나들이 흔적

분류 전체보기3362

수령 1,400년의 정선 두위봉 주목(천기 제433호)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두위봉에 있는 세 그루의 주목(朱木)은 수령이 약 1,400년 정도 되는 노거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오래 장수하고 있는 나무이며, 천연기념물 제433호로 지정되어 있다. 두위봉(해발 1,470m) 아래 1,340m의 경사지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세그루는 각각 3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 있으며, 그 중 가장 오래된 나무는 중간에 있는 나무로서 키가 17m, 밑둥 둘레 5.85m, 가슴높이 둘레가 4.36m, 직경이 1.39m에 달하여 우리나라 주목 중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나무이다. 세그루 모두 생육상태가 양호하며 수형도 아름답다. 수령 1400여년의 두위봉 주목 우리나라 최고령의 주목을 만나러 두위봉(해발 1,470m)을 오른다. 두위봉은 철쭉산으로서 매년 6월에 철.. 2022. 5. 22.
사랑하는 님을 따라 꽃이 되어버린 공주의 혼(魂) 작약 사랑하는 님을 따라 꽃이 되어버린 공주의 혼이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기품을 가진 작약꽃이 되었단다. 먼저가신 님은 모란이 되었을 때, 그 옆에 남아있게 해달라고 빌고 빌어서 작약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오는데, 모란이 나무라면 작약은 풀이다. 제4회 작약꽃축제가 열리고 있는 영천의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작약을 가장먼저 관상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한 의성 조문국유적지를 찾는다. 장미나 모란에 비길만한 작약꽃 작약은 뿌리를 약용으로 쓰려고 주로 재배되어 왔었는데, 꽃이 화려하고 아름다워 최근에는 곳곳에서 관상용으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누구나 좋아하는 서양의 꽃이 장미라면 작약은 가히 동양의 꽃이라 할만하다. 영천 삼천리의 작약꽃 축제장 작약밭 입구에 있는 특이한 색상의 붓꽃 작약꽃밭 입구 주차장옆에 .. 2022. 5. 18.
한양도성길을 걷다~(3)청와대앞과 칠궁 그리고 경복궁까지 한양도성길에서 도성의 가장 중심부였다가, 역사속의 이야기로 남은 칠궁과 경복궁 그리고 2022년 5월 10일부터 완전개방된 청와대앞을 둘러본다. 청와대 앞의 청와대 개방축제마당 풍물놀이(사자춤) 마당 청와대 사랑채 벽면의 현수막 5.10 청와대, 국민품으로 약속 실천으로 시작합니다. 열려있는 청와대 정문 청와대앞 분수대 분수대옆 축제공연장면 칠궁 출입문 칠궁은 일곱 후궁들의 사당으로, 첫 번째 주인은 영조의 생모인 숙빈 최씨다. 1718년(숙종 44년) 숙빈 최씨가 죽고 나서 7년 후인 1725년에 아들 연잉군이 영조로 등극했는데, 영조는 즉위년에 경복궁 북쪽에 사당을 마련하여 숙빈묘(淑嬪廟)라 했고, 이후 육상묘, 육상궁으로 이름을 올렸다. 그 후 고종 때에 흩어져 있는 후궁들의 사당을 정리하기 시작하.. 2022. 5. 16.
한양도성길을 걷다~(2)경복궁의 호산(虎山) 인왕산 한양도성길의 북악산 탐방을 마치고 이어서 인왕산정상으로 항한다. 인왕산은 조선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고 하는데, 인왕이란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신(金剛神)의 이름으로 조선왕조를 수호하려는 뜻에서 산의 이름을 개칭하였다고 한다. 서울의 진산 중 하나로 높이는 338m이고,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바로 앞이 인왕산 성곽이고 그 왼쪽이 기차바위, 기차바위 뒤편 먼산이 북한산, 오른쪽은 청와대 뒤의 북악산이다. 인왕산은 조선시대의 명산으로 숭앙되었으며, 조선 초기에 도성을 세울 때 북악(北岳)을 주산(主山), 남산(南山)을 안산(案山), 낙산(駱山)과 인왕산을 좌우 용호(龍虎)로 삼아 궁궐을 조성하였다. 그래서 낙산은 용(龍)의 산이고 인왕산은 호랑이 즉 호(虎).. 2022. 5. 16.
한양도성길을 걷다~(1)경복궁과 청와대의 주산(主山) 북악산 한양도성은 서울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조선시대의 도성이다. 백악산,인왕산,남산(목멱),낙산을 연결하여 쌓은 성의 전체길이는 18.6km이다. 태조는 지금의 서울인 한양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과 종묘를 먼저 지은 후, 태조 4년(1395년)에 도성축조도감을 설치하여 한양성곽을 쌓도록 하였다. 한양도성은 사적 제 10호이며, 남대문은 국보 제1호, 동대문은 보물 제1호, 창의문(彰義門)은 보물 제1881호로 지정되어 있다. 한양도성(북악산 구간) 1396년 1월과 8월 2회에 걸쳐 98일만에 축성공사를 완료하였는데 동원된 인원은 총 118,049명으로 이는 당시 총구인구의 4%에 달한다. 태조 때는 성(城)을 높고 험한 곳은 돌로 쌓고, 낮고 평탄한 곳은 흙으로 쌓아 석축과 토축이 뒤섞여 있었는데, 세종 대.. 2022. 5. 15.
오천 천주교 갈매못 순교성지 갈매못 순교성지는 보령 오천항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바닷가에 있다. 바닷가 모래사장이었던 갈매못은 병인박해 때 군문효수(처형)를 당했던 다블뤼 안 안토니오 주교, 위앵 민 마르티노 신부, 오메크로 오 베드로 신부와 황석두 루가 회장, 그리고 장주기 요셉 회장과 그밖의 수많은 무명 순교자들이 1866년 3월 30일(성금요일)에 효수되어 피로 물들었던 처형장이었다. 갈매못 순교성지 기념관 및 소성당 대원군이 이 자리를 처형장으로 택한 것은 명성황후의 국혼이 예정된 시기로서 수도에서 200리 이상 떨어진 곳에서 형을 집행해야 탈이 없으리라는 설과 러시아와 프랑스 함대가 침략을 시도한 서해의 외연도가 아스라히 바라다보이기 때문이라는 설도 전해져오고 있다. 갈매성지 입구 또한 인근의 오천성(수영성)은 충청수영이 .. 2022. 5. 12.
보령 충청수영성과 영보정 충청수영성은 보령시 오천항에 있는 조선시대의 성곽으로 사적 제501호이다. 충청도 수군절도사영이 있던 수영(水營)의 성으로 1510년(중종 5)에 축조하였는데, 구릉의 정상을 중심으로 성을 쌓아 성 안에서 성 밖을 관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충청수영성 서문인 망화문(望華門) 성 안에는 여러 관아 건축물들과 4개의 성문이 있었으나 대부분 없어지고 현재는 서문인 아치형 석문(石門) 망화문(望華門)과 건물로는 진휼청(賑恤廳), 장교청(將校廳), 공해관(控海館)의 내삼문만이 보존되고 있다. 성문안쪽 충청수영성이 있는 오천항(鰲川港)은 백제때부터 중국과 교역하던 항구로서 회이포(回伊浦)라 불리었고, 고려시대에는 왜구를 물리치기 위하여 많은 군선(軍船)을 두었으며, 조선 세조 12년(1466년) 수영(水營)을 설.. 2022. 5. 12.
논산 강경 미내다리와 원목다리 강경 미내다리(渼奈橋)는 논산 채운면 강경천에 있는 석교(돌다리)이다. 조선시대 전국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는 강경포구가 있던 곳으로, 이 강을 미내(渼奈)라고 부른 것에서 유래하여 미내다리라고 부른다. 긴돌을 쌓아 3칸의 무지개모양을 만들고 그 사이마다 정교하게 다듬은 돌을 가지런히 쌓아 올렸으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어있다. 강경 미내다리(渼奈橋) 이 다리는 충청도에서 전라도를 연결하는 다리로, 조선시대인 1731년(영조 7) 강경촌에 거주하던 송만운이 주도하여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제방안 강변둔치에 위치하고 있는데, 일제 강점기 수로정비를 하면서 물길이 바뀌었으며, 1998년 완전해체하여 2003년 보수정비하였다고 한다. 이곳 미내다리에서 4km 정도 떨어진 곳에는, .. 2022. 5. 12.
"다시 희망이 꽃피는 일상으로" 수도산 야생화 올해 부처님 오신날의 봉축표어는 "다시 희망이 꽃피는 일상으로" 이다 올해가 불기로는 2566년이고 서기로는 2022년이니 석가님이 예수님보다 544년이나 먼저 이땅에 오신 것이다. 희망이 꽃피는 일상을 찾아 김천 수도산 기슭의 청암사와 수도암에서 5월에 꽃을 피우는 예쁜 야생화들을 만나본다. 흰색 금낭화 보통의 금낭화는 분홍색으로 흰색은 아주 귀한몸이다. 자세히 보면 옅은 분홍색이 살짝 깔려있긴 하지만 그래도 청초하게 보인다. 연분홍 금낭화 라나스들꿩나무꽃 이제 막 꽃을 피우기 시작 연한 자주색의 족도리풀꽃 메발톱꽃 미나리냉이꽃 풀솜대꽃 산중 암자의 때늦은 모란 청암사계곡 "다시 희망이 꽃피는 일상으로" 돌단풍꽃 쥐오줌풀꽃(자주색)과 애기똥풀꽃(노랑) 수도암 대웅전 앞에서 보는 가야산정상(멀리 희미한 .. 2022. 5. 7.
노란물결의 거창 창포원과 덕유산 송계사 거창 창포원의 5월은 노란 창포꽃이 싱그러움을 더해주고 주변에는 붓꽃, 이팝나무, 수레국화가 선을 보이고, 한켠에선 작약도 꽃봉오리를 준비하며 신록의 계절을 손짓하고 있다. , 거창 창포원의 노란연못 스프링쿨러도 힘차게 이팝나무길 수레국화 동산 전망대 창포원을 둘러보고 석탄일을 앞둔 덕유산 송계사계곡으로 높은 산중이라 불두화도 조금 늦다 덕유산 등산로입구 덕유산 계곡 상큼함 그 자체이다 2022. 5. 7.
거창 감악산 연수사 은행나무 거창 감악산(紺岳山) 기슭 해발 800m의 연수사(演水寺) 경내에 있는 은행나무는 수령이 600여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높이는 38m, 가슴높이 줄기둘레는 7m, 수관폭은 동서로 21m, 남북으로 20m에 이르는 노거목이다. 거창 연수사 은행나무 이 나무는 연수사가 창건될 당시 원효대사와 의상대사가 심었다는 전설과 옛날 한 젊은 여승이 10살 된 유복자와 이별을 아쉬워하면서 아들은 전나무를, 어머니는 은행나무를 연수사 대웅전 앞뜰에 심고 나서 서로의 안녕을 빌면서 이별했다는 전설도 있는데, 이때 아들이 심었다는 전나무는 1980년경 강풍으로 쓰러져 없어졌고 은행나무만 남아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가슴높이 줄기둘레가 7m를 넘는 은행나무 주변에는 신라 헌강왕이 중병으로 고생하다가 연수사 약수로 병을 고치.. 2022. 5. 7.
국립공원 내장산의 숲터널 속으로 내장산은 호남 5대 명산 중 하나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8경 중 하나로 1971년 우리나라 8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80.708k㎡이다. 신선봉(763m)을 주봉으로 하는 내장산은 원래 본사인 영은사의 이름을 따서 영은산(靈隱山)으로 불리다가 산 안에 감춰진 것이 무궁무진하다고 하여 안 내(內), 감출 장(藏) 자의 내장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우화정 내장사는 636년(무왕 37) 영은조사가 창건하여 영은사(靈隱寺)라 하였으며, 1098년(숙종 3) 전각과 당우를, 1468년(세조 14)에는 정혜루를 건립하였다. 1539년(중종 34) 내장산의 승도탁란사건(僧徒濁亂事件)이 일어나자, 중종은 내장사와 영은사가 도둑의 소굴이라 하여 절을 소각시켰다. 1557년(명종 12) 희묵(希默)이 영.. 2022. 5. 5.
고창 학원농장 청보리밭과 구시포 해변 고창 공음면에 있는 5월의 청보리밭을 찾았다. 봄인가 했더니 어느새 보리이삭이 피어오고 파란색은 누런색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중앙밭에 심어진 유채는 노란색을 감추고 파란 씨앗들이 오롱조롱 달려있다. 계절은 눈깜짝할 사이에 그렇게 빨리 지나가고..... 그래서 봄 여름 가을 겨울 거의 변화가 없는 구시포 해변을 찾아본다. 고창 청보리밭 유채밭의 노란꽃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지고 파란색으로 변했다 유채밭의 씨앗들 고구마 모종으로 가득한 더넓은 들판 작업 오동나무꽃과 보리밭 보리 구시포항 방파제에서 본 구시포백사장 구시포항 등대 구시포 백사장 2022. 5. 5.
고창 중산리의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183호) 고창 중산리의 이팝나무는 고창군 대산면 중산리 마을앞에 있는 이팝나무이다. 수령은 약 250여년이며, 크기는 높이 10.5m, 둘레 2.68m이다. 이 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나무로 문화적 가치도 있어” 천연기념물 제183호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올해(2022년)는 꽃이 일찍피는것 같아 갔으나 열흘정도 지나야 만개할것 같다.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 아직 연녹색으로 하얀꽃을 피우려면 10일은 지나야 할것 같다 2022. 5. 5.
지리산 바래봉 철쭉군락지 탐방 지리산 바래봉은 합천 황매산, 소백산 연화봉과 더불어 전국 3대 철쭉 군락지이다. 바래봉(해발 1,167m)은 발산(鉢山)이라고도 하는데 산 모양이 등그스름하게 스님들의 밥그릇인 바리때를 엎어놓은 모습과 닮아 그렇게 붙여졌다고 한다. 바래봉 철쭉군락지(파노라마) 철쭉의 백미는 해발 1,100m가 넘는 바래봉 앞에서 팔랑치까지 약 1.5km 구간으로 능선의 초원에 한키가 넘는 철쭉이 무리지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이곳 바래봉의 철쭉장관을 감상하려면 능선까지 차량통행이 안되므로 남원 운봉읍에서 바래봉까지 4.8km정도를 1시간 반이상 등산을 하거나, 팔랑치 부근 지리산 정령치에서 산 능선을 따라 오거나, 또는 전북학생수련원에서 세동치(해발1,107m)로 올라 바래봉 철쭉군락지까지 가는 등산을 해야 한다. 제.. 2022.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