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93 書經 第四篇 周書(주서) 11(周書)-15(無逸) 불국사 입구의 연못 書 經 第四篇 周書(주서) - 주나라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책 - 十一. 木辛材(자재) 十二. 召誥(소고) 十三. 洛誥(낙고) 十四. 多士(다사) 十五. 無逸(무일) 十一. 木辛材(자재) 王曰, 封아! 以厥庶民曁厥臣으로 達大家하며 以厥臣으로 達王이 惟邦君이니라. 汝若恒越.. 2012. 11. 11. 書經 第四篇 周書(주서) 5(旅獒)-10(酒誥) 춘천 청평사 오르는 길의 쌍폭 書 經 第四篇 周書(주서) - 주나라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책 - 五. 旅獒(여오) 六. 金縢(금등) 七. 大誥(대고) 八. 微子之命(미자지명) 九. 康誥(강고) 十. 酒誥(주고) 五. 旅獒(여오) 惟克商하여 遂通道于九夷八蠻하니 西旅氐貢厥獒러니 太保乃作旅獒.. 2012. 10. 27. 書經 第四篇 周書(주서) 1.泰書-4.洪範 봉화 소천면의 메밀밭 書 經 第四篇 周書(주서) - 주나라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책 - 一. 泰誓(태서) 二. 牧誓(목서) 三. 武成(무성) 四. 洪範(홍범) 一. 泰誓(태서) 惟十有三年春에 大會于孟津하니라. 王曰, 嗟! 我友邦冢君과 越我御事庶士여! 明聽誓하라! 嗟(탄식할 차) 冢(무덤 총).. 2012. 9. 17. 書經 第三篇 商書(상서) 七.盤庚-11.微子(終) 계림 은자암동굴 書 經 第三篇 商書(상서) 七. 盤庚(반경) 八.說命(열명) 九. 高宗肜日(고종융일) 十. 西伯戡黎(서백감려) 十一. 微子(미자) 七. 盤庚(반경) -반경은 도읍을 은 땅으로 옮기어 상나라의 중흥을 꾀한 임금이다. 이로부터 나라이름도 은나라라 부르게 되었다. 이 글은 반경이.. 2012. 8. 29. 書經 第三篇 商書(상서) 1.湯誓-6.咸有一德 태백 매봉산 바람의 언덕 書 經 第三篇 商書(상서) 一. 湯誓(탕서) 王曰 格 爾衆庶하니 悉廳朕言하라. 非台小子敢行稱亂이요. 有夏多罪하여 天命殛之하시니라. 悉(다 실) 殛(죽일 극) 임금님이 이르시길, 여러분께 고하니 모두 잘 들으시오. 나 같은 작은 사람이 감히 난을 으키려는.. 2012. 8. 14. 書經 第二篇 夏書(하서) 1.禹貢-4.胤征(終) 거창 금원산 생태수목원에서 書 經 第二篇 夏書(하서) 一. 禹貢(우공) 禹敷土하시고 隨山刊木하사 奠高山大川하시다. 冀州라 旣載壺口하여 治梁及岐하시며 旣修太原하여 至于岳陽하시며 覃懷에 底績하여 至于衡漳하다. 隨(따를 수) 奠(제사 지낼 전) 冀(바랄 기) 壺(병 호) 岳(큰 산 악.. 2012. 8. 1. 書經 第一篇 虞書(우서) 1.堯典-5.益稷(終) 書 經 서경이란 중국의 요순시대부터 주나라때까지의 덕치를 행한 문서를 공자가 수집하여 수록한 책이다. 서경의 줄거리들은 옛날 사관들이 군주를 중심으로한 군주의 언동과 정치에 관한 기록들을 간추려 모은것으로 산문으로 쓰여져 있으며, 운문인 시경과 함께 중국에서 가장 오래.. 2012. 7. 26. 詩經 第四篇 頌魯 - 4.駉之什(最終) 함양 상림공원연(곰방대) 頌魯(노송) 4.駉之什(경지습) 1)큰 말(駉) 駉駉牡馬 在坰之野 살찌고 큰 수말이, 먼 들판을 달리고 있네. 駉(목장 경) 坰(들 경) 薄言駉者 有驈有皇 살찌고 큰 사마에는, 샅 흰 검은말에 흰털섶인 누런말에. 驈(사타귀 흰 검은 말 율) 皇 .. 2012. 7. 18. 詩經 第四篇 頌(周頌) - 1.淸廟之什 2.臣工之什 3.閔子小子之什 문화재자료제36호 낙산사홍련암 詩 經 第四篇 頌(송) 주송(周頌) 1.淸廟之什(청묘지습) 1)청묘(淸廟) 於穆淸廟 肅雝顯相 아 아름답고 그윽한 사당에, 공정하고 부드러운 제사를 돕네. 穆(화목할 목) 廟(사당 묘) 肅(엄숙할 숙) 雝(할미새 옹) 濟濟多士 秉文之德 수많은 선비들이, 화평.. 2012. 7. 13. 詩經 第三篇 大雅 - 3.湯之什(終) 삼척 준경묘 금강송 詩 經 第三篇 大雅(대아) 3.湯之什(탕지습) 1)위대함(蕩) 蕩蕩上帝 下民之辟 끝없는 저 하늘의 상제는, 이 세상 다스리는 임금이시네. 蕩(쓸어버릴 탕) 辟(임금 벽) 疾威上帝 其命多辟 어렵고 위엄있는 상제는, 그 명하심이 편벽이 많으시네. 疾(병 질) 天生烝.. 2012. 7. 10. 詩經 第三篇 大雅 - 1.文王之什 2.生民之什 보물제1112호 대원사 다층석탑 詩 經 第三篇 大雅(대아) 1.文王之什(문왕지습) 1)문왕(문왕) 2)대명(大明) 3)길게 이어짐(緜) 4)백유나무 떡갈나무(棫樸) 5)한산 기슭(旱麓) 6)사제(思齊) 7)위대하심(皇矣) 8)영대(靈臺) 9)뒤를 이음(下武) 10)문왕을 찬양하는 소리(文王有聲) 1)문왕(문왕) 文.. 2012. 6. 25. 詩經 第二篇 小雅 - 6.甫田之什 7.魚藻之什(終) 보물제300호 화엄사 원통전사자탑과 흑매 詩 經 第二篇 小雅(소아) 6.甫田之什(보전지습) 1)보전(甫田) 倬彼甫田 歲取十千 아득하게 뻗은 큰 밭이여, 해마다 많은 수확 올렸네. 倬(클 탁) 甫(클 보) 我取其陳 食我農人 먹고 남은 묵은 곡식은, 농군들을 먹이니. 自古有年 今適南畝 옛부터 해.. 2012. 6. 4. 詩經 第二篇 小雅 - 4.節南山之什 5.谷風之什 국보제67호 화엄사 각황전 詩 經 第二篇 小雅(소아) 4.節南山之什(절남산지습) 1)저 높은 남산(節彼南山) 節彼南山 維石巖巖 높이 솟은 저 남산에는, 바위 첩첩 쌓여있네. 赫赫師尹 民具爾瞻 빛나는 태사와 윤씨여, 백성들은 그대들을 우러러보네. 赫(붉을 혁) 師(스승 사) 瞻(볼 첨) 憂心如&#.. 2012. 5. 20. 詩經 第二篇 小雅 - 1.鹿鳴之什 2.南有嘉魚之什 3.鴻鴈之什 국보제23호 불국사 청운교(아래)와 백운교(위) 詩 經 第二篇 小雅(소아) 1.鹿鳴之什(녹명지습) 1)사슴의 울음(鹿鳴) 呦呦廘鳴 食野之苹 메에메에 사슴들의 울음소리, 들에서 다북쑥 뜯어먹고 있네. 呦(울 유) 苹(개구리밥 평) 我有嘉賓 鼓瑟吹笙 내게 반가운 손님 오시.. 2012. 5. 3. 詩經 第一篇 國 風 - 13,檜風 14,曹風 15.豳風(빈풍) 終 국보제22호 불국사 연화교와 칠보교 第一篇 國 風 13.檜 風 1)염소가죽 옷(羔裘) 羔裘逍遙 狐裘以朝 염소가죽옷 입고 노닐다, 여우가죽옷 입으시고 조정일 보시도다. 羔(새끼 양 고) 裘(갓옷 구) 逍(거닐 소) 遙(멀 요) 狐(여우 호) 豈不爾思 勞心忉忉 임생각 어찌 잊으.. 2012. 4. 8. 이전 1 2 3 4 5 ··· 7 다음